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나다 (2022년 10월 30일)

의식 성장 2022. 12. 14. 09:17

Rising to higher levels of service

더 높은 수준의 봉사로 올라가기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rising-to-higher-levels-of-service/

 

 

Ascended Master Nada through Kim Michaels, October 30, 2022.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2 Webinar for Ukraine.

2022년 10월 30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나다. 이 딕테이션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위한 웨비나 동안】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Nada, Chohan of the Sixth Ray, normally called the Ray of Peace and the Ray of Service.

나는 『【상승 마스터 나다】, 【〔보통 평화의 광선봉사의 광선으로 불리는 여섯 번째 광선〕의 초한】』입니다.

Why peace and service? Well, can there be service when there is not peace? Many will object to that statement. You will see that in some countries they say that when you are in the military and fighting a war for your country, you are serving your country. They even say that losing your life in a war is the ultimate service, or the ultimate sacrifice. This, of course, is an understandable feeling given current conditions on earth. But certainly you who are students will recognize that on a natural planet, serving in the military is not natural, nor necessary. You see that there is a condition on earth where it is necessary to have a military.

왜 평화와 봉사일까요? 음, 【평화가 없을 때】 봉사가 있을 수 있습니까? 【많은 사람들】은 【그 진술】에 반대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일부 국가에서) 그들이 【여러분이 〔(군대에 있고) 그리고 (여러분의 국가를 위해 전쟁을 하고 있을 때)〕, 여러분이 〔여러분의 국가〕에 봉사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을 볼 것입니다. 그들은 (심지어) 【〔전쟁에서 여러분의 생명을 잃는 것〕이 〔(궁극적인 봉사), (궁극적인 희생)〕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이것은 『【〔지구에 현재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이해할 수 있는 느낌』입니다. 그러나 (확실히) 【〔학생들인〕 여러분】은 【정상적인 행성에서, 〔군대에서 봉사하는 것〕이 정상적이지 않고, 필요하지도 않다는 것】을 인식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군대를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한〕 지구에 상황】이 있다는 것』을 봅니다.

Take note of what I said. It is necessary to have a military. But this is necessary only because so many people are in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You will recognize, of course, that, as Hilarion explained, a large group of nations in the world have risen to a level of humanity, have risen to a level of truth, where they could not even conceive of attacking each other. It is clear that in a defensive alliance such as NATO, it is implicit in the entire purpose of the alliance that the nations do not attack each other. Otherwise what would be the purpose of the alliance if there was not that trust that those who have entered into an alliance will not attack each other? In a sense you could say that amongst the nations of NATO or even of the modern democratic world, there is no need for a military. They do not need the military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each other. So why do I say that a military is still necessary? Well, obviously because there are some nations that have not risen to that level of humanity, that level of honesty, that level of trustworthiness.

【내가 말한 것】에 주목하세요. 【군대를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오직 〔매우 많은 사람들〕이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 안에〕 있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물론, 여러분은 『힐라리온이 설명한 것처럼, 【세계에 많은 국가들】이 【그들이 〔서로 공격하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는】 인간애의 수준으로 올라갔고, 진리의 수준으로 올라갔다는 것』을 인식할 것입니다. 『【NATO와 같은 방어적인 동맹】에서, 【국가들이 서로 공격하지 않는 것】이 【동맹의 전체 목적 안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만약 【〔(동맹에 들어간) 국가들〕이 서로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그런 신뢰가 없다면』 【동맹의 목적】이 무엇이겠습니까?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NATO의〕, 혹은 심지어 〔현대 민주 세계의〕 국가들】 가운데에서, 【군대의 필요성】이 없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서로에 맞서 그들 자신을 방어할 군대】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내가 (왜) 【군대가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할까요? 음, (확실히) 『【〔(인간애의 그 수준), (정직성의 그 수준), (신뢰성의 그 수준)〕으로 올라가지 못한】 일부 국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A self-centered service

자기중심적인 봉사

Now, we can also look at thi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f you look beyond the current dualistic mindset on earth, we have explained to you that this mindset springs from the consciousness of separation, where people have come to see themselves as separate beings. This has created various groupings of people that see themselves as separate from other groups of people, whether it be nations, races, the sexes or whatever groupings you have, numerous such groupings throughout history and even today. When you are separate people, when you see yourselves as separate people, what is your concept of service? Well, primarily it is self-service.

자, 우리는 (또한) 【다른 관점에서】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지구에 현재 이원론적인 사고방식】을 넘어서 본다면, 우리는 『【이 사고방식】이 【〔사람들이 (그들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보게 된〕 분리 의식】으로부터 일어난다고』 여러분에게 설명했습니다. 이것이 {『【그들 자신】을 【다른 집단의 사람들과 분리된 것 - 〔국가든〕, 〔인종이든〕, 〔성별이든〕 혹은 〔(여러분이 갖고 있는) 어떤 집단이든〕, 〔(역사 내내) 그리고 심지어 (오늘날) 많은 그런 집단〕】으로 보는』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을 만들었습니다. 여러분이 【분리된 사람들】일 때,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분리된 사람들】로 볼 때, 【여러분의 봉사의 개념】이 무엇일까요? 음, (주로) 그것은 【자기 봉사(self-service)】입니다.

You are serving yourself as an individual trying to get the best possible advantage for yourself that you can get. This is the basis for corruption. Those who have a position in society are taking advantage of that position, regardless of how it affects other people or society as a whole, for they feel no responsibility for other people or for society. In some cases you can have a nation or group of people that are in this state of separation, but they can still fathom that there is something, some whole such as the state, and they can see a need to serve the state.

여러분은 【〔(〈여러분이 얻을 수 있는〉 여러분 자신을 위한 가능한 가장 좋은 이점)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개인으로서】 여러분 자신을 위해 봉사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부패의 기반】입니다. 【〔사회에서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그 지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다른 사람들) 혹은 (전체로써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상관없이, 왜냐하면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해〕 혹은 〔사회에 대해〕 책임】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분은 【〔이 분리의 상태에 있는〕 국가 혹은 집단의 사람들】을 가질 수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어떤 것〕, 〔국가와 같은 어떤 전체〕가 있다는 것】을 헤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국가에 봉사할 필요성】을 봅니다.

Of course, they themselves are not defining what it means to serve the state.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state are defining this, and they are defining it based on self-service, what they see as being in their own best interests, often short-term interests. In some cases there can be a long-term interest, in the sense that they are seeking to promote the superiority of their religion, as the Catholics and Muslims during the Crusades, or their ideology or some other epic cause. In a sense you could say that you have the ultimate self-service that you saw in previous ages where there were no organized societies. It was dog-eat-dog, everybody against everybody, trying to get an advantage for themselves.

물론, 그들 자신은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하고 있지 않습니다. 【〔국가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은 이것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 봉사(self-service) - 그들이 (그들 자신의 최선의 이익 안에 있는 것으로) 보는 것, 보통 단기적인 이익〕에 근거해서】 그것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적인 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들이 【〔(십자군 전쟁 동안 가톨릭교도와 이슬람교도처럼) 그들의 종교의 우월성〕 혹은 〔그들의 이념〕 혹은 〔어떤 다른 서사시적인 대의〕를 고취하려고】 추구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이 〔(조직화된 사회가 없었던) 이전 시대들에서〕 본】 궁극적인 자기 봉사』를 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아귀다툼〕, 〔모두에 반대하는 모두〕, 〔그들 자신을 위해 이점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었습니다.

Even if you go back to these societies, you actually see that it was not really complete self-service. Many of these hunter-gatherer cultures, they lived in groups, whether they called them tribes or something else. They lived in small groups because they realized that no man is an island, that in a hunter-gatherer culture an individual cannot survive alone. There needs to be cooperation. There needs to be a service towards the group, where the individual serves the group.

