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transcending-worded-communication-with-your-higher-self/
Ascended Master Master Padmasambhava through Kim Michaels, June 6, 2023. This dictation was given at a conference in Seoul, Korea.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파드마삼바바, 2023년 6월 6일. 이 딕테이션은 한국, 서울에 컨퍼런스에서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Padmasambhava.
나는 상승 마스터 파드마삼바바입니다.
My contribution is not intended to be long, but I want to talk somewhat about words. Because if you look back throughout history on spiritual teachings that have been brought forth on this planet, you might ask yourself: What is the greatest hindrance, what is the greatest stumbling block to the spiritual progress of the many sincere people throughout the ages who have found the spiritual path? And that greatest hindrance is indeed words. Now, you might also ask yourself: What is then the greatest asset for the spiritual teachers of humankind? What is the greatest opportunity for spiritual people to make progress? And the answer is words. And the simple reason for this is, of course, that on a planet like earth, with the density of matter and a density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elepathic communication is not practical on a large scale. And therefore, spiritual teachings must be given with words.
【나의 기여】는 길지 않지만, 나는 【말에 대해】 (얼마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만약 여러분이 【〔이 행성에 낳아졌던〕 영적인 가르침】을 (역사를 통틀어) 되돌아본다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에게 물을 수도 있습니다: 『【〔(영적인 길을 발견한) 시대들 내내 많은 진실한 사람들〕의 영적인 진전】에 가장 큰 장애물』이 무엇인가, 『【〔(영적인 길을 발견한) 시대들 내내 많은 진실한 사람들〕의 영적인 진전】에 가장 큰 방해물』이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장 큰 장애물】은 (정말) 【말】입니다. 자,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 자신에게 물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류의 영적인 교사들〕의 가장 큰 자산】이 무엇인가? 【영적인 사람들이 진전할 수 있는 가장 큰 기회】가 무엇인가? 그리고 【대답】은 【말】입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간단한 이유】는 (물론) 『【〔(물질의 밀도)와 (집단의식의 밀도)를 가진〕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 【텔레파시 소통】은 (대규모로)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적인 가르침】은 말로 주어져야 합니다.
Words: opportunity and hindrance to spiritual growth
말: 영적인 성장에 기회와 장애물
On the one hand, giving spiritual teachings with words is indeed an opportunity, for it is a communication from the spiritual realm in the form of words. But on the other hand, words are also the greatest hindrance to spiritual progress. But why is that so? Well, it is because people have this tendency to become attached to a particular worded expression, wanting the words to convey or define some ultimate truth. The other reason is that the linear mind, the intellectual, analytical, rational reasoning mind, can do tricks with words. You might have seen these magicians that can do magic tricks, but the intellect can do magic tricks with words. It can interpret words. It can, as the saying goes, split hairs about splitting words, interpreting words endlessly. And this is, of course, what you saw the Hindu Brahmins do, and the Buddha attempted to counteract it. But not long after the Buddha was no longer in embodiment, the intellectual people of the Buddhist religion started doing the exact same thing. The scribes and the Pharisees did the same when Jesus walked the earth, but as soon as the Catholic Church was formed, and even before, theologians started doing the same thing with Jesus’ teachings.
한편으로는, 【말로 영적인 가르침을 주는 것】은 (정말로) 【기회】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말의 형태로 영적인 영역으로부터 전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말】은 (또한) 【영적인 진전에 가장 큰 장애물】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왜) 그럴까요? 음, 그것은 {사람들이 『【〔말〕이 〔(궁극적인 진리)를 전달하거나 정의하기를〕 원하면서】 【〔특정한 말로 된 표현에 애착을 갖게 되는〕 이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유】는 『【〔선형적인 마음〕, 〔지적인, 분석적인, 합리적인 추론하는 마음〕】이 【말로】 속임수를 부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마술을 부릴 수 있는〕 이 마술사들】을 보았을 수도 있지만, 【지적 능력】은 【말로】 마술을 부릴 수 있습니다. 그것(지적 능력)은 말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것(지적 능력)은 (속담에서 말하듯이) 【〔(끝없이) 말을 해석하면서〕, 말을 쪼개는 것】에 관하여 【머리카락】을 쪼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이것은 【여러분이 〔(힌두 브라만들)이 하는 것〕을 본 것】입니다, 그리고 붓다는 【〔그것〕을 좌절시키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붓다)가 더 이상 구체화 안에 있지 않은지〕 오래지 않아】, 【불교의 지식인들】이 【〔정확히 같은 것〕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예수〕가 〔지구〕를 걸었을 때】 【같은 것】을 했지만, 【가톨릭교회】가 형성되자마자, 그리고 (이전에도), 【신학자들】이 【〔예수의 가르침〕을 갖고】 【〔같은 것〕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And in the modern age, of course, scientists, materialists are doing the same thing with scientific teachings or discoveries. And many spiritual people who have found a spiritual teaching, whether it be an old one or a new one, well, they are doing the same. Endlessly debating about the meaning of words, endlessly trying to interpret words to come to some ultimate interpretation of words.
