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고통을 제거하는 방법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the-higher-goal-of-a-democracy-is-to-remove-human-suffering/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through Kim Michaels, June 6, 2022.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2 Webinar – Democracy and Christhood.
2022년 6월 6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 이 딕테이션은 【2022년 웨비나 동안 - 민주주의와 그리스도임】 주어졌습니다.
An unprecedented release of the Flame of Peace
평화의 화염의 전례 없는 방출
I AM the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나는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입니다.
Peace is a flame, an energy, a consciousness, a being – a cosmic being of an attainment beyond the level that I am at as the Buddha for earth. This cosmic being has been magnetized to the earth by the ascended masters, by you our students and by this shift in consciousness that happened as a result of the invasion of Ukraine. This event created such a shift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at we of the ascended masters appealed to this cosmic being to magnetize its presence in the etheric octave over the earth and release an unprecedented release of the Flame of Peace.
평화는 『【화염】, 【에너지】, 【의식】, 【존재 - 〔(〈내가 지구의 붓다로서 ...에 있는〉 수준)을 넘어선 성취〕를 보여주는 우주적인 존재】』입니다. 【이 우주적인 존재】는 『【상승 마스터들에 의해서】, 【우리의 학생들인 여러분에 의해서】, 【〔(우크라이나의 침략의 결과로 일어난) 의식의 이 변화〕에 의해서】』 지구로 끌어당겨졌습니다. 【이 사건】은 {『【우리 상승 마스터들】이 【〔지구 위 에테르 옥타브에 its 현존을 끌고〕 그리고 〔(평화의 화염의 전례 없는 방출)을 방출하도록〕】 이 우주적인 존재에게 간청할 정도로』 그런 집단의식의 변화}를 만들었습니다.
Now, this flame of peace does not mean that there will instantly be peace on earth in terms of a physical peace. It actually means that this flame will expose all energies, all consciousness, all beings of anti-peace, thus it may seem that this flame of peace will bring the opposite of peace, but this will be only for a time. We have said that the earth cannot resist the upward pull of the entire sphere. Neither can the earth resist the Cosmic Flame of Peace. This is thus a dispensation, an opportunity for earth magnetized by the fact that so many people on earth truly want peace. They want a future where they have peace from those who are willing to take by force.
자, 【이 평화의 화염】은 【〔(물리적인 평화 면에서) 지구에 평화〕가 (즉시)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이 화염이 〔(반평화)의 모든 에너지, 모든 의식, 모든 존재〕를 노출시킬 것이고】, 따라서 【〔(이 평화의 화염)이 (평화의 반대되는 것)을 가져올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것이 (단지) 한동안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지구〕가 〔전체 구체의 상향 끌어당김〕에 저항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지구는 【우주적인 평화의 화염】에 저항할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지구에 매우 많은 사람들〉이 정말로 원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끌어당겨진】 【지구를 위한 시혜, 기회】』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사람들〕로부터 평화를 갖는】 미래』를 원합니다.
The consciousness of being willing to take by force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의식
What is this willingness to take by force? Well, it is a spiritual poison. It has several elements. It actually springs from all of the poisons, from ignorance to lust, cravings, greed, because to this consciousness that is willing to take by force, it is never enough. What do people, beings, who are willing to take by force generate? They generate suffering, often for other people as well, but they always generate suffering for themselves. Those who are the instigators of war for example cannot fail to generate an agitation in their own minds and four lower bodies that can quickly become unbearable. That is why you have seen some leaders who started wars and who literally became insane, going into a completely delusional state of mind, losing touch with reality. So, can you really say that when a being has stepped into this consciousness of wanting or being willing to take by force, that this being still has free will? Is it not rather so that this being has surrendered its free will to these collective beasts, demons or fallen beings who want to create chaos or have an agenda of proving God wrong? Do such people actually have free will? They have a will but it is not free.
【힘으로 빼앗는 이 기꺼이 하는 마음】이 무엇일까요? 음, 그것은 【영적인 독】입니다. 그것은 【몇 가지 요소】를 갖고 있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모든 독으로부터 - (무지)로부터 (욕망, 갈망, 탐욕)까지】 일어납니다. 왜냐하면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이 의식까지, 그것은 결코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사람들, 존재들】이 무엇을 발생시킬까요? 그들은 【고통】을 발생시킵니다, 보통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러나 그들은 항상 【그들 자신에게】 고통을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전쟁의 선동자인〕 사람들】은 『【〔빠르게 견딜 수 없게 될 수 있는〕 그들 자신의 마음과 네하위체】에 동요』를 일으키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것이 {『여러분이 【〔전쟁을 시작했고〕 그리고 〔(망상 마음 상태에 들어가고, 현실과 접촉이 끊기면서) 문자 그대로 미치게 된〕】 일부 지도자들을 본』 이유}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실제로) 『존재가 【〔(힘으로 빼앗기를 원하거나) 혹은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이 의식】에 발을 디뎠을 때, 【이 존재】가 여전히 【자유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오히려) 『【이 존재】가 【its 자유의지】를 【〔(혼란을 만들기를 원하거나) 혹은 (〈하나님이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는 어젠다〉를 갖고 있는)〕 이 집단적인 짐승들, 데몬들 혹은 추락한 존재들】에게 넘겨주었다는 것』이 아닐까요? 【그런 사람들】이 (실제로) 【자유의지】를 갖고 있을까요? 그들은 【의지】를 갖고 있지만, 그것은(의지) 자유롭지 않습니다.