비록 여러분이 【이 사회들】로 거슬러 올라가더라도, 여러분은 (실제로) 【그것이 실제로 〔완전한 자기 봉사〕가 아니었다는 것】을 봅니다. 대부분의 이 수렵 채집인 문화, 그들은 무리를 지어 살았습니다, 그들이 【〔그것들을 부족이라고 불렀던〕 혹은 〔그것들을 다른 어떤 것이라고 불렀던〕】. 그들은 작은 집단을 지어 살았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어떤 사람도 섬이 아니고】, 【(수렵 채집인 문화에서) 개인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협력】이 있어야 합니다. 【〔개인이 집단에 봉사하는〕 집단에 대한 봉사】가 있어야 합니다.

There were actually many of these what you often in the modern world call primitive societies that had quite a high level of humanity and dedication to service, true service, where you are serving the whole. Now you can say it was not the ultimate altruistic service because they still were serving the tribe as a way to secure their own survival. Still there were some people who had a higher level of service than what you saw in earlier societies, where you had, for example, the barbarian invasions of Europe, Attila the Hun, Genghis Khan and so on, where they were out to plunder by killing other people, destroying cities and so on.

실제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인간애〕와 〔(여러분이 전체를 위해 봉사하고 있는) 봉사, 진정한 봉사〕에 대한 헌신】을 갖고 있었던』 여러분이 보통 현대 세계에서 원시 사회라고 부르는 이것들 중의 많은 것}이 있었습니다. (자) 여러분은 【그것이 〔궁극적인 이타적인 봉사〕가 아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여전히 【〔그들 자신의 생존을 보장하는 방법〕으로써】 부족을 위해 봉사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예를 들어)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죽이는 것〉, 〈도시들을 파괴하는 것〉 등등에 의해서) 약탈하러 나간〕 유럽의 미개인 침략, 훈족의 아틸라, 칭기즈칸 등등을 갖고 있었던】 더 초창기의 사회들에서』 본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봉사를 하는◀ 일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You see that this was, in a sense you could say, an example of people who saw themselves as completely separate from those who were not in their group, but they still had this dedication to serving the group, following the leader, but it was very much a self-centered service. They knew that by risking their lives they would also get the opportunity to plunder and take something home with them.

여러분은 {이것이 『【그들 자신】을 【〔그들의 집단 안에 있지 않은〕 사람들】과 완전히 분리된 것으로 보는』 사람들의 예였다는 것 -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을 보지만, 그들은 (여전히) 【〔집단을 위해 봉사하는 것〕, 〔지도자를 따르는 것〕에 대한 이 헌신】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매우 자기중심적인 봉사】였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삶의 위험을 무릅쓰는 것〕에 의해서】 그들이 (또한) 【〔약탈하고〕 그리고 〔어떤 것을 집으로 가져갈〕】 기회를 얻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Progression in people’s ability to serve

봉사하는 사람들의 능력의 진전

You see that in a way we could say that when you look at history, you see that there has been a very gradual, very slow progression in terms of service, people’s ability to serve. You could say that the lowest level of service is when you are only looking out for yourself as an individual. This is what we have said is the lowest level of consciousness among the 144 levels. You gradually climb to higher levels of service. The tribal consciousness was a higher level of service than the lowest level of service. The barbarians could be said to be a very low level of service too, but later civilizations, where people were serving the state or some religion, had still a less self-centered level of service than the lowest level. You could say that even in the Soviet Union at least some people had some level of service that was beyond strictly self-centered. What we can say is tha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certain groupings, certain nations, certain religions, that have been very self-serving and willing to force others, there has been a slow progression in people’s ability to serve something beyond their selves. They have been able to look beyond their own minds and look for something outside their own minds and dedicate themselves to serving that, sometimes reluctantly. But what have we said? The mind can become a closed system, and as you descend towards the lowest level of consciousness possible on earth, your mind becomes more and more closed.

여러분은 {(어떤 면에서는) 우리가 『여러분이 【역사】를 볼 때, 여러분이 【〔(봉사), (봉사하는 사람들의 능력) 면에서〕 〔매우 점진적인, 매우 느린 진전〕이 있었다는 것】을 본다고』 말할 수도 있다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가장 낮은 수준의 봉사】가 【여러분이 단지 〔여러분 자신을 개인으로〕 보살피고 있을 때】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144 수준들 가운데 가장 낮은 의식 수준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여러분은 서서히 【더 높은 수준의 봉사】로 올라갑니다. 【부족 의식】은 【〔가장 낮은 수준의 봉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봉사】였습니다. 【미개인들】도 【매우 낮은 수준의 봉사라고】 말해질 수 있지만, 나중에 【〔사람들이 (국가 혹은 어떤 종교)를 위해 봉사하고 있었던〕 문명들】은 여전히 【〔가장 낮은 수준보다〕 덜 자기중심적인 수준의 봉사】를 했습니다. 여러분은 『(소비에트 연방에서도) 【적어도 일부 사람들】이 【〔(엄밀히 말하자면) 자기중심적인 것을 넘어서 있는〕 어떤 수준의 봉사】를 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비록 【〔정말 자기 봉사하고 그리고 기꺼이 다른 사람들을 강요하는〕 특정한 집단, 특정한 국가, 특정한 종교】가 있었더라도, 【〔(그들의 자아 너머에 어떤 것)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의 능력에〕 느린 진전】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마음 너머를 보고】 그리고 【〔그들 자신의 마음 바깥에 어떤 것〕을 찾고】 그리고 【〔그것을 위해 봉사하는 것 - 때때로 마지못해서〕에 헌신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마음은 폐쇄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지구에서 가능한 가장 낮은 의식 수준 쪽으로】 내려가면서, 【여러분의 마음】은 점점 더 닫히게 됩니다.

How do you rise to higher levels? Well, below the 48th level you rise by gradually coming to see the limitations of being completely self-focused. You begin to see some advantage to having some loyalty to other people, to your family, to a group, and therefore being able to serve something beyond your narrow self-interest. You can see here that even if you look at a society such as the Soviet Union, there were still people who managed to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serve. This was by far not everyone. Most people were so reluctant that they actually sank deeper into this self-focus, which is what we have said is characteristic for many among the Russian people today. But you can see that any organized effort that causes people to serve a goal that is beyond their own personal interests can help them grow in their ability to serve.

여러분이 어떻게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갈까요? 음, (48번째 수준 아래에서) 여러분은 【〔(완전히 자기 초점적인 것의 제약)을 서서히 보게 되는 것〕에 의해서】 올라갑니다.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여러분의 가족에 대한), (집단에 대한) 어느 정도의 충성심〕을 갖는 것】에 대한 어떤 이점』을 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좁은 자기 이익 너머에 어떤 것〕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여러분은 여기에서 『비록 여러분이 【소비에트 연방과 같은 사회】를 보더라도, 【〔봉사하는 그들의 능력에서 가까스로 진전을 보인〕 사람들】이 여전히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연코 모두가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실제로 〔이 자기 초점〕으로 더 깊이 가라앉았을 정도로】 매우 주저했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오늘날 러시아인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의 특징이라고】 말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을 넘어서 있는〉 목표를 위해 봉사하도록) 야기하는〕 어떠한 조직적인 노력】도 그들이 【〔봉사하는 그들의 능력에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ilitary service in the democratic world

민주 세계에서 병역

Now, of course, you also see that many of these groupings have been led by fallen beings who were at the very lowest level of consciousness. These leaders have defined the interest of the group based on their own self-interest, which is often to achieve ultimate power or recognition on earth. Sometimes it has been a completely irrational goal, where their minds were so taken over by demons and fallen beings that they were only seeking chaos and destruction. Naturally you see that as long as you have people who are in this level of consciousness, this level of separation, you need to have a military because you cannot have a democratic world that is beyond this level of consciousness if it cannot defend itself against those who are still below it.