그리고 현대 시대에, 물론, 【〔과학자들〕, 〔물질주의자들〕】이 【〔과학적인 가르침 혹은 발견〕을 갖고】 【같은 것】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적인 가르침 - 오래된 가르침이든지 혹은 새로운 가르침이든지)을 발견한〕 많은 영적인 사람들】, 음, 그들이 【같은 것】을 하고 있습니다. 【〔말의 의미〕에 대해 (끝없이) 논쟁하는 것】, 『【〔(말)에 대한 어떤 궁극적인 해석〕에 이르기 위해】 【말을 해석하려고】 (끝없이) 노력하는 것』
Looking for the highest possible teaching in the past
과거에 가능한 가장 높은 가르침을 찾는 것
One thing you can see, one tendency you can see in the spiritual field is that there are many spiritual people who are looking backwards. They are looking at a worded teaching given some time ago. It may be in the most ancient worded teachings known currently, the Vedas, it may be the Buddha’s teachings, it may be the Old Testament, Jesus’ teachings, later interpretations or scriptures from Buddhism, or the Koran. It may be newer teachings, even ascended master teachings given in previous dispensations. But you see this tendency, people look back in time, they seem to think that back then when the Vedic Rishis were in embodiment, somehow this was a purer time, so the revelation received by the Rishis was the highest revelation that could be brought forth. Or Mohammed’s time was a special time, so that was why the Koran is the ultimate revelation that could be brought forth.
『【〔여러분이 볼 수 있는〕 한 가지】, 【〔여러분이 (영적인 분야에서) 볼 수 있는〕 한 가지 경향】』은 『【〔뒤를 돌아보고 있는〕 많은 영적인 사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꽤 오래전에 주어진 말로 된 가르침】을 보고 있습니다. 그것이 【〔현재 알려진 가장 고대의 말로 된 가르침〕, 〔베다〕】 안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붓다의 가르침】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구약】, 【예수의 가르침】, 【나중에 해석】 혹은 【불교의 경전】, 혹은 【코란】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더 최근의 가르침】, (심지어) 【이전의 시혜들에서 주어진 상승 마스터 가르침】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사람들】이 시간을 되돌아보고}, {그들이 『【〔(베다 현자들이 구체화 안에 있었던) 그 당시에〕, (어떻게든) 〔이것〕이 〔더 순수한 시대〕였고, (그래서) 〔현자들에 의해서 받아진 계시〕가 〔(낳아질 수 있는) 가장 높은 계시〕였고】 (아니면) 【〔마호메트의 시대〕가 〔특별한 시대〕였고, (그래서) 〔코란〕이 〔(낳아질 수 있는) 궁극적인 계시〕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 경향⊃을 봅니다.
Do these people never open a newspaper, watch television, read books or go on the internet? Have they not recognized that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in the living standard compared to ten thousand years ago? Have they not asked themselves why this progress has come about? Can they not reason that the progress has come about becaus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higher today than it was at the time of the Vedic seers or Mohammed or Jesus or the Buddha? What sense does it make then that a higher revelation could be brought forth ten thousand years ago than today? How could you bring forth the highest possible revelation whe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as lower than it is today? Does this make sense?