What is it that happens in the psychology of people that go into this consciousness of being willing to take by force? They are of course going into the duality consciousness. This means that they can use the dualistic reasoning process to justify their actions, but only from a certain perspective.
You see the upward force of the entire unascended sphere is the Christ consciousness bringing everything closer and closer to oneness. Surely, oneness is difficult to fathom for people in embodiment on a dense matter planet like earth but nevertheless, there is an upward movement in the universe. When you go into the consciousness of taking by force you cannot be in oneness. For if you are in oneness you realize that if you take by force from others you are also taking from yourself, and who would be insane enough to do that?
『【〔기꺼이 힘으로 빼앗는 이 의식〕에 들어가는】 사람들의 심리에 일어나는 것』이 무엇일까요? (물론) 그들은 【이원성 의식】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그들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원론적인 추론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특정한 관점에서만. 여러분은 『【전체 상승하지 않은 구체의 위쪽을 향한 힘】이 【〔모든 것을 하나됨에 점점 더 가까이 데려오는〕 그리스도 의식】이라는 것』을 봅니다. 확실히, 【하나됨】은 【지구와 같은 밀도가 높은 물질 행성에 구체화 안에 사람들】이 헤아리기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에 위쪽을 향한 움직임】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힘으로 빼앗는 의식】에 들어갈 때, 여러분은 【하나됨 안에】 있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만약 여러분이 【하나됨 안에】 있다면, 여러분은 『만약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힘으로】 빼앗는다면,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 자신에게서 빼앗고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누가 그것을 할 만큼 미치겠습니까?
The state of non-peace and non-freedom
평화롭지 않고 자유롭지 않은 상태
These beings go against the upward force of the universe and they cannot fail to feel it. Often, they do not feel this consciously. They are not aware of why they feel what they feel, but they feel an agitation. They are in this constant state of non-peace, of unrest. They cannot be at peace in their own minds. This can ultimately cause them to become insane by any definition of that word, but on an intermediate stage it causes them to go into a state of delusion where they cannot see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They cannot acknowledge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Why is this so? Because in order to be able to survive psychologically in this state of non-peace they must find some argumentation in their minds that in their minds justifies their aggression, their taking through force, and they cannot acknowledge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because these consequences would invalidate their justification. They must go into a state of delusion and denial of reality in order to survive psychologically.
【이 존재들】은 【우주의 위쪽을 향한 힘】에 저항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보통, 그들은 이것을 의식적으로 느끼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그들이 느끼는 것)을 느끼는〕 이유】를 알지 못하지만, 그들은 동요를 느낍니다. 그들은 【이 끊임없는 평화롭지 않은 상태에】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마음속에서】 평화롭게 있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궁극적으로) 【그 단어의 어떠한 정의에 의해서도】 그들이 미치게 되도록 야기할 수 있지만, (중간 단계에서) 그것이 그들이 『【〔그들이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볼 수 없는〕 망상 상태】에 들어가도록』 야기합니다. 그들은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인정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왜 그럴까요? 왜냐하면 평화롭지 못한 이 상태에서 심리적으로 생존할 수 있기 위해서, 그들은 『【(그들의 마음속에서) 〔(그들의 공격성), (그들이 힘을 통해서 빼앗는 것)〕을 정당화하는】 그들의 마음속에 어떤 논증』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결과들〕이 〔그들의 정당성〕이 틀렸음을 입증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인정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심리적으로 생존하기 위해서】 【〔망상〕과 〔현실 부정〕의 상태】에 들어가야 합니다.
What does this mean? This means that they now go into a state of mind that is the ultimate state of non-freedom. What freedom do they have left when they have taken physical actions by force that cannot be taken back, when they have created physical consequences for other people that cannot be nullified or whisked away? And if they acknowledged these consequences, even consequences for their own people and for themselves, they would have to admit that their justification was not sufficient.