자, 물론, 여러분은 (또한) 『【이 집단들 중의 많은 것】이 【〔(정말 가장 낮은 의식 수준에 있는) 추락한 존재들〕에 의해서】 이끌어졌다는 것』을 봅니다. 【이 지도자들】은 【〔그들 자신의 자기 이익에 근거해서〕 집단의 이익】을 정의했습니다, 그것은(그들 자신의 자기 이익) (보통) 【〔지구에서 궁극적인 힘 혹은 인정〕을 얻는 것】입니다. (때때로) 그것은 {『【그들의 마음】이 【그들이 〔혼돈과 파괴〕를 추구하고 있을 뿐일 정도도】 【〔데몬들과 추락한 존재들〕에 의해서】 매우 장악되었던』 완전히 비이성적인 목표}였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 의식 수준, 이 분리 수준에 있는〕 사람들】을 갖고 있는 한, 여러분이 【군대】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봅니다 (왜냐하면) 『만약 그것이(민주 세계) 【〔여전히 그것(민주 세계) 아래에 있는〕 저들】에 맞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없다면』 여러분은 【〔이 의식 수준을 넘어서 있는〕 민주 세계】를 가질 수 없습니다.

Now this, of course, does not mean that being in the military and going out killing other people is a higher level of service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It is a necessity, and as Jesus has explained, there can be times where that which is not ideal from a higher perspective of the Christ consciousness is still in alignment with the Christ consciousness because it can bring a necessary change, or it can prevent a worse situation. Being in the military is a form of service, but it is, of course, not the highest form of service that people can rise to. What you see is that in these nations that have risen to become democracies, to form these economic alliances, defensive alliances, they have created a state of internal peace.

(자) 물론, 이것은 『【〔군대에 있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죽이러 나가는 것〕】이 【영적인 관점에서 더 높은 수준의 봉사】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필수품】입니다, 그리고 예수가 설명한 것처럼, {『【〔(〈그리스도 의식의 더 높은 관점에서〉 이상적인 것)이 아닌〕 그것】이 (여전히) 【그리스도 의식】과 일직선이 되어 있는』 시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필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혹은) 그것이 【더 나쁜 상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군대에 있는 것】은 【봉사의 한 형태】이지만, 그것은 (물론) 【〔사람들이 ...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형태의 봉사】는 아닙니다. 【여러분이 보는 것】은 『【〔(민주 국가가 되기 위해), (이 경제 동맹, 방어 동맹을 형성하기 위해) 올라간〕 이 국가들에서】, 그들이 【내부 평화의 상태】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Now, many of these nations thought that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especially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y also had external peace, but you see that they still maintained their militaries. My point is that these nations have achieved a state of internal peace, and this means th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s been raised so that more and more people grasp the need to serve the whole, however they see it. Often it is not the state. Often it is other people or society or the common good or the collective. However they see it, they see that there is a need to serve. What does that mean? Well, we have said that the lowest level of service is this self-service that is only focused on itself. You can say that at the lower levels people are saying: “If I give a service, I want something in return. I’m giving a service in order to get something in return.”

자, 【이 국가들 중의 많은 국가들】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고 특히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그들이 또한 【외부의 평화】를 갖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들이 여전히 〔그들의 군대〕를 유지했던 것】을 봅니다. 【나의 요점】은 【〔이 국가들〕이 〔내부 평화의 상태〕를 이루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전체를 위해 봉사할 필요성 - 그들이 그것을 어떤 식으로 보든〕을 파악할 정도로】 집단의식이 올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그것은 【국가】가 아닙니다. (보통) 그것은 【〔다른 사람들〕 혹은 〔사회〕 혹은 〔공익〕 혹은 〔집단〕】입니다. 그들이 그것을 어떤 식으로 보든, 그들은 【〔봉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봅니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음, 우리는 『【가장 낮은 수준의 봉사】가 【〔오직 자신에 집중하는〕 이 자기 봉사】라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더 낮은 수준들에서)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봉사한다면, 나는 【답례로】 어떤 것을 원합니다. 나는 【답례로 어떤 것을 얻기 위해서】 봉사하고 있습니다".

Higher forms of service

더 높은 형태의 봉사

This, of course, is not really giving a service. What is a higher form of service? Well, it is what Jesus demonstrated and talked about 2000 years ago. You could say that the essence of the message of Christ is service. I know you can say that many other things are also the essence of Christ, but since I AM the Chohan of the Sixth Ray, I will focus on service. What did Jesus say?

Well, he called people to step up to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In an outer sense he taught the multitudes in parables because he knew they were not ready for the highest level of service, but they could at least step beyond the lowest forms of self-service. By heeding his call to do unto others, love your enemies, do good to those that hate you and so forth, they could step up to this what we have called the basic humanity, which allows you to give a service. It is not a strictly self-centered service, but it is still focused on the recognition that: “By treating other people better, by not forcing other people, they will not seek to force me, so therefore we all prosper, and this is actually in my own best interest.”

물론, 이것은 실제로 【봉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 높은 형태의 봉사】가 무엇일까요? 음, 그것은 【예수가 〔2000년 전에〕 보여주고 그리고 ...에 대해 말했던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메시지의 본질〕이 〔봉사〕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나는 『여러분이 【〔많은 다른 것들〕도 〔그리스도의 본질〕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내가 【여섯 번째 광선의 초한】이기 때문에, 나는 【봉사】에 집중할 것입니다. 예수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음, 그는 사람들에게 【더 높은 의식 수준에 다가가라고】 요청했습니다. (외적인 의미에서) 그는 【우화로】 일반 대중을 가르쳤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들이 〔더 높은 수준의 봉사〕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그들이 (적어도) 〔가장 낮은 형태의 자기 봉사〕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라〕, 〔너희 적을 사랑하라〕, 〔(〈너희를 미워하는〉 사람들)에게 잘 하라〕 등등】 그의 요청』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서, 그들은 【이것 - 우리가 기본적인 인간애라고 불렀던 것】에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기본적인 인간애) 【여러분이 봉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것은 (엄밀히 말하자면) 자기중심적인 봉사가 아니라, 그것은 (여전히) {『: "【다른 사람들을 더 잘 대하는 것】에 의해서, 【다른 사람들을 강요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그들이 【나를 강요하려고】 추구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모두 번영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실제로) 나에게 최고의 이익입니다"』라는 인정}에 집중합니다.

There is, of course, a higher level of service, which is how Jesus expounded all things to his disciples and also in veiled form in the fragmentary accounts of his sayings. The parable about the servants who multiplied the talents is a veiled form of this, where the one servant who did not multiply the talent was only focused on himself and his narrow self-interest. He did not want to take a risk. But the others multiplied the talents by giving selfless service. You could also say that what Jesus taught to his disciples and again in veiled form in his parables was that by giving a certain kind of service here on earth, you receive a reward from a higher source, or in the spiritual realm after your life on earth. He gave the parable about those who have their reward here on earth because that is what they want and those who want their reward in heaven. What he really called for was for people to walk the path of Christhood, which is the ultimate form of service you can give on this planet.

물론, 【더 높은 수준의 봉사】가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모든 것을 자세히 설명했던〕 방법】입니다 그리고 (또한) 【그의 발언의 단편적인 말에 베일을 쓴 형태로】. 【〔(재능을 크게 증가시킨) 하인〕에 대한 우화】는 {『【〔재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은〕 한 명의 하인】은 【〔그 자신〕과 〔그의 좁은 자기 이익〕】에만 집중했다는』 이것의 베일을 쓴 형태}입니다. 그는 【위험을 무릅쓰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하인들】은 【이타적인 봉사를 하는 것에 의해서】 재능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쳤던 것 - 그리고 다시 그의 우화에 베일을 쓴 형태로】이 『여기 지구에서 특정한 종류의 봉사를 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이 【〔더 높은 근원으로부터〕 혹은 〔(지구에서 여러분의 삶 이후) 영적인 영역에서〕】 보상을 받는다는 것』이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는 『【〔그것이 (그들이 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 지구에서 그들의 보상을 받는) 사람들〕】과 【〔하늘나라에서 그들의 보상을 원하는〕 사람들】에 대한 우화』를 주었습니다. 【그가 실제로 요구했던 것】은 【사람들이 그리스도임의 길을 걷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이(그리스도임의 길을 걷는 것) 【〔여러분이 이 행성에서 할 수 있는〕 궁극적인 형태의 봉사】입니다.