【이 사람들】이 (결코) 【〔신문을 펼치고〕, 〔텔레비전을 보고〕, 〔책을 읽고〕 (혹은)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을까요〕】? 그들이 『【만 년 전과 비교해서】 【생활 수준에 어떤 진전】이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을까요? 그들이 【〔(진전)이 일어난〕 이유】를 그들 자신에게 묻지 않았을까요? 그들이 {『【집단의식】이 【그것(집단의식)이 〔(베다 현인들 혹은 마호메트 혹은 예수 혹은 붓다)의 시대에〕 있었던 것보다】 오늘날 더 높기 때문에』 【진전】이 일어났다고} 추론할 수 없을까요? (그렇다면) 【〔더 높은 계시〕가 〔오늘날보다 만 년 전에〕 낳아질 수 있었다는 것】이 무슨 말이 됩니까? 【〔집단의식〕이 〔그것(집단의식)이 오늘날 있는 것보다〕 더 낮았을 때】 여러분이 어떻게 【가능한 가장 높은 계시】를 낳을 수 있었습니까? 이것이 말이 됩니까?
Less and less room for interpretation
점점 더 적은 해석의 여지
Well, to some it does or they simply refuse to think about it. But why is it that people will not recognize any later revelation? Why is it that they cling to the old? Because the revelation that was given in a previous age was given for a lower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at means what? It means that the revelation that could be given at that time was not as precise as what can be given today. What does it mean that a teaching is not as precise, that the worded expression of the teaching is not as precise? It means there is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and the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the more the linear mind can do its tricks and the more people trapped in the linear mind such as the Brahmins or the Scribes and Pharisees can use their superior intellects to set themselves up as having a special status. And once they have achieved that status they do not want to give up on it and that is why they cling to that old teaching that can be interpreted endlessly.
음, (일부에게) 그렇습니다 (아니면) 그들은 (단지)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를】 거부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어떤 나중의 계시도〕 인식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 왜일까요? 【그들이 〔오래된 것〕을 고수하는 것】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이전의 시대에 주어졌던〕 계시】는 【더 낮은 의식 수준을 위해】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은 『【〔그 당시에 주어질 수 있었던〕 계시】가 【오늘날 주어질 수 있는 것만큼】 정확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르침〕이 같은 정도로 정확하지 않고】, 【〔(가르침)의 말로 된 표현〕이 같은 정도로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은 【〔더 많은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해석의 여지】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더) 【선형적인 마음】이 its 속임수를 쓰고 그리고 (더욱더) 【사람들】이 【선형적인 마음】에 갇힙니다, 【〔브라만들〕 혹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특별한 지위를 갖고 있는 것〕을 자처하기 위해】 【그들의 우월한 지적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그리고 그들이 【그 지위】를 성취했을 때, 그들은 【그것을 포기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끝없이 해석될 수 있는〕 그 오래된 가르침】을 고수하는』 이유}입니다.
Even the teachings of the ascended masters given over the past century show a clear progression. Go back to previous dispensations, read the teachings, you will see they were not as precise, not as direct as the teachings given today. Some have said: “Well the old teachings had a much more elevated language.” Whereas the teachings today are very simple, very limited vocabulary and I agree this is the case but it also left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지난 세기 동안 주어진〕 상승 마스터들의 가르침】도 【분명한 진전】을 보여줍니다. 이전의 시혜들로 돌아가서, 가르침을 읽으세요, 여러분은 【그것들이 〔오늘날 주어진 가르침만큼〕 정확하지 않고, 직접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볼 것입니다. 일부는 말했습니다: "(음) 【오래된 가르침】이 【훨씬 더 고상한 언어】를 갖고 있었습니다". (반면에) 【오늘날 가르침】은 【매우 단순한, 매우 제한된 어휘】입니다 그리고 나는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그것이 (또한)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What we are about doing as progressive revelation, as part of progressive revelation, as the Omega aspect of progressive revelation is to make the teaching plain so more and more people can grasp it but also so that even people at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are not in doubt about what is being said, there is not as much room for interpretation, not as much need to interpret.