이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것은 【그들이 (이제) 〔(궁극적으로 자유롭지 않은 상태인) 마음 상태〕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이 〔(취소될 수 없는) 힘으로 물리적인 행동〕을 취했을 때】, 【그들이 〔(무효화되거나 사라질 수 없는) 다른 사람들에게 물리적인 결과〕를 만들었을 때】』 그들이 어떤 자유를 남겨두었을까요? 그리고 그들이 【이 결과들 - 심지어 (그들 자신의 국민들에게) 그리고 (그들 자신에게) 결과】을 인정했을 때, 그들은 【〔그들의 정당성〕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This means in their minds they would have to admit they had made a mistake, but if you are in this state of the extreme willingness to take by force, you see yourself as a superior being because that is what gives you the desire to have ultimate power that causes you to take by force. And if you are a superior being you cannot be wrong. Or rather, you cannot bear being wrong, and so you cannot acknowledge that you were wrong. You cannot acknowledge reality of what is actually happening in the world, and therefore you are completely un-free. You cannot change your mind because by changing your mind or changing your actions, you would have to admit that your first actions were wrong and the justification of those actions was wrong and therefore, you were wrong, and you as a superior being cannot bear to be wrong so you must deny. But in that total denial you lose all freedom in your mind.
이것은 『(그들의 마음속에서) 그들이 【그들이 실수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힘으로 빼앗는 극단적인 기꺼이 하는 마음〕의 이 상태】에 있다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우월한 존재로】 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힘으로 빼앗도록 야기하는〕 궁극적인 힘을 갖는 욕구】를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우월한 존재】라면, 여러분은 틀릴 수 없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여러분은 【틀리는 것】을 참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의 현실】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완전히 자유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마음】을 바꿀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의 마음을 바꾸는 것〕 혹은 〔여러분의 행동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최초의 행동〕이 틀렸고】 그리고 【〔그 행동들에 대한 정당성〕이 틀렸고】 따라서, 【여러분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월한 존재로서 여러분】은 【틀리는 것】을 참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부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 완전한 부정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마음속에서】 모든 자유를 잃습니다.
It may seem as if the fallen beings have freedom to do whatever they want without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for others that normal people would consider. It may seem they can often get away with doing things because they cause the people who follow them to take on the karma. But when you look inside the minds of the fallen beings, you see that they are the least free beings at the level of the mind. They may seem to be free at the level of physical actions but they are the least free beings at the level of the mind.
그것은 마치 추락한 존재들이 【〔(보통 사람들이 고려할) 다른 사람들에게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그들이 원하는) 어떤 것이든) 할 자유】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그들을 따르는) 사람들〕이 〔카르마를 떠맡도록〕 야기하기 때문에】 그들이 (보통) 【일을 하는 것】의 처벌을 모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추락한 존재들의 마음속을 살펴볼 때, 여러분은 【그들이 〔마음의 수준에서〕 가장 자유롭지 못한 존재라는 것】을 봅니다. 그들은 【물리적인 행동의 수준에서】 자유로운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들은 【마음의 수준에서】 가장 자유롭지 못한 존재입니다.
The leaders who cannot bear to be wrong
틀리는 것을 참을 수 없는 지도자들
We have for quite some time, through a previous dispensation, talked about fallen angels. We have in this dispensation talked about fallen beings and given some very profound teachings about fallen beings. These teachings have gone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here they have reached people who are open to them because they have looked at history and wondered why there is this type of leader on earth that has no empathy, no consideration for the suffering of others. They have of course reached you, our direct students. You have contemplated these ideas, you have given the invocations based on our dictations, and all of this has created an upward momentum that was reinforced and crystallized by the invasion of Ukraine to the point where a critical mass has been reached on a planetary level.
우리는 【추락한 천사들】에 대해 (이전 시혜를 통해서 상당히 오랫동안)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이번 시혜에) 『【〔추락한 존재들〕에 대해 이야기했고】 그리고 【〔추락한 존재들에 대해 일부 매우 심오한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이 가르침들】은 ▶{그것들이 『그들이 【역사를 보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 어떤 공감, 어떤 배려도 갖고 있지 않은〉 지구에 이러한 유형의 지도자)가 있는 이유〕를 궁금해했기 때문에】』 【〔그것들에 열려 있는〕 사람들】에 도달한} 집단의식◀에 들어갔습니다. (물론) 그것들은 【여러분(우리의 직접적인 학생들)】에게 도달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견해들】을 심사숙고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의 딕테이션에 근거해서】 기원문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행성 수준에서】 【〔임계 질량이 도달되었던〕 지점】까지 【〔우크라이나의 침략에 의해서 강화되고 구체화된〕 이 상향 여세】를 만들었습니다.