Now this does not mean that people can do this only by being Christians and by using the same terminology that we use, calling it Christhood. It is really a path to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a higher state of awareness, where you escape the illusion of separation,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that causes you to be focused on yourself as a separate individual. Instead you step up. It is not a matter of forcing yourself to do this. This is what has been one of the downfalls of the Christian religion to this day.

(자) 이것은 『사람들이 【〔기독교인이 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그것을 그리스도임이라고 부르면서〕, 〔(〈우리가 사용하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이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여러분이 【〔여러분이 (분리된 개인으로서 여러분 자신에 집중하도록) 야기하는〕 분리의 환상,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에서 벗어나는』 더 높은 의식 상태, 더 높은 인식 상태에 이르는 길}입니다. (대신에) 여러분은 앞으로 나갑니다. 그것은 【〔여러분 자신이 (이것을 하도록) 강요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것은 (오늘날까지) 【기독교의 몰락의 원인 중의 하나였던 것】입니다.

Service based on force

힘에 근거한 봉사

Many Christians have started to grasp that Jesus had some higher message and that he called them to a higher level of service. But they are sitting there reading the Bible and thinking: “How can I do what Jesus told me to do?” Then they force themselves to go out and do, for example, some kind of charity or some kind of missionary work. But what Jesus really called his disciples to do, those who were at a high enough level to grasp his inner teachings, was to go through that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You are not giving this service because you are forcing yourself. When you are forcing yourself, you are still looking at: “What is my advantage? What do I get out of this?” There are even those who are looking at: “If I do all of these good things on earth, if I am a good Christian, if I am a Christian minister, if I do all this missionary work, surely God is going to reward me in heaven, and that is what I want.” This is still self-centered service.

【많은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어떤 더 높은 메시지)를 갖고 있었고〕 그리고 〔그가 (그것들을 더 높은 수준의 봉사)라고 불렀다는 것〕】을 파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성경을 읽고〕 그리고 〔생각하면서〕】 거기에 앉아 있습니다: "내가 어떻게 【예수가 나에게 하라고 말한 것】을 할 수 있을까?" (그런 다음) 그들은 【〔나가서〕 그리고 〔하도록〕】 그들 자신을 강요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자선 혹은 어떤 종류의 선교 사업. 그러나 【예수가 실제로 〔그의 제자들에게 하라고〕 요청했던 것 - 〔(그의 내적인 가르침을 파악하기에 충분히 높은 수준에 있었던) 사람들〕】은 【의식의 변화를 겪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이 봉사】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강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강요하고 있을 때, 여러분은 여전히 보고 있습니다: "【나의 이점】이 무엇인가? 내가 이것에서 무엇을 얻는가?" 심지어 【〔보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만약 내가 【지구에서 이 모든 좋은 일】을 한다면, 만약 내가 【좋은 기독교인】이라면, 만약 내가 【이 모든 선교 사업】을 한다면, (확실히) 하나님이 【하늘나라에서】 나에게 보상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내가 원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여전히) 【자기중심적인 봉사】입니다.

The higher level of service that Jesus called people to rise to is where you overcome the sense of separation. Therefore you see the underlying truth that is the essence of the Christ discernment, that all life is one and that the only way to raise up others is to raise up the whole: “The only way to raise up myself is to raise up others, thereby raising the whole.” This is a shift in consciousness. It is not something you take on as you take on a religious conviction or an ideology. Christianity, as it is defined by the Catholic church even to this day and by many Lutheran or fundamentalist churches to this day, is an ideology. It is a thought system that people take on, as you take on an overcoat. They force themselves to follow the system, thinking they will get some advantage. Communism was an ideology that people took on. Sure, there were people who believed in communism, who were converted to communism as some people are converted to Christianity. But it was still something that was based on force. They took it on and forced themselves to think this way, believe this way, act this way.

【〔예수가 사람들에게 ...로 올라가라고 요청한〕 더 높은 수준의 봉사】는 【여러분이 〔분리감〕을 극복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모든 생명)이 하나이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올리는 유일한 방법)은 (전체를 올리는 것)이라는〕】 【〔그리스도 분별력의 본질인〕 근본적인 진리】』를 봅니다: "【나 자신을 올리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사람들을 올리는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체를 올리는". 이것이 【의식의 변화】입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종교적인 신념 혹은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여러분이 받아들이는〕 어떤 것】이 아닙니다. 【기독교】는 - 그것이(기독교) 【〔오늘날까지도 가톨릭교회에 의해서〕 그리고 〔오늘날까지 많은 루터 교회 혹은 근본주의 교회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대로 - 【이념】입니다. 그것은(기독교)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사고체계】입니다, 여러분이 외투를 입는 것처럼. 그들은 【〔그들이 어떤 이점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체계를 따르도록】 그들 자신을 강요합니다. 【공산주의】는 【〔사람들이 받아들인〕 이념】이었습니다. 물론, 『【공산주의를 믿고】, 【〔일부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되는 것처럼〕 공산주의로 개종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여전히) 【〔힘에 기반을 두었던〕 어떤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이런 식으로 믿고), (이런 식으로 행동하도록)〕 그들 자신을 강요했습니다】』.

What we are explaining to you here is that what has happened in the modern democracies is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consciousness. This shift in consciousness is fundamental. It is a shift towards a higher form of service that is beyond oneself. But it can also be described in another way. It is a shift away from force and towards unity. What is the opposite of peace? Many will say it is war. But really the opposite of peace is force. Why are there nations that are at peace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know and they trust that: “This other nation is not going to force us.” The Swedes can trust that even though a thousand years ago Denmark had half of Sweden under the Danish king, the Danes are not going to invade Sweden and try to take it back. They have peace internally.

【우리가 여기에서 여러분에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현대 민주 국가에서 일어났던 것】이 【의식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의식의 이 변화】가 근본적입니다. 그것은 『【〔자신을 넘어서 있는〕 더 높은 형태의 봉사】 쪽으로 변화』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힘에서 멀리〕 그리고 〔통합 쪽으로〕】 변화』입니다. 【평화의 반대】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전쟁〕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평화의 반대】는 【힘】입니다. 【〔서로 평화롭게 있는〕 이 국가들】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그들이 알고 있고 그리고 그들이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이 다른 국가는 우리를 강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스웨덴 사람들】은 『비록 (수천 년 전에) 【덴마크】가 【덴마크 왕 아래에】 【스웨덴의 절반】을 갖고 있었더라도, 【덴마크 사람】은 【〔스웨덴을 침략하고〕 그리고 〔그것을 되찾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내적으로】 평화를 갖고 있습니다.

What you see in what we have called the modern world, which Putin calls the West, is this transcendence of the illusion that force is necessary, where you believe that the only way to get what you want is through force. You could look at world history and see that for the greater part of known history the world was dominated by force. There were groups, there were empires, that attempted to take by force from others. You have had examples of groups of people, even entire civilizations, that were not based on force. In some cases they have survived for some time. In other cases they have been taken over by those who were willing to use force. You have, of course, even more examples of two civilizations that both were willing to use force and clashed, often leading to one destroying the other or conquering the other or even both being destroyed.

【여러분이 〔우리가 (〈푸틴이 서구라고 부르는〉 현대 세계)라고 불렀던 것에서〕 보는 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 〔힘을 통해서〕라고】 믿는』 『【힘이 필요하다는】 환상』}의 이 초월◀입니다. 여러분은 {『【세계 역사】를 보고』 그리고 『【(알려진 역사의 대부분 동안) 세계가 〔힘에 의해서〕 지배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서 힘으로 빼앗으려고 시도한〕 집단】이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서 힘으로 빼앗으려고 시도한〕 제국】이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힘에 기반을 두지 않았던】 【〔집단의 사람들〕, 〔심지어 전체 문명〕의 예】』를 갖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그들은 【한동안】 생존했습니다. (다른 경우에) 그들은 【〔(기꺼이 힘을 사용했던) 사람들〕에 의해서】 장악되었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양쪽이 기꺼이 〔힘을 사용하고〕 그리고 〔격돌한〕 - 보통 〔하나가 다른 것을 파괴하거나 혹은 다른 것을 정복하거나〕 혹은 심지어 〔둘 다 파괴되는 것〕으로 이어지는】 두 문명』에 대한 훨씬 더 많은 예}를 갖고 있습니다.