【우리가 〔진보적인 계시로써〕, 〔진보적인 계시의 일부로써〕, 〔진보적인 계시의 오메가 측면으로써〕 ...에 대해 하고 있는 것】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이지만, (또한) 『【더 높은 의식 수준에 사람들】도 【〔말해지고 있는 것〕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그만큼의 해석의 여지】가 없고, 【그만큼의 해석할 필요성】이 없도록』} 가르침을 분명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resent level of consciousness
현재의 의식 수준에 근거한 해석
Of course, a teaching given in words will always be interpreted because people will interpret it based on their present level of consciousness. You can give a teaching from a certain level of consciousness but there will still be those levels from the 48th to the 96th level and for that matter even the levels below that can interpret the teaching based on that level, the world view, the perception filter that people have at that level. This is unavoidable but at least we can do what we can do from the ascended realm to make the teaching as unequivocal, as precise as possible. This is not to say, of course, that the teaching we are giving now is some ultimate teaching and could not become even more precise in the future whe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raised further. But nevertheless you understand my point, I trust that looking back to the old is not really productive especially not when you are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wo ages, two spiritual cycles moving from Pisces to Aquarius for the teachings given in Pisces were given for that level of consciousness for that cycle and now we are giving teachings for the Aquarian age.
물론, 【말로 주어진 가르침】은 항상 해석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그들의 현재의 의식 수준〕에 근거해서】 【그것】을 해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특정한 의식 수준】에서 【가르침】을 줄 수 있지만, 【〔48번째 수준〕에서 〔96번째 수준〕까지 그 수준들】이 (여전히)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문제라면) ▶{『【〔그 수준〕, 〔세계관〕, 〔(사람들이 그 수준에서 갖고 있는) 지각 필터〕】에 근거해서』 【가르침】을 해석할 수 있는} 아래에 수준들도◀. 이것은 불가피하지만, (적어도) 우리는 『【가르침을 〔가능한 한 분명하게,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우리가 상승한 영역에서 할 수 있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물론) ▶{【〔우리가 지금 주고 있는〕 가르침】이 『【〔어떤 궁극적인 가르침〕이고】 그리고 【〔(〈집단의식〉이 더 올려지는) 미래에〕 훨씬 더 정확해질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은 【나의 요점】을 이해합니다, 나는 『【오래된 것을 되돌아보는 것】은 (정말로) 생산적이지 않다고』 믿습니다 (특히) 『여러분이 【〔(〈물고기자리〉에서 〈물병자리〉로 이동하는) 두 시대, 두 영적인 주기〕 사이에 과도기에】 있을 때』는 생산적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물고기자리에서 주어진 가르침】은 【〔(그 주기)의 그 의식 수준〕을 위해】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이제) 우리는 【물병자리 시대를 위한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Going beyond words
말을 넘어서기
Of course, my giving you this teaching is not just to give a general teaching, it is also related to the concept of connecting to your Higher Self, your I AM Presence. Now, Maitreya gave a very precise teaching. I only want to add here something from my perspective. Maitreya explained that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need to challenge the images you had of your I AM Presence, the images you formulated at a lower level. You need to stop projecting these images otherwise the I AM Presence must withdraw from you and stop answering your questions or giving you directions.
물론, 【내가 여러분에게 이 가르침을 주는 것】은 【단지 일반적인 가르침으로 주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또한)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여러분의 I AM Presence)와 연결하는 것〕의 개념】과 관계가 있습니다. 지금, 【마이트레야】가 【매우 정확한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나는 (단지) 【〔나의 관점으로부터 어떤 것〕을 (여기에) 추가하고】 싶습니다. 마이트레야는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I AM Presence에 대해〉 갖고 있었던) 이미지〕, 〔(여러분이 더 낮은 수준에서 만들어낸) 이미지〕에 도전해야 하는】 지점』이 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이미지들〕을 투사하는 것】을 멈추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I AM Presence】가 {『【여러분】에게서 물러나고』 그리고 『【〔(여러분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 혹은 〔여러분에게 (길 안내)를 제시하는 것〕】을 멈추어야 합니다』}.
Well, as part of this process consider that many people when they first hear about the I AM Presence they do what they are used to doing based on whatever spiritual or religious tradition they have been in. They make calls to the I AM Presence, they pray to the I AM Presence, they ask questions of the I AM Presence but how do you make calls, how do you pray, how do you ask questions? With words do you not?