There is now a shift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here many more people see and acknowledge the need to understand why we have these kinds of leaders even in the modern world, leaders who will take actions that are clearly based on force, that create severe consequences for their own people and for other people. And yet, they are not willing to acknowledge the consequences, change their actions, change their minds. They have no empathy. They will disregard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and why? Well, as I said, because they cannot bear to be wrong, and this is what many people are ready to see: the complete inflexibility, inability, unwillingness to admit that one was wrong or that one’s actions were not the best and were not actually in one’s own interest.
(지금)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현대 세계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지도자들)을 갖고 있는〕 이유】를 이해할 필요성』을 보고 인정하는} 집단의식에 변화◀가 있습니다, ▶{『【분명히 힘에 근거한】, 【〔(그들 자신의 국민들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만드는】』 행동을 취할} 지도자들◀. 그리고 하지만, 그들은 기꺼이 【〔결과를 인정하고〕, 〔그들의 행동을 바꾸고〕, 〔그들의 마음을 바꾸지 않습니다〕】. 그들은 어떤 공감도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무시할 것입니다, 그리고 왜? 음, 내가 말한 것처럼, 그들이 【틀리는 것】을 참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완벽한 【굽히지 않기】, 【무능】, 【〔내가 틀렸었고〕 혹은 〔나의 행동이 (가장 좋은 것이 아니었고) 그리고 (실제로 나 자신의 이익에도 부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꺼림】』.
The inflexibility of dictatorships
독재 정부의 굽히지 않기
This leads towards the realization that democracies are societies that can afford to have leaders that are wrong. They are societies where the people can afford to be wrong. They can afford to admit that they have been wrong and change their outlook and their actions accordingly. This is one of th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a dictatorship and a democracy. The leader in a dictatorship cannot admit that he is wrong and the people cannot admit that they were wrong about the dictator, and this creates a fundamental inflexibility, meaning that a dictatorship cannot adapt to changing circumstances. They must continue to do the same thing while expecting different results, which is, as you know Einstein said, a form of insanity. They literally go into a downward spiral that can only stop when an event is so shocking to them that it breaks their denial. It might be a total defeat like you saw with the defeat of Nazi Germany. It might be the exposure of a shocking inhumanity as you also saw with Nazi Germany and the Holocaust. Or it might be the threat of a complete economic breakdown as you saw with the Soviet Union.
이것이 『【민주 국가들이 〔(〈틀린 지도자들〉을 가질 수 있는) 사회〕라는】 깨달음』 쪽으로 이어집니다. 그것들은 【〔사람들이 틀릴 수 있는〕 사회】입니다. 그것들은 『【〔그들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리고 【(그에 맞춰) 〔그들의 관점과 그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것이 【〔독재 정부〕와 〔민주주의〕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 중의 하나】입니다. 【독재 정부에 지도자】는 【그가 틀렸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국민들】은 【그들이 독재자에 대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근본적인 굽힐 수 없음】을 만듭니다, 【〔독재 정부〕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그들은 【다른 결과를 기대하면서】 동일한 것을 계속해야 합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아인슈타인이 말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일종의 정신 이상】입니다. 그들은 (문자 그대로) {『【〔그것이(사건) 그들의 부정을 부술 정도로〕 사건이 그들에게 매우 충격적일 때만】 멈출 수 있는』 하향 나선}에 들어갑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나치 독일의 패배로 본 것처럼】 완전한 패배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또한) 〔나치 독일과 홀로코스트〕로 본 것처럼】 충격적인 비인간적 행위의 노출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여러분이 〔소비에트 연방에서〕 본 것처럼】 완벽한 경제 붕괴의 위협일 수도 있습니다.
You have seen that sometimes dictatorships can change course and come into an upward spiral. You saw how the British Empire was brought to look at itself by the example of Gandhi and the non-violence movement, and therefore changed from being a dictatorship in its behavior towards India, to realizing that you cannot claim to be a democracy at home and behave like a dictator abroad. You saw Germany go from being a dictatorship under Hitler to becoming a democratic nation. You have seen Germany recently admit that their policy towards Russia and Putin was a mistake and they have been willing to change. You have seen other democracies admit that they misjudged Putin and the situation in Russia, and they have been willing to change accordingly. You have seen some democratic nations who have not been willing to do this, yet.
여러분은 【(때때로) 독재 정부가 〔방향을 바꾸고〕 그리고 〔상향 나선으로 올 수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대영 제국】이 어떻게 『【〔(간디)와 (비폭력 운동)의 예에 의해서〕 스스로를 볼 마음이 났고】, 따라서 【〔인도를 향한 its 행동에서 독재 정부인 것〕에서 〔(여러분이 〈본국에서 민주주의라고 주장하고〉 그리고 〈해외에서 독재자처럼 행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바뀌었는지】』}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독일】이 【〔히틀러 아래에서 독재 정부인 것〕에서 〔민주 국가가 되는 것〕으로 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독일이 『【〔러시아와 푸틴에 대한 그들의 정책〕이 실수였다는 것】을 최근에 인정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기꺼이 바뀌었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민주 국가들】이 『【그들이 〔푸틴과 러시아에 상황〕을 잘못 판단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에 맞춰) 기꺼이 바뀌었습니다. 여러분은 【〔아직 이것을 기꺼이 하지 않은〕 일부 민주 국가】를 보았습니다.
