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봉건 사회의 전복을 야기했던 것은 인구의 증가였습니다

의식 성장 2021. 9. 16. 16:18

"어머니 지구를 치유하기"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이것이 【〔전쟁〕뿐만 아니라 〔인구의 크기를 제한하는 어떠한 시도〕 뒤에 큰 동기들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항상 였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중세 시대에 유럽의 봉건 사회와 같은】 사회를 본다면, 여러분은 【일정량의 땅만 있었다는 것】을 볼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당시에 영농법의 비효율 때문에, 『【〔얼마나 많은 농작물〕이 그 땅에서 재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매우 엄격한 제한』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또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특정한 면적의 땅에서) 식량을 공급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매우 엄격한 제한』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인구가 〔특정한 수준을 넘어서〕 증가했을 때】, 【〔(사실상 귀족의 노예였던) 소작농 계급의 사람들〕이 기아로 죽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기아로 죽거나〕 혹은 〔그들의 지배자에게 저항하는 것〕에 직면할 때】, 선택은 【그들에게 식량이 잘 공급되었을 때보다】 어느 정도 더 쉬웠습니다. 따라서, 만약 여러분이 역사적인 현실을 본다면, 여러분은 【정말로, 〔봉건 사회의 전복을 야기했던 것〕이 〔인구의 증가〕였다는 것】을 봅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봉건 사회에 지배자들이었던〕 사람들】이 『【〔그들이 (〈주민 가운데 아무도 위협할 수 없는〉 특별한 힘과 특권)을 가진 작은 엘리트를 형성할 수 있는〕 종류의 사회】가 무한정 계속되는 것』을 기쁘게 보았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작은 엘리트 - 〔만약 여러분이 역사를 정직하게 살펴본다면〕 여러분이 볼 수도 있는 것처럼】는 【사회가 바뀌면서】 계속해서 스스로를 가까스로 다시 고쳤습니다.

 

【산업혁명】이 시작되었을 때, 【엘리트 가운데 일부】가 【그들 자신을 최초의 기업자들로】 가까스로 세웠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귀족 계급이 봉건 사회 동안 있었던 만큼】 부유하고 특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오늘날도) 여러분은 【〔(부유하고) 혹은 (〈다른 방법으로〉 힘을 행사하는 특별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동일한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민주 국가에서도)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해 결코 책임을 지지 않고〕 가까스로 힘을 행사하는】 작은 엘리트』를 봅니다 - 부분적으로 그들이 어떠한 공직에도 입후보하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그들이 (말하자면) 대중의 인식이 눈치채지 못하게 할 정도로】 그들이 매체를 소유하거나 매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들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