음, (이 과정의 일부로써) {【〔그들이 (I AM Presence에 대해) (처음) 들을 때〕 많은 사람들】, 그들이 『【〔(그들이 ... 안에 있었던) 어떤 영적이거나 종교적인 전통이든〕에 근거해서】 그들이 하는 것에 익숙한 것』을 한다는 것}을 숙고하세요. 그들은 【I AM Presence에게】 요청합니다, 그들은 【I AM Presence에게】 기도합니다, 그들은 【I AM Presence】에게 질문하지만, 여러분이 어떻게 요청하고, 여러분이 어떻게 기도하고, 여러분이 어떻게 질문합니까? 【말로】 하지 않습니까?
It is possible that at a certain level of the spiritual path you can receive some worded directions or answers from your I AM Presence not as a booming voice from heaven but as words that come to you from inside your own mind. But when you reach that higher level where you need to step up to beginning to experience the unity of the I AM Presence, well, then you need to recognize that you cannot attain unity by continuing to communicate with your I AM Presence with words by talking to your I AM Presence, asking questions, making calls. Because why would you need to communicate in words? Only to a being outside your own mind, only to a being separated from you. This is, of course, how you talk to other human beings, we understand that you are used to this, we are again not blaming you. It is perfectly natural that you do this for a time with the I AM Presence. But there comes a point where communicating in words becomes a hindrance to that greater Oneness with the Presence that we have explained.
『(영적인 길의 특정한 수준에서) 여러분이 【〔여러분의 I AM Presence〕로부터 어떤 말로 된 길 안내 혹은 대답 - 〔천국으로부터 쿵 하고 울리는 목소리〕로써 가 아니라, 〔(여러분 자신의 마음속에서 여러분에게 오는) 말〕로써】을 받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여러분이 【〔(I AM Presence의 단일성)을 경험하기〕 시작하는 것】에 다가가야 하는』 그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때,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I AM Presence에게 말하고), (질문하고), (요청하는 것)〕에 의해서】 【〔말로〕 〔여러분의 I AM Presence〕와 계속 소통하는 것】에 의해서』 【통합】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왜) 말로 소통해야 하겠습니까? 【여러분 자신의 마음 바깥에 존재】에게만, 【여러분과 분리된 존재】에게만. 물론, 이것이 【〔여러분이 (다른 인간)에게 말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이것〕에 익숙하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우리는 (다시) 【여러분】을 비난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I AM Presence 와】 (한동안) 【이것】을 하는 것』이 완전히 자연스럽습니다. 그러나 {『【말로 소통하는 것】이 【〔(우리가 설명한) 현존과 더 큰 하나됨〕에 장애물】이 되는 』 지점}이 옵니다.
There comes that point where you simply need to make a conscious decision to stop approaching your I AM Presence through words. Stop expecting or hoping that you will get some worded answer back. Because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might still get impulses back from the Presence but it will not be in the form of words, it will be more like a sensation or an image. And then eventually as Maitreya described even that will fade away and there will come a point where you are not attempting to get something from your Presence or communicate with your Presence because the distinction, as Maitreya described so eloquently, fades away between the I AM Presence and the Conscious You and the Christ mind.
{『여러분이 (단지) 【〔말을 통해서 여러분의 I AM Presence에 다가가는 것〕을 멈추기 위해】 【의식적인 결정】을 해야 하는』 그 지점}이 옵니다. 『【여러분이 〔어떤 말로 된 대답〕을 다시 얻을 것이라는 것】을 기대하는 것 혹은 바라는 것』을 멈추세요. 왜냐하면 {『여러분이 (여전히) 【현존으로부터 충동】을 다시 얻을 수도 있지만, 그것이 【말의 형태로】가 아니고, 그것이 【〔느낌〕 혹은 〔이미지〕】에 더 가까울 것인』 지점}이 오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결국) (마이트레야가 설명한 것처럼) 그것도 사라질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존】으로부터 【어떤 것】을 얻거나』 혹은 『【〔(I AM Presence와 Conscious You과 그리스도 마음) 사이에 구별〕이 사라지기 때문에 - 마이트레야가 매우 능변으로 설명한 것처럼】 【여러분의 현존】과 소통하려고』} 시도하고 있지 않은◀ 지점⊃이 올 것입니다.
