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변화에 대한 저항에 직면하는 충격

의식 성장 2022. 12. 25. 14:32

-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예수 그리스도 -

"여러분의 영적인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중에서 발췌

 

You, of course, cannot go against their free will. It is not that you really have a desire to go against free will, but before you came here, you were just thinking that when you show them there is a way out of misery, they will want to follow that way. You realize, as a shock, that there are certain beings, the fallen beings, and not only do they not want to change but they will attempt to destroy you. In some cases, you can deal with this, but what you also realize is that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on this planet, they do not want to destroy you, they just do not want to have anything to do with you. They do not want to listen to you, they do not want to change.

물론, 여러분은 【그들의 자유의지】에 저항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이 실제로 〔자유의지에 저항하는 욕구〕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분이 여기에 오기 전에, 여러분은 단지 『여러분이 그들에게 【〔고통에서 나가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보여줄 때, 그들이 【그 방법을 따르기를】 원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특정한 존재들, 추락한 존재들〕이 있고】, 그리고 【그들이 〔바뀌기를〕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여러분을 파괴하려고〕 시도할 것이라는 것】』을 (충격으로써) 인식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분은 【이것】을 다룰 수 있지만, 【여러분이 또한 인식하는 것】은 『이 행성에 대다수의 사람들, 그들이 【여러분을 파괴하기를】 원하지 않고, 그들이 단지 【여러분과 관계가 있기를】 원하지 않고, 그들이 【여러분에게 귀를 기울이기를】 원하지 않고, 그들이 【바뀌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When you experience this, it is so easy for us (and we have all done it) to somehow make a decision (whatever it is for us individually) that: “I shouldn’t have come here, this was a mistake, there is nothing I can do here, there is no point for me being here, I can’t change the fallen beings, I can’t even change the human beings because they don’t want to change, they don’t want to overcome their suffering, they don’t even want to listen to me. They actually don’t want me here.”

여러분이 이것을 경험할 때, 【우리(그리고 우리 모두가 그것을 했습니다)】가 【어떻게든 결정하는 것 - 개인적으로 우리에게 그것이 어떤 것이든】이 매우 쉽습니다: "나는 여기에 오지 않았어야 합니다, 이것은 실수였습니다, 【〔내가 여기에서 할 수 있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내가 여기에 있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나는 【추락한 존재들】을 바꿀 수 없습니다, 나는 【인간】을 바꿀 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바뀌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고통을 극복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나에게 귀를 기울이기를】 원하지도 않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여기에서 나를 원하지 않습니다".

It gives you a sense of deep frustration. Why am I here? What am I doing here? In the moment where you experience this frustration full force, that is when you make some kind of decision about how you will approach life from now on. It can be, again, very individual how you formulate this in words and that is why you need to discover it individually. As a general example, you may make a decision that: “I will not interfere with people’s free will.” Or: “I will never force anyone. I will never make decisions that affect other people because I do not want to force anyone.” Or: “I will not challenge the fallen beings.” Or you may make the decision, as is described in the book, that you will fight the fallen beings; or the decision that you want to understand the fallen beings and why they are reacting the way they do.

그것이 여러분에게 【깊은 좌절감】을 줍니다. 내가 왜 여기에 있는가? 내가 여기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여러분이 이 좌절을 (전력으로) 경험하는〕 순간에】, 그것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이제부터) 어떻게 삶에 접근할지〕에 대해 어떤 종류의 결정】을 할 때』입니다. (다시) 【여러분이 이것을 어떻게 말로 표현할지】 매우 개인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이 (개인적으로) 그것을 발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일반적인 예로써, 여러분은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나는 【사람들의 자유의지】를 방해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결코 누구도 강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결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나는 【누군가를 강요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추락한 존재들에게 도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책에서 설명된 것처럼) 【여러분이 〔추락한 존재들〕과 싸울 것입니다】라고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여러분이 【추락한 존재들】과 【〔그들이 (〈그들이 하는〉 방식으로) 반응하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기를 원합니다』라고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