Service based on unity

통합에 기반을 둔 봉사

You can see that as we have explained, democracy is the inevitable outcome of the historical proces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earth, because it is based on a raising of consciousness. Likewise, the willingness to use force has retreated. The historical necessity, if you will, has been a move away from force and towards a non-force-based approach to life. Why would Germany and France need to force each other when they have realized that they can achieve much more for both of them by cooperating voluntarily?

여러분은 『우리가 설명한 것처럼, 【민주주의】가 【〔지구의 역사적인 과정, 진화 과정〕의 불가피한 결과】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의식의 올라감】에 기반을 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힘을 사용하는 기꺼이 하는 마음】은 후퇴했습니다. 【역사적인 필요성】이 (말하자면) 『【힘에서 멀리】 그리고 【〔삶에 대한 힘에 기초하지 않은 접근법〕 쪽으로】』 이동했습니다. 『그들이 【그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하는 것에 의해서〕 그들 양쪽을 위해 훨씬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을 때』 【독일과 프랑스】가 (왜) 서로를 강요해야 하겠습니까?

There is force and there is voluntary effort. The modern world (I am not saying the West because there are nations that have risen to this level in other parts of the world as well), the modern world has transcended force and has voluntarily entered into this unwritten agreement based on a willingness to serve something that is beyond self-interest as separate individuals or groups of people. Ideally the European Union would become a group of nations that did not see themselves as separate nations anymore but simply saw themselves as part of a greater whole that transcends all of them. This is also ideally what would happen in the United States, even though, in the last decade especially, there has been a trend that some states have started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union in their minds, in their rhetoric, in their political convictions.

【힘】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발적인 노력】이 있습니다. 현대 세계 - 나는 【서구】를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세계의 다른 지역들에도〕 이 수준으로 올라간】 국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 현대 세계는 {『힘을 초월했고』 그리고 『【〔(분리된 개인 혹은 집단의 사람들로서) 자기 이익을 넘어서 있는〕 어떤 것을 위해 봉사하는 기꺼이 하는 마음에 근거해서】 【이 불문율의 합의】에 (자발적으로) 들어갔습니다』}. 이상적으로 【유럽 연합】은 ▶{『【그들 자신】을 더 이상 【분리된 국가】로 보지 않고』, 『단지 【그들 자신】을 【〔그들 모두를 초월하는〕 더 큰 전체의 일부】로 보는』} 집단의 국가◀가 되었을 것입니다. 이것이 또한 (이상적으로) 【미국에서 일어날 것】입니다, 비록 (특히 지난 10년 동안에) {『【일부 국가】가 【〔그들의 마음속에서〕, 〔그들의 미사여구로〕, 〔그들의 정치적인 신념으로〕】 【〔연합〕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분리하기】 시작하는』 추세}가 있었더라도.

People trapped in a force-based mindset

힘에 기초한 사고방식에 갇힌 사람들

You see here that if you look at history, it is clear that regardless of what it may seem, the world is moving away from force and towards peace and cooperation. This is the movement that we clearly see from the ascended realm, where we, of course, can se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e can see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realms. But there are certainly people in embodiment who also see this. If you did not see it, how could you have had the growth in abundance and cooperation that you have seen over these last several decades? If people did not trust that the world is moving away from force, how could they feel secure enough, peaceful enough, to cooperate? Naturally you see that Putin and Russia have not risen to that level. They are still trapped in a force-based mindset. They still believe that, despite all of the wealth, all of the natural resources of Russia, this is not enough. They need to take by force. They need to get something from other people, they believe, but the only way to get it that they can see is to take it by force. But will it be possible for Russia to take what they want by force? You can say physically the invasion of Ukraine was an attempt to take by force. But how has it worked out? Not so well, certainly not as planned. Beyond this Russia and especially Putin want something else. In a sense you can say that the Russian power elite, Putin and those who enable him, they want certain advantages. They think that the only way to get those advantages from the West, as they call it, is to force the West to give it to them.

여러분은 여기에서 {만약 여러분이 【역사】를 본다면, 『【그것이(역사) ...처럼 보일 수도 있는 것】에 상관없이, 【세계】가 【〔힘에서 멀리〕 그리고 〔평화와 협력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는 것}을 봅니다. 이것은 {『물론, 【우리가 〔집단의식〕을 볼 수 있고】, 【우리가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영역〕을 볼 수 있는】』 【〔우리가 분명히 보는〕 움직임】}입니다. 그러나 (확실히) 【〔또한 이것을 보는〕 구체화 안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그것을 보지 못했다면,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이 이 지난 몇 십 년 동안 본〕 풍요와 협력의 증가】를 가질 수 있었습니까? 만약 사람들이 【〔세계〕가 〔힘에서 멀리〕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신뢰하지 못한다면, 그들이 어떻게 【〔협력하기에〕 충분히 안전하고, 충분히 평화롭다고】 느낄 수 있습니까? (물론) 여러분은 【〔푸틴과 러시아〕가 〔그 수준〕으로 올라가지 못했다는 것】을 봅니다. 그들은 여전히 【힘에 기초한 사고방식】에 갇혀 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러시아〕의 모든 부, 모든 천연자원】에도 불구하고,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힘으로】 빼앗아야 합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떤 것】을 얻어야 합니다, 그들은 믿지만, 【〔그들이 볼 수 있는〕 그것을 얻는 유일한 방법】은 【힘으로 그것을 빼앗는 것】입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그들이 원하는 것〕을 힘으로 빼앗는 것】』이 가능할까요? 여러분은 『【물리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침략】이 【힘으로 빼앗는 시도】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어떻게 진행되었습니까? 별로 좋지 않습니다, 확실히 계획된 대로는 아닙니다. (이것 외에) 【〔러시아〕와 특히 〔푸틴〕】은 【다른 어떤 것】을 원합니다.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러시아 파워엘리트〕, 〔푸틴〕과 〔(그가 할 수 있게 하는) 사람들〕】, 그들이 【특정한 이점】을 원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그것을 부르는 대로) 서구〕로부터 〔그 이점들〕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 【서구가 〔그들에게 그것을 주도록〕 강요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ould this ever be achieved? Well, you could say that in Putin’s mind he has achieved quite a lot over the last 20 years by intimidating the West into not standing up to him. He has interpreted this as a weakness, but as we have explained, this was because the West gave Putin some slack, some benefit of the doubt that he and Russia could eventually rise to the same level of non-separation, non-force-based society, as the West. But if the West really felt threatened by Russia, if they felt that their way of life and their way of cooperation was threatened by this external force, what would happen? You see that what Putin sees as weakness from the West is really an expression of the humanity. Because when you rise to a higher level of peacefulness, non-force-based society, you are not instantly throwing back to others what they throw at you. You are turning the other cheek. You are saying: “Yeah, we see there is force from Russia, but this is not a matter of an eye for an eye and a tooth for a tooth. So we will just take it easy here, give them another opportunity to come to their senses and so forth.” Putin has gained some advantages by playing this game, but what would happen if he went too far? If he got to the point where the West, as he calls it, realized that: “We cannot continue to be passive. We need to say stop.“ The result would be that all of these nations would respond in unity to stop Russia. Since they have a greater population and certainly greater prosperity, higher awareness, higher organization, there is nothing Russia could do about it. Certainly nothing that would secure the future of Russia or get what they wanted.

