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악을 극복하기

의식 성장 2022. 4. 23. 14:50

"악의 심리학"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내가 【내가 〔국부적이지 않은 자아〕라는 것】을 경험했을 때, 나는 (또한) 【(여러분의 정체성의 핵심에) 〔국부적이지 않은 자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나는 【나 자신】을 【하나의 국부적이지 않은 자아의 표현】으로 경험합니다, 그리고 나는 【여러분 또한 〔그 동일한 자아의 표현〕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일한 바다에 두 파도】입니다. 내가 어떻게 『【〔(내가 ... 태생인) 동일한 하나의 자아〕의 표현인】 존재』를 죽이거나 통제할 수 있습니까? 그것은 단지 가능하지 않지만, 그것은 『단지 (지금) 내가 【〔오염된 지각〕, 〔국부적인 자아의 지각〕을 통해서】 여러분을 보지 않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나는 (이로써) 【우리가 〔국부적인 자아〕를 잃어버릴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육체적인 구체화 안에】 있는 한, 우리는 【표현을 위한 수단으로써 국부적인 자아】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악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분의 머리를 깎고〕, 〔여러분의 가정을 버리고〕 그리고 〔숲속에서 살 필요가 없습니다〕】. 【악】은 【국부적인 자아와 동일시】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국부적이지 않은 자아】로 경험할 때, 여러분은 더 이상 【여러분 자신】을 【국부적인 자아】와 동일시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더 이상 【여러분 자신】을 【국부적인 자아】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의 국부적인 자아】가 (이제) 【〔여러분의 차와 비슷한〕 어떤 것】이 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차】를 좋아할 수도 있지만, 여러분은 【〔여러분의 차에 타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이 차가 된다고】 믿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항상 〔여러분의 차〕에서 내릴 수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차) 없이 - 아마 어떠한 차도 없이는 아니지만, 특정한 차 없이〕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차】는 【〔여러분이 (이곳저곳 다닐 때) 사용하는〕 탈것】일 뿐입니다 - 그리고 여러분의 국부적인 자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의 국부적인 자아와 동일시】에서 깨어날 때,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 안에 악】을 극복한 상태일 것입니다. 충분한 사람들이 『【깨어나서】 그리고 【〔그들의 국부적이지 않은 자아감〕에 대해 이야기하고 보여주기 시작할 때】』, 우리는 【전체로써 사회】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즉시) 〔악〕을 뿌리뽑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국소성】에서 깨어날 때, 여러분은 【〔악을 파괴하거나 뿌리뽑는 것을 돕는 것〕이 〔여러분의 역할〕이 아니라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어떤 것)을 (선과 악)으로 정의하고〕 그런 다음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정의definition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려고 - 거부하는 사람들을 죽이면서) 추구하는 것〕】이 실제로 악의 일부라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국부적인 자아〕가 선으로 정의하는 것】이 【국부적이지 않은 의미에서】 좋지 않다는 것』을 봅니다. 그것은 【국부적인 자아에게만】 좋은 것입니다; 그것은 【국부적인 자아와 관련하여 좋은 것】입니다. 【국부적인 자아가 선과 악으로 보는 것】은 【its 지각의 산물】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더 이상 【여러분의 국부적인 자아의 지각】과 동일시하지 않을 때, 여러분은 【그것에 의해서】 눈이 멀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이제) 『【악을 뿌리뽑는 것】이 (어떻게든) 【〔다른 사람들〕을 강요하고, 통제하거나 죽이는 것】을 필요하게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악을 극복할 방법】은 【〔어떤 것을 악으로 정의하고〕 그런 다음 〔그것을 파괴하려고 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악을 극복할 방법】은 『【〔(현실)이 (두 반대되는 극성)으로 나누어져야 한다는〕 전체 마음 상태】를 초월하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우리의 역할】은 【〔다른 사람들〕 혹은 〔신념 체계〕와 싸우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역할】은 『【먼저 〔국부적인 자아의 환상〕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고】 그런 다음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것을 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강요하거나 통제하려고 추구하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는 더 나은 방식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일부】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여전히 【〔국부적인 자아를 통해서〕 삶을 경험하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존중해야 하지만, 우리는 (또한) 『【〔(일부 사람들)이 (그것에 의해서) 매우 불안해한다는〕 사실과 상관없이】 【더 높은 형태의 삶을 보여줄 우리의 권리】』를 존중해야 합니다. 우리는 【〔국부적이지 않을 권리〕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국부적이 되도록 허용할)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