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것에 의해서 가르치기
"지혜의 신비적인 입문"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여러분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실제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견해를 명백히 하고〉 그리고 〈그들의 사전에 형성된 의견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도왔던〕 질문하는 것】으로 유명했다는 것』을 알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음, 소크라테스는 이 방법을 창안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두 번째 광선의 마스터들에 의해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물론, 모든 광선, 왜냐하면 【의문이 제기될 지각 필터】가 항상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물론, 우리는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어떤 제약), (〈그들이 부응해야 하는〉 어떤 것)을 부과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또한 특정한 수준에서 나와 논쟁하기를 좋아하는】 두 번째 수준(지혜와 계몽)에서 학생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얼마나 현명한지】, 【그들이 〔주장을 이용하는 것〕에 얼마나 능한지】, 【그들이 〔(그들과 그들의 에고가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특정한 생각과 신념 체계를 왜곡하는 것〕에 얼마나 능한지】 나에게 보여주기 위해』 열심입니다.
물론, 이것이 【내가 그들에게 어떠한 것을 가르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그들은 【나를 가르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물론, 그들은 아직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그렇죠? 『내가 그들에게서 【〔내가 (나의 상승의 자격을 얻는 과정에서) 이미 직접 겪지 않은〕 어떠한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학생이 【주장은 주장일 뿐이고】, 【말은 말일뿐이고】, 그리고 【그것들이 결코 결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없다는 것】을 보기 전에』 시간이 걸립니다. 이것이 깨달음으로 학생을 이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단지 주장하고 있습니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 논쟁하고 있습니다. 나는 심지어 교사와 논쟁하고 있지만, 그것이 결코 나에게 결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나】를 【더 높은 의식 수준】으로 옮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는 【나의 현재 수준】에서 【다음 위 수준】으로 도약하고 있지 않습니다. 실제로, 내가 논쟁할수록, 나는 나의 현재 의식 수준을 더 굳어지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