이것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음, 여러분은 『(푸틴의 마음속에서) 그가 【〔서구를 위협해서 그에게 맞서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서】 지난 20년 동안 많이 성공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는 이것을 나약함으로 해석했지만, 우리가 설명한 것처럼, 이것은 ▶서구가 푸틴에게 {『약간의 느슨함』, 『【〔그와 러시아〕가 결국 〔서구처럼〕 〔동일한 수준의 비분리, 힘에 기초하지 않은 사회〕로 올라갈 수 있다는】 약간의 의심의 이익』}을 주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서구가 실제로 【러시아에 의해서】 위협받음을 느꼈다면, 만약 그들이 『【〔그들의 삶의 방식〕과 〔그들의 협력 방식〕】이 【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위협받는다고』 느꼈다면, 무엇이 일어나겠습니까? 여러분은 『【푸틴이 〔서구의 나약함〕으로 보는 것】이 (실제로) 【인간애의 표현】이라는 것』을 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더 높은 수준의 평화로움〕, 〔힘에 기초하지 않은 사회〕】로 올라갈 때, 여러분은 【그들이 여러분에게 던지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즉시 되던지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뺨을 돌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 우리는 【러시아에게서 온 힘이 있다는 것】을 보지만, 이것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는 (단지) 『【여기에서 진정하고】, 【그들에게 〔정신을 차릴 다른 기회〕를 줄 것입니다】』". 【푸틴】은 【이 게임을 하는 것에 의해서】 약간의 이점을 얻었지만, 【만약 그가 너무 멀리 간다면】 무엇이 일어나겠습니까? 만약 그가 『【〔그가 그것을 부르는 대로〕 서구】가 【: "우리는 계속 소극적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만이라고 말해야 합니다"】를 인식하는』 지점에 이른다면. 결과는 【〔이 모든 국가들〕이 〔러시아를 멈추게 하기 위해〕 〔결속하여〕 반응할 것이라는 것】일 것입니다. 그들이 【〔더 많은 인구〕와 확실히 〔더 큰 번영〕, 〔더 높은 인식〕, 〔더 높은 조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가 그것에 대해 할 수 있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확실히) 『【〔러시아의 미래를 보장하거나〕 혹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아무것도』 없습니다.

Using force against people who have risen above force

힘을 초월한 사람들에 맞서 힘을 사용하는 것

What I am saying here is that Putin has been playing a certain game with the West, but there is a limit to how far this can go. With the invasion of Ukraine he took it too far. Exactly how this plays out remains to be seen, but he has burst the bubble of tolerance from the West. What he saw as weakness was tolerance, and he has now expended his allotted quantity of tolerance. What I am seeking to explain here is that what Russia has been trying to do is to use force against nations that have risen above force. It cannot work. In the long run it cannot work. Partly because of the law of karma,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but also because those who are in a force-based state of mind cannot force those who have transcended that state of mind.

【내가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푸틴〕이 〔서구와 특정한 게임〕을 계속하고 있지만】, 【〔(이것이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에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크라이나의 침략으로) 그는 그것의 도를 지나쳤습니다. 이것이 (정확히 어떻게) 전개될지 두고 볼 일이지만, 그는 【서구로부터 관용의 거품】을 터뜨렸습니다. 【그가 나약함으로 보았던 것】은 【관용】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이제) 【그에게 할당된 양의 관용】을 소진했습니다. 【내가 여기에서 설명하려고 추구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가 하려고 계속 노력하고 있는 것】이 【〔(힘을 초월한) 국가〕에 맞서 힘을 사용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작용할 수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그것은 작용할 수 없습니다. (부분적으로) 【〔카르마의 법칙〕, 〔열역학 제2법칙〕】 때문이지만, (또한) 【〔힘에 기초한 마음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그 마음 상태를 초월한〕 사람들】을 강요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s that not what Jesus demonstrated 2000 years ago? There were groups in Israel who were militant, who were armed, who were trained and who wanted to create a violent uprising against the Romans, and they wanted Jesus to lead it. Jesus could have made himself a leader of these groups and thereby prevented himself from being arrested and tortured and crucified. But he went through the crucifixion in order to demonstrate something very simple: When you have risen above the consciousness of force, those who are still in a force-based consciousness have no power over you. Yes, they may imprison and torture and crucify your physical body. But did they have any power over the mindset of Jesus, the mind of Jesus? None whatsoever. You see here that the West, of course, is not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Jesus. They still have armies and weapons. Putin cannot force them to go backwards into a force-based state of consciousness. What he is doing is completely impossible. Can he see this? Of course not. But some among the Russian people can see it, and that is why I am stating this so it goes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그것이 【예수가 2000년 전에 보여주었던 것】이 아닙니까? 『【〔공격적인〕, 〔무장한〕, 〔훈련받은〕 그리고 〔(로마인들에 맞서 폭력적인 봉기를 일으키기를) 원했던〕】 이스라엘에 집단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수가 그것을 이끌기를】 원했습니다. 예수는 『【그 자신을 〔이 집단들의 지도자로〕 만들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자신〕이 〔체포되고 고문당하고 십자가에 매달아 죽임을 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매우 간단한 어떤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십자가에 못 박힘을 겪었습니다: 여러분이 【힘의 의식】을 초월했을 때, 【〔(여전히) 힘에 기초한 의식 안에 있는〕 사람들】이 【여러분】을 지배하지 못합니다. 예, 그들은 【〔투옥하고〕 그리고 〔고문하고〕 그리고 〔(여러분의 육체적인 몸)을 십자가에 매달아 죽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예수의 사고방식〕, 〔예수의 마음〕】에 대해 어떠한 힘을 갖고 있었습니까? 전혀. 여러분은 여기에서 【(물론) 〔서구〕가 〔예수의 의식의 수준〕에 있지 않다는 것】을 봅니다. 그들은 (여전히) 【〔군대〕와 〔무기〕】를 갖고 있습니다. 푸틴은 【그들】이 【〔힘에 기초한 의식 상태〕로 돌아가도록】 강요할 수 없습니다. 【그가 하고 있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합니다. 그가 【이것】을 볼 수 있을까요? 물론 아닙니다. 그러나 【러시아인들 가운데 일부】는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 〔집단의식〕에 들어가도록】 【〔내가 이것을 말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Giving selfless service

사심 없는 봉사를 하기​

Of course, I am also radiating this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Ukraine because it is important that those who are able to grasp this in Ukraine begin to think about this, talk about this, write about this, the need for Ukraine to transcend this force-based state of consciousness that has been there lingering from the Soviet Union and even before. You have seen fistfights in the Ukrainian parliament. Is that not an expression of force? You supposedly have a democratically elected parliament that you would expect was dedicated to democracy, which is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Yet instead of being able to resolve things through debate, they had to resort to a fistfight. You see there is still a need in Ukraine to transcend this force-based mindset. There is even a need in the armed forces, which many among the armed forces have risen to, that you fight, but you are not driven by hatred. You fight because it is necessary, but you do not hate the enemy. You are not being inhumane towards the enemy.

물론, 나는 (또한) 【우크라이나의 집단의식】으로 【이것】을 방출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크라이나에 이것을 파악할 수 있는〕 사람들】이 【우크라이나가 〔(〈소비에트 연방과 심지어 이전부터〉 남아 있었던) 이 힘에 기초한 의식 상태〕를 초월할 필요성】 【〔이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고〕, 〔이것에 대해 말하고〕, 〔이것에 대해 쓰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우크라이나의 의회에서 주먹다짐】을 보았습니다. 그것이 【힘의 표현】이 아닙니까? 여러분은 (아마) 『【여러분이 〔민주주의에 헌신하기를〕 기대하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의회』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민주주의) 【평화적인 갈등 해결】입니다. 하지만 【〔토론을 통해서〕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신에, 그들은 【주먹다짐】에 의지해야 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힘에 기초한 사고방식〕을 초월할 우크라이나에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이 싸우지만〕, 〔여러분이 증오에 의해서 내몰리지 않는〕】 - 군대 가운데 상당수가 ...로 올라간 - 군대에 필요성』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싸우지만, 여러분은 【적】을 증오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적에게 비인간적이지 않습니다.

What this really comes down to is that in order to secure the best possible future for Ukraine, there needs to be a critical mass of people who rise to that level where they can give service. They can give service to the state, to rebuilding the country. And it is a service that even though they might get some advantage out of it, is not really based on getting advantage for themselves, but because they see the need to raise the whole, to rebuild the country. To rebuild it better than it was before.