You are no longer directing anything at your Presence, you are no longer expecting to receive anything from your Presence. You are just one with the ocean of the Presence and your mind rises and ebbs and flows with the Presence. And you do not analyze, you do not rationalize, you do not interpret, you do not seek to explain or put something in some cosmological context or importance. You are just being—being the Presence and the Presence is being you. So what is the need for communication with words?
여러분은 (더 이상) 【여러분의 현존에게】 아무것도 지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더 이상) 【〔여러분의 현존으로부터 어떠한 것〕을 받기를】 기대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현존의 바다와 하나】일 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마음】은 【현존과 함께】 솟아오르고 사그라지고 흐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분석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합리화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해석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우주 철학의 맥락 혹은 중요성에서〕 어떤 것을 설명하거나 놓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존재하고 있을 뿐입니다 - 현존이 되고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현존】은 【여러분】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말로 소통의 필요성】이 무엇입니까?
Padmasambhava’s offer
파드마삼바바의 제안
Should you feel the need to be helped to achieve this then I offer my assistance, simply give my mantra. You might give it aloud nine times but then close your eyes, focus within and do not give the mantra, just let the mantra come to you. You may say: “But is your mantra not words?” What is it—words? They are sounds, they have no meaning that the outer mind can grab a hold of. Sure you can go on the internet and find an interpretation of what the mantra means but if you search a little more you will find seventeen other interpretations of what the mantra means. Which one is right? Forget about the meaning of the mantra, just look at it as sounds. Sounds that do what? Still the mind, the outer mind, that you can experience my Presence and your Presence. This is what I can do for you in this context and I will help those who give that mantra if you feel that you need it.
여러분이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 도움받을 필요성】을 느낀다면, 나는 【〔나의 도움을 제공하고〕, 〔단지 나의 만트라를 줍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큰 소리로 9번】 할 수도 있지만, (그런 다음) 【눈을 감고】, 【내부에 집중하고】 그리고 【만트라를 하지 말고】, 【(단지) 만트라가 〔여러분에게 오게〕 하세요】.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의 만트라】는 【말】이 아닙니까?" 그것이 무엇일까요 - 말? 그것들은 소리입니다, 그것들은 【〔(외적인 마음)이 꽉 붙잡을 수 있는〕 의미】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인터넷에 접속해서】 그리고 【〔(만트라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해석〕을 찾을 수 있지만】, 만약 여러분이 (조금 더) 검색한다면, 여러분은 【〔만트라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17 가지 다른 해석】을 찾을 것입니다. 어느 것이 옳을까요? 【만트라의 의미】에 대해 잊어버리세요, (단지) 그것을 소리로 보세요. 그것이 무엇을 하는 것처럼 들립니까? 【여러분이 〔(나의 현존)과 (여러분의 현존)〕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마음〕, 〔외적인 마음〕】을 고요하게 하세요. 이것이 【내가 이 맥락에서 여러분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것)을 필요로 한다고〕 느낀다면】 나는 【〔그 만트라를 하는〕 사람들】을 도울 것입니다.
I am not saying this should replace your attunement with a particular Chohan or other master that you feel close to. It is just one more tool that we have decided to give you.
나는 『이것이 【〔(여러분이 ...에 가깝다고 느끼는) 특정한 초한 혹은 다른 마스터〕와 여러분의 조율】을 대체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여러분에게 주기로 결정한〕 한 가지 추가 도구】일 뿐입니다.
With this I have given you what it is my joy and my task to give you at this truly magnificent gathering that you have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We all wish you could see the effect that such an event has in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minds. Unfortunately, we cannot communicate this with you with thoughts so you will just have to take my word for it.
(이것으로) 나는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조직하고 참여한) 정말로 이 참으로 아름다운 모임〕에서 여러분에게 주는 것】이 【〔나의 기쁨〕과 〔나의 일〕】인 것』을 주었습니다. 우리 모두 『여러분이 【〔(그런 행사)가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마음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이것】을 【생각으로 여러분】과 소통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그것에 대해 내 말을 믿어야 할 것입니다.
And with this I seal you in the love of my heart.
그리고 (이것으로) 나는 【나의 가슴의 사랑 안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Copyright © 2023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