Flexibility Equals Survival
유연성은 생존과 같습니다
But nevertheless, what I wish to point out here is as the Buddha I was in embodiment on earth many, many thousands of years before I embodied as Gautama Buddha. I was not the Buddha for that entire time. I did not have the Buddha consciousness but I was in embodiment for a very long time. I ascended 2,500 years ago and since then I have been an ascended master in the Buddhic consciousness. I have a very long experience, a very long view of the earth. This means I know what is survivable and what is not survivable in terms of societies. And truly the only thing that is survivable is adaptability, flexibility, the willingness to change. Not just changing horizontally but changing vertically in terms of transcending one’s former level of consciousness.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여기에서 가리키고 싶은 것】은 『(붓다로서) 나는 【내가 고타마 붓다로서 구체화하기 전에】 (많고, 많은 수천 년) 지구에 구체화 안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나는 【그 전체 기간 동안】 붓다가 아니었습니다. 나는 붓다 의식을 갖고 있지 않았지만, 나는 매우 오랫동안 구체화 안에 있었습니다. 나는 【2,500년 전에】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그때부터) 나는 붓다 의식 안에 상승 마스터였습니다. 나는 【〔매우 오랜 경험〕, 〔지구에 대한 매우 긴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내가 【사회 면에서】 【〔생존 가능한 것〕과 〔생존 가능하지 않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정말로) 【〔생존 가능한〕 유일한 것】은 【〔적응성〕, 〔유연성〕, 〔바뀌는 기꺼이 하는 마음〕】입니다. 수평적으로 바뀌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의 이전의 의식 수준을 초월하는 면에서】 수직적으로 바뀌는 것.
Anyone who takes the long view that I can take can see that progression is the absolute requirement, not only on earth but throughout the universe. Transcendence of a former state, progressing to a higher state, that is the foundation for survivability. This you can also see by looking at history and how societies have come and gone. You can look at animal species and the evolution. Why did the dinosaurs become extinct? Because they could not adapt. You see here that this is actually a natural law. It is, of course, also a spiritual law but you can look at it completely neutrally and call it a natural law. When societies become rigid and inflexible and refuse to adapt, they cannot be sustained over time. There is a time limit, an expiration date. What causes societies to become inflexible? They cannot admit, not necessarily that they are wrong, but they cannot admit that they could do better than what they are doing now.
【〔(〈내가 취할 수 있는〉 긴 관점)을 취하는〕 누구나】 【〔진전〕이 〔절대적인 요건〕이라는 것 - 지구에서뿐만 아니라 우주 내내】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의 상태의 초월】, 【더 높은 상태로 나아가는 것】, 그것이 【생존 가능성의 토대】입니다. (이것) 여러분은 (또한) 『【〔역사〕와 〔사회가 어떻게 나타났다 사라졌는지〕 보는 것】에 의해서』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동물 종〕과 〔진화〕】를 볼 수 있습니다. 공룡이 (왜) 멸종되었을까요? 왜냐하면 그것들이 적응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여기에서) 【이것이 실제로 〔자연의 법칙〕이라는 것】을 봅니다. 물론, 그것은 (또한) 【영적인 법칙】이지만, 여러분은 『【그것을 완전히 중립적으로 보고】 그리고 【그것을 자연의 법칙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사회가 【〔융통성 없고 경직되고〕 그리고 〔적응하기를 거부할 때〕】, 그것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지속될 수 없습니다. 【〔시간제한〕, 〔유효 기간〕】이 있습니다. 【사회가 〔융통성이 없게 되도록〕 야기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들은 【그들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반드시 그런 것은 아닌), 그러나 그들은 【그들이 〔그들이 (지금) 하고 있는 것보다〕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The downfall of civilizations and the upward pull of the rest of the universe
문명의 몰락과 우주의 나머지의 상향 끌어당김
The progression towards something better is a law. Now of course what you cannot see necessarily from recorded history is that there have been past ages where the entire planet went into a downward spiral that caused the downfall of civilizations. It is possible on a planet like earth to go into a downward spiral and to go against that natural law of progressive self-transcendence.
Yet, this also of course caused the downfall of these civilizations, the destruction of civilizations and the reduction of the population to a very low level compared to today. This of course could not be maintained. There came a point where the downward spiral had hit rock bottom and there was no lower place to go.