【이것이 실제로 ...로 요약되는 것】은 『【〔우크라이나의 가능한 가장 좋은 미래〕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들이 봉사할 수 있는) 그 수준까지 올라가는〕 임계 질량의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국가에〕, 〔국가를 재건하는 것에〕】 봉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비록 그들이 【그것에서 어떤 이점】을 얻을 수도 있더라도, 그것은 실제로 【그들 자신을 위해 이점을 얻는 것】에 기반을 두지 않는』 봉사}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전체를 올리는〕, 〔국가를 재건하는〕】 필요성』을 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국가) 이전에 있었던 것보다】 그것을(국가) 더 잘 재건하기 위해.

This also has ties to corruption, which is one of the big problems in Ukrainian society. Corruption is anti-service. It does not serve the whole, it detracts from the whole. In a country like Ukraine corruption is so ingrained that it will take a major effort to reduce it to a manageable level. Who can do this? Who can spearhead this effort? Only people who have risen to that level of consciousness where they can give selfless service. For those, and this is one of the central problems with corruption, what do you do about corrupt officials? Who can expose and dethrone a corrupt official? Well, only an official, a public official. But if all public officials rise to positions in order to enrich themselves, who is going to fight corruption?

이것이 (또한) 【부패】와 관련됩니다, 그것은(부패) 【우크라이나 사회에 큰 문제 중의 하나】입니다. 【부패】는 【반봉사】입니다. 그것은(부패) 【전체】에 기여하지 않습니다. 그것은(부패) 【전체】를 손상시킵니다. (우크라이나와 같은 국가에서) 【부패】는 【〔관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그것을(부패) 줄이기 위해〕 중대한 노력이 필요할 정도로】 매우 뿌리 깊습니다. 누가 【이것】을 할 수 있을까요? 누가 【이 노력】을 진두지휘할 수 있을까요? 『【〔(그들이 사심 없는 봉사를 할 수 있는) 그 의식 수준〕으로 올라간】 사람들만』. 그들에게, 그리고 이것은 【부패와 관련된 중심되는 문제들 중의 하나】입니다, 여러분은 【부패한 공무원들】에 대해 무엇을 합니까? 누가 【부패한 공무원】을 노출시키고 몰아낼 수 있을까요? 음, 오직 공무원, 공직자. 그러나 만약 【모든 공직자】가 【그들 자신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서】 지위로 올라간다면, 누가 【부패】와 싸울 것입니까?

There needs to be a certain and a larger and larger group of people who enter public service to give service. They can then start uprooting corruption. Of course, the people have a role to play also in demanding freedom from this corruption. This also requires that the people have a certain dedication to serving the whole, serving the nation, instead of thinking: “Well, what if I could get a position where I could get some bribes and enrich myself? If this is what I want, well, how can I really object to those who already have it? I just need to work with the system and get myself in a position like that.” You see, those who are in positions or those who dream of being in positions, they are not the ones who are going to fight the problem, are they?

【〔(봉사하기 위해) 공무에 들어가는〕 일정한 그리고 점점 더 큰 집단의 사람들】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부패〕를 뿌리째 뽑아내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은 【〔이 부패〕로부터 〔자유〕를 요구함에 있어서도】 할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신에】 【〔(전체를 위해 봉사하는 것),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것)〕에 대한 특정한 헌신】을 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음, 내가 『【내가 〔약간의 뇌물을 받고〕 그리고 〔나 자신을 부유하게 만들 수 있는〕】 지위』를 얻을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이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라면, 음, 내가 실제로 어떻게 【〔이미 그것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 반대할 수 있는가? 나는 단지 【〔제도와 함께 일하고〕 그리고 〔그와 같은 지위에 도달해야 합니다〕】". 있잖아요, 【〔지위에 있는〕 사람들】 혹은 【〔지위에 있는 것을 꿈꾸는〕 사람들】, 그들은 【문제와 싸울〕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렇죠?

Again, there needs to be a shift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course, this is why I am radiating this energetic impulse, this thought matrix,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so that people can begin to grasp this. Of course, many have already grasped it, but more need to grasp it before it reaches that critical mass and the nation shifts. The nation has started to shift because of the shock of the war, but it has not shifted yet. There are still many, many people who are sitting there in their positions thinking: “Oh, I’ll ride this out. I’ll still stay in my position, and once it is all over, it will be back to business as usual.” But it cannot be back to business as usual if Ukraine is to move forward. If the current level of corruption is maintained after the war, Ukraine will not be rebuilt, at least not in the time frame that it could be rebuilt in if corruption is reduced.

다시, 【집단의식에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사람들〕이 이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이것이 『【내가 〔(이 에너지 자극), (이 사고 매트릭스)〕를 〔집단의식〕으로 방출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은 이미 【그것】을 파악했지만, 【〔그것이 그 임계 질량에 도달하고〕 그리고 〔국가가 바뀌기 전에〕】 【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파악해야 합니다. 【전쟁의 충격 때문에】 【국가】가 바뀌기 시작했지만, 그것은(국가) 아직 바뀌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생각하면서) 그들의 지위에 앉아 있는〕 많고,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 나는 이것을 이겨낼 것입니다. 나는 【나의 지위에】 계속해서 머물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끝날 때, 평상시처럼 업무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우크라이나〕가 전진하려면】 평상시처럼 업무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만약 【현재의 부패 수준】이 【전쟁 이후】 유지된다면, 【우크라이나】는 재건되지 않을 것입니다, 적어도 『【〔만약 부패가 줄어든다면〕 그것이(우크라이나) 재건될 수도 있는】 기간』에는 재건되지 않습니다.

You will see how the money that is given from abroad, from the EU and other sources, will just be siphoned off by all of these corrupt officials. You will see that all of this money has gone into the country, but what the country has gotten out of it, in the form of rebuilding infrastructure and buildings and so forth, will be far less than the actual money coming in. What will that mean? Well,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money stream will dry up, and where will Ukraine be then? It will be with an economy that is in shambles, with a bombed-out country that has only been rebuilt to a very small extent, and it will be stuck. It will become a quagmire. It will become almost a third world country.

여러분은 『【〔(해외에서), (EU와 다른 출처에서) 주어지는〕 돈】이 (단지) 어떻게 【이 모든 부패한 공무원들에 의해서】 빨대로 빨아들여질지』를 볼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 모든 돈】이 【국가】에 들어갔지만』, 『【국가가 〔사회 기반 시설과 건물 등등을 재건하는 형태로〕 그것(돈)에서 얻어낸 것】이 【실제 돈이 들어온 것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는 것』}을 볼 것입니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음, (단기간에) 【돈의 흐름】이 말라붙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 【우크라이나】가 어디에 있을까요? 그것은(우크라이나) 『【〔(매우 작은 정도로 재건되었을 뿐인) 폭격으로 완전히 파괴된 국가〕와 함께】, 【〔(난장판이 되어 있는) 경제〕와 함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우크라이나) 움직일 수 없을 것입니다. 그것은(우크라이나) 수렁이 될 것입니다. 그것은(우크라이나) 【거의 제3세계 국가】가 될 것입니다.

It is the right thing to do!

그것이 할 옳은 일입니다!

There is an absolute need here to step up to that higher level of service. If it does not happen, the consequences of the war will be far worse than they will be when the war is over. In other words, society, Ukraine as a nation, can actually go downhill after the war instead of starting to go uphill. Ukraine has an incredible opportunity to go uphill, as the other Chohans have explained. But it requires that shift where we see that: “There is a whole here that is bigger than myself, and I am willing to serve that whole, even if I don’t get an immediate advantage out of it.” What is it you see in the modern nations? Well, most people are not conscious of this, but there is a certain awareness, a certain dedication, in people. You might ask a person: “Well, why did you do this?” You might see that this person has done something that the person did not get any advantage out of it, but the person did it anyway. You might say: “Why did you do this?” Many people will say: “Well, it was the right thing to do.”

여기에 【〔그 더 높은 수준의 봉사〕에 다가갈 절대적인 필요성】이 있습니다. 만약 그것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전쟁의 결과】는 【〔전쟁이 끝날 때〕 그것들이 있을 것보다】 훨씬 더 나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회〕, 〔국가로써 우크라이나〕】는 (실제로) 【언덕을 올라가기 시작하는 대신에】 【전쟁 이후에】 내리막길로 접어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언덕을 올라갈 믿을 수 없는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다른 초한들】이 설명한 것처럼.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보는〕 그 변화】를 요구합니다: "【〔나 자신보다 더 큰〕 전체】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기꺼이 【그 전체】를 위해 봉사합니다, 비록 내가 【그것에서 즉각적인 이점】을 얻지 못하더라도". 【여러분이 현대 국가에서 보는 것】이 무엇입니까? 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을 알지 못하지만, 【사람들 안에 특정한 인식, 특정한 헌신】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사람에게 물을 수도 있습니다: "음, 당신은 (왜) 이것을 했습니까?" 여러분은 {이 사람이 『【그 사람이 〔그것에서 어떠한 이점〕도 얻지 못했지만, (그래도) 그 사람이 그것을 한】 어떤 것』을 했다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은 (왜) 이것을 했습니까?" 【많은 사람들】은 말할 것입니다: "음, 그것이 【할 올바른 일】이었습니다".

This is the foundation for higher service: It is the right thing to do. You may be able to explain why you think it is the right thing to do, but sometimes people cannot explain it. They just feel it intuitively. They know in their hearts, they know from within: “It’s the right thing to do.“ This is, of course, because in past lives they have acquired that humanity, and when you have a certain level of humanity, you know serving others is the right thing to do.

이것이 【더 높은 봉사를 위한 토대】입니다: 그것이 【할 올바른 일】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것이 (할 올바른 일)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지만, (때때로) 사람들은 그것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직관적으로) 그것을 느낄 뿐입니다. 그들은 【그들의 가슴속에서】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내부에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할 올바른 일입니다". 물론, 이것은 【(과거 삶에서) 그들이 〔그 인간애〕를 얻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특정한 수준의 인간애】를 갖고 있을 때,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할 올바른 일〕이라는 것】을 압니다.

This is well within the reach of the Ukrainian population, a critical mass of them, to step up to this. Many have, as I said, already done it. Many have actually been prompted by the war to say: “This is not the time to look at myself. This is the time to serve the whole, serve other people, serve the country.” They are out there doing this because they also feel it is the right thing to do. Many more have the potential to shift, and many more need to shift for the nation, for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o shift.

이것이 【이것에 다가갈 우크라이나 주민(그들 중의 임계 질량)의 미치는 범위 안에】 있습니다. 내가 말한 것처럼, 【많은 사람들】은 이미 그것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 【전쟁에 의해서】 말하도록 자극받았습니다: "지금은 나 자신을 볼 때가 아닙니다. 지금은 【〔전체를 위해 봉사할〕,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할〕, 〔국가를 위해 봉사할〕 때】입니다". 그들은 (저기에서) 이것을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 또한 【그것이 〔할 올바른 일〕이라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바뀔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국가가), (집단의식이)〕 바뀌기 위해】 바뀌어야 합니다.

Too many people in Ukraine at this moment are still thinking: “Ah, it’ll be over, and we’ll be back to life as usual.” Many people in the western part of Ukraine, who are actually in some ways the more progressive people, they have not been so directly affected by the war, and they are thinking: “Ah, there will come a point where the war is over, and we’ll be back to life as usual”.

But is that really what you want if you are the more progressive people? Do you want to go back to life the way it was before the war, or do you want the nation to rise to a higher level of life? Do you want more, or do you want what was before? That is the question: to be or not to be.

【바로 지금 우크라이나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 그것은 끝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평상시처럼】 삶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실제로 여러 가지 점으로) 더 진보적인 사람들인〕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 많은 사람들】, 그들은 【전쟁에 의해서】 (매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 【〔전쟁이 끝나는〕 시점】이 올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평상시처럼】 삶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더 진보적인 사람들〕이라면】 그것이 (실제로) 여러분이 원하는 것입니까? 여러분은 『【전쟁 이전에】 【〔그것이(삶) 있었던〕 방식으로】』 삶으로 돌아가기를 원합니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국가가 【더 높은 수준의 삶으로 올라가기를】 원합니까? 여러분은 【더 이상】을 원합니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이전에 있었던 것】을 원합니까? 그것이 문제입니다: 사느냐 죽느냐.

The impetus from the Sixth Ray

여섯 번째 광선으로부터 자극

With this I have given you that impetus from the Sixth Ray that we wanted to give you at this particular occasion. Much more could be said. It might be said in the future. But what I have said is a measured release based on where I se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eing at and therefore what has the biggest potential for creating the necessary shift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 will say that the fact that so many Ukrainians have left as refugees and have come to other countries is a tremendous opportunity for the country.

(이것으로) 나는 여러분에게 『【우리가 〔이 특별한 기회에〕 여러분에게 주고 싶었던】 여섯 번째 광선으로부터 그 자극』을 주었습니다. 【훨씬 더 많은 것】이 말해질 수 있습니다. 그것은 (미래에) 말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말한 것】은 {『【(내가 보는) 집단의식이 어디에 있는지】 따라서 【〔집단의식에 필요한 변화를 만들기 위한 가장 큰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에 근거해서』 알맞은 발표}입니다. 나는 {『【매우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난민으로 떠났고〕 그리고 〔다른 국가로 왔다는〕】 사실』이 【국가를 위한 엄청난 기회】라고} 말할 것입니다.

These people, many of whom have grown up in Ukraine and have never even left Ukraine, they have now experienced what life is like in different countries. Many of those countries are ahead of Ukraine in many ways. They have an opportunity to take this back with them and therefore give that impetus: “We can do better. We need to do better. They are doing this over there. We can learn from that. This is what we need to do.”

『【〔우크라이나에서 성장했고〕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결코 떠난 적이 없었던〕】 이 사람들』, 그들은 (이제) 【〔다른 국가들에서 삶〕이 무엇과 같은지】 경험했습니다. 【그 국가들 중의 많은 국가】는 (여러모로) 우크라이나를 앞서 있습니다. 그들은 『【〔이것을 갖고 돌아와서〕 따라서 〔그 자극을 줄〕】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더 잘 해야 합니다. 그들은 (저기에서) 【이것】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해야 하는 것】입니다".

If Ukraine can make the shift that we are talking about, then these people will come back. They will come back with a renewed vision and impetus to rebuild the country. But what happens if Ukraine does not make the shift? Well, many of these people will not come back. They will look for jobs in the countries where they are at. They will integrate, and what will be left to rebuild Ukraine? Again, there is a high potential, there is a low potential. We need to make you aware of the low potential so that you can make that effort to manifest the high potential. This is what we have attempted to do.

만약 【우크라이나】가 【〔우리가 ...에 대해 말하고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다면, 【이 사람들】은 돌아올 것입니다. 그들은 【〔국가를 재건할 새로워진 비전자극〕을 갖고】 돌아올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우크라이나〕가 변화를 만들지 못한다면】 무엇이 일어날까요? 음, 【이 사람들 중의 많은 사람들】이 돌아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에 있는〕 국가에서】 일자리를 구할 것입니다.

그들은 통합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재건하기 위해 무엇이 남겨질까요? 다시, 【높은 잠재력】이 있습니다, 【낮은 잠재력】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높은 잠재력을 나타내기 위해〕 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우리는 【여러분이 낮은 잠재력을 알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하려고 시도한 것】입니다.

Again, I have said my piece. I have given the service that I wanted to give. Thus, I seal you who have been willing to be the broadcast stations for this message, which is much more than the words. I seal you in the flame of peaceful service that I AM.

다시, 나는 내 몫을 말했습니다. 나는 【〔내가 하고 싶었던〕 봉사】를 했습니다. 따라서, 나는 【〔기꺼이 이 메시지를 위한 방송국이 되었던〕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그것은(이 메시지) 말보다 훨씬 더 이상입니다. 나는 【〔나인〕 평화적인 봉사의 화염】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The Ascended Master Nada I AM. The Buddha Nada I AM.

나는 상승 마스터 나다입니다. 나는 붓다 나다입니다.

 

Copyright © 2022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