【더 나은 어떤 것을 향한 진전】은 【법칙】입니다. (자) 물론 【여러분이 기록된 역사에서 반드시 볼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은 『【〔전체 행성〕이 〔(문명의 몰락을 야기한) 하향 나선〕에 들어간】 과거 시대들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하향 나선〕에 들어가고】 그리고 【〔점진적인 자기 초월이라는 자연의 법칙〕에 저항하는 것】』이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 가능합니다. 하지만, (물론) 이것은 또한 【오늘날과 비교해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이 문명들의 몰락〕, 〔문명들의 파괴〕 그리고 〔인구의 감소〕】를 야기했습니다. (물론) 이것은 유지될 수 없었습니다. {『【〔하향 나선〕이 바닥을 친】 그리고 【갈 더 낮은 곳이 없었던】』 지점}이 왔습니다.
Then the upward pull of the rest of the universe started pulling the earth up, and gradually people responded and built an upward momentum. There are forces that are working against such an upward momentum, and they can have some success in creating these empires that can stop growth on a temporary basis. And even though they sometimes may last for a thousand years, they cannot last indefinitely.
(그런 다음) 【우주의 나머지의 상향 끌어당김】이 지구를 끌어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서서히) 【사람들】은 【상향 여세】에 반응을 보이고 만들어냈습니다. 『【〔그런 상향 여세에 반대하고 있는〕】 힘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출 수 있는) 이 제국들〕을 만듦에 있어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록 그것들이 (때때로) 【천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더라도, 그것들은 【무한정】 지속될 수 없습니다.
And if you look at even recorded history you see that the time span of such empires is clearly becoming shorter and shorter. The Roman empire survived for quite some time. The Catholic Roman empire survived for some time. The czarist empire in Russia, the kings of Europe, the kingdoms of Europe, survived for some time. But you see that it became shortened. And then you had these leaders that had the ambition of conquering the entire world, like Napoleon, who had success for time, but not a very long time. You had Hitler who had success for a time, but not a very long time. You see that the more violent actions leaders take, the shorter their lifespan will be. The Soviet Union survived for as long as it did because it avoided the cold war becoming hot. Putin has survived for as long as he has survived because he avoided crossing that line. But now it has been crossed and there is no way back.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심지어) 기록된 역사를 본다면, 여러분은 【〔그런 제국들의 기간〕이 (확실히) 점점 더 짧아지고 있다는 것】을 봅니다. 로마 제국은 (상당히 오랫동안) 생존했습니다. 【가톨릭 로마 제국】은 (한동안) 생존했습니다. 【〔러시아에 제정 제국〕, 〔유럽의 왕들〕, 〔유럽의 왕국들〕】은 (한동안) 생존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것이 짧아졌다는 것】을 봅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전 세계를 정복하는 야망을 갖고 있는〕 이 지도자들】을 갖고 있었습니다, 【〔한동안 성공했지만〕, 〔매우 오랫동안은 아닌〕 나폴레옹과 같은】. 여러분은 【〔한동안 성공했지만〕, 〔매우 오랫동안은 아닌〕 히틀러】를 갖고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지도자들】이 폭력적인 행동을 취할수록, 【그들의 수명】이 짧아질 것이라는 것』을 봅니다. 【소비에트 연방】은 【그것이(소비에트 연방) 생존한 만큼 오랫동안】 생존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냉전이 치열해지는 것】을 피했기 때문입니다. 푸틴은 【그가 생존한 만큼 오랫동안】 생존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 선을 넘는 것】을 피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그것은(푸틴) 건너갔습니다 그리고 돌이킬 수 없습니다.
New awareness in the non-democratic nations
민주적이지 않은 국가들에 새로운 인식
This is something that there can be an awareness of, that many people can grasp not only in democratic nations but also in non-democratic nations. There is a momentum building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here many, many people in non-democratic nations are suddenly, without any particular forethought, becoming aware of these weaknesses in their nations and in their former government and in dictatorial regimes. They are beginning to see that they are in a self-destructive spiral that cannot be maintained. And if their societies are to avoid some kind of breakdown, there needs to be change.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민주 국가에서〕 뿐만 아니라, 또한 〔민주적이지 않은 국가에서〕】 파악할 수 있는』 【〔...에 대한 인식이 있을 수 있는〕 어떤 것】}입니다. {『【민주적이지 않은 국가들에 많고, 많은 사람들】이 (갑자기) 【〔그들의 국가에〕 그리고 〔그들의 이전의 정부에〕 그리고 〔독재 정권에〕 이 약점들을 (어떠한 특정한 사전 숙고 없이) 알게 되고 있는】』 집단의식에 커지는 여세}가 있습니다. 그들은 【그것들이 〔자기 파괴적인 나선이고〕 그리고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그들의 사회】가 【어떤 종류의 붕괴】를 피하려면,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There are people in China who can see that an invasion of Taiwan would be suicidal for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urrent power elite of China. There are people in the Arab nations who can see that the current situation with Islam having such an influence on the government is not sustainable. There are people in other nations who can see that the attempt by some leaders to subvert and undermine democracy, and give themselves unconstitutional powers, is not sustainable. Turkey is one obvious example of this. It is not enough to change your name, you need to change your game. Which means changing the man at the top.
{『【〔타이완 침략〕이 〔(공산당)과 (중국의 현재 파워엘리트)에게〕 자멸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볼 수 있는』 중국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슬람교가 정부에 대한 그런 영향력을 갖고 있는 현재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볼 수 있는』 아랍 국가들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민주주의를 전복시키고 약화시키고〉, 그리고 〈그들 자신에게 헌법에 위배되는 권력을 주는〉) 일부 지도자들에 의한 시도〕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볼 수 있는』 다른 국가들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터키】는 【이것에 대한 한 가지 분명한 예】입니다. 여러분의 국가명을 바꾸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게임】을 바꾸어야 합니다. 그것은 【맨 위에 사람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re is this underlying and yet mostly unseen and unrecognized momentum that is building, and it is building towards this recognition that suffering is not unavoidable. Suffering is for the most part created by human beings, and it is created by the human beings who are taking through force, the human beings who justify force and who will not admit that they are wrong. This inflexibility, this unwillingness to adapt and change, is the real cause of most of the suffering seen on earth. It is so to speak the driving force that stirs up the sea of samsara.
【〔커지고 있는〕 이 근본적이지만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 그리고 인식되지 않는 여세】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고통은 불가피하지 않다는〕 이 인식】을 향해 커지고 있습니다. 고통은 (대개)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그것은(고통) 『【〔힘을 통해서 빼앗고 있는〕 인간】, 【〔(힘을 정당화하고) 그리고 (〈그들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굽히지 않기〕, 〔적응하고 변화하기를 이 꺼림〕】이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고통〕의 진짜 원인】입니다. 그것은 (말하자면) 【〔삼사라의 바다를 휘젓는〕 추진력】입니다.
The key to overcome human suffering
인간 고통을 극복하는 열쇠
This momentum has, as I said, partly been built by ascended master students, partly by many Buddhists over the past 2,500 years who have attempted to embody the teachings that I gave, partly by many Christians who have attempted to embody the teachings of Jesus and partly by many people in democratic nations and even in non-democratic nations who had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dictatorships and democracies. Who have considered: “Why is their human suffering? What is the cause? What could be done to alleviate, perhaps even remove, human suffering? Would it be possible to remove human suffering?” Many have asked. Some have concluded that it would not because they could not see how. Others have contemplated that it must be possible. They sense intuitively, they know perhaps from past lives, perhaps from in between embodiments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o remove, to resolve human suffering.
【이 여세】는 (내가 말한 것처럼) 『【(부분적으로) 상승 마스터 학생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내가 준 가르침〉을 구체화하려고 시도한) 지난 2,500년 동안 많은 불교도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예수의 가르침을 구체화하려고 시도한) 많은 기독교인들〕에 의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독재 정부와 민주 국가 사이에 차이를 숙고한) 민주 국가에 그리고 심지어 민주적이지 않은 국가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어떤 사람】은 『"그들의 인간 고통이 있는 이유? 원인이 무엇인지? 【〔인간 고통〕을 완화하고, (아마도) 제거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는 것? 인간 고통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까?"』를 숙고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물었습니다. 일부는 【〔그들이 방법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인간 고통〕을 완화하고, 제거하고,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감지합니다, 그들은 『【〔인간 고통〕을 완화하고, 제거하고,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마 과거 삶에서, 아마 구체화들 가운데에서) 알고 있습니다.
Is it not after all what the Buddha said? Is it not what Jesus said? Is it not what many other religions and spiritual movements have said? It is possible to overcome suffering. Some say it is possible only after you pass from this world. But many, especially in the modern age, have started to ask: “Should it not be possible to achieve it, even in this world, the freedom from suffering?”
What many of these people have begun to suspect is that freedom from suffering can be achieved not in an outer way, not by creating an ideal utopian society. After all, where does suffering take place? You may say that if you fall off a horse and break your leg there is a physical pain that causes you suffering. But where is the pain experienced? In your mind. When you are given an anesthetic that dulls the pain, does that anesthetic affect your broken leg? Or does it affect your brain that senses the physical pain?
그것이 (결국) 【붓다가 말한 것】이 아닙니까? 그것이 【예수가 말한 것】이 아닙니까? 그것이 【〔(많은 다른 종교)와 (영적인 운동)〕이 말한 것】이 아닙니까? 【고통을 극복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일부는 【그것이 〔여러분이 이 세상을 떠난 이후에만〕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특히 현대 시대에) 묻기 시작했습니다: "【이 세상에서도 그것을(고통에서 자유) 성취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지 않을까?" 【〔이 사람들 중의 많은 사람들〕이 의심하기 시작한 것】은 『【고통에서 자유】가 【〔외적인 방식이 아니라〕, 〔이상적인 유토피아 사회를 만드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성취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고통】이 어디에서 일어납니까? 여러분은 『만약 여러분이 【〔말에서 떨지고〕 그리고 〔여러분의 다리를 부러뜨린다면〕】, 【〔여러분을 고통스럽게 하는〕 육체적인 통증】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어디에서 경험됩니까? 여러분의 마음속에. 여러분에게 【〔통증을 무디게 하는〕 마취제】가 주어질 때, 【그 마취제】가 【여러분의 부러진 다리】에 영향을 미칠까요?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육체적인 통증을 감지하는〕 여러분의 뇌】에 영향을 미칠까요?
But beyond the physical pain is of cours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pain, and this is suffering. Pain, physical pain, even when it is experienced by the brain, is not actually suffering, because suffering is not the same as pain. Pain can cause or trigger suffering but the pain itself is not the suffering. The suffering is an experience in the mind. And it can have various elements, but there is always that element: “I should not be feeling this pain. I should not be experiencing this condition. These people should not be doing this to me.” There is always a sense in the mind: this should not be happening. But since this is happening, and since you cannot make it go away, this then is what causes the suffering.
그러나 (육체적인 통증 외에) (물론) 【심리적인 통증의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고통】입니다. 【〔통증〕, 〔육체적인 통증〕】은 (그것이 뇌에 의해서 경험될 때도) 실제로 【고통】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고통】은 【통증】과 같지 않습니다. 【통증】은 【고통】을 야기하거나 촉발시킬 수 있지만, 【통증 자체】는 【고통】이 아닙니다. 【고통】은 【마음속에 경험】입니다. 그리고 그것은(고통) 【여러 가지 요소】를 갖고 있을 수 있지만, 항상 그 요소가 있습니다: "나는 【이 통증】을 느끼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나는 【이 상태】를 경험하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이 사람들은 나에게 이것을 하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마음속에 감각】이 항상 있습니다: 이것은 일어나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이것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이 없어지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그러니까) 이것이 【고통을 야기하는 것】입니다.
Many people have begun to at least suspect and sense that suffering takes place in the mind, which means that even though it can be triggered by external factors, the real cause of suffering must be internal. And this means that the only way to remove suffering is to work directly with the mind. Surely democratic societies have attempted to create a situation where the citizens of those societies are not experiencing many of these external conditions that have traditionally caused suffering or triggered suffering. There are many people in democratic societies who have grown up their entire lives without experiencing these severe physical circumstances. But still many people suffer. They suffer even though they have no physical reason to suffer, but they have a psychological reason that causes suffering.
많은 사람들은 (적어도) 『【〔고통〕이 마음속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의심하고 감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비록 그것이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촉발될 수 있더라도, 【고통의 진짜 원인】은 내부에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고통을 제거하는 유일한 방법】이 【(직접적으로) 마음에 대해 작업하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확실히) 【민주 사회】는 {『【그 사회들의 시민들】이 【〔(전통적으로) 고통을 야기하고 혹은 고통을 촉발시키는〕 이 많은 외부의 상황】을 경험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만들려고 시도했습니다. 『【〔이 극심한 물리적인 환경을 경험하지 않고〕 평생 성장한】 민주 사회에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고통받습니다. 그들은 고통받습니다, 그들이 【고통받는 육체적인 이유】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그들은 【〔고통을 야기하는〕 심리적인 이유】를 갖고 있습니다.
The democracies have proven that even giving people ideal material conditions does not remove their suffering. It is now clear that the only way to remove suffering is to work with the mind. Which, as it so happens, was what I said 2,500 years ago. And what Jesus said 2,000 years ago. And what Confucius and Lao Tzu and other spiritual messengers have said at many different times in many different contexts. They have often not been heard because even though people could hear the outer teaching, they could not fully internalize it. But we are now approaching an age where more and more people will be able to grasp the teaching, to grasp what is actually being said: that the key to overcome suffering is in the human mind.
【민주 국가】는 『【사람들에게 〔이상적인 물질적인 조건〕을 주는 것】도 【그들의 고통】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고통을 제거하는 유일한 방법〕이 〔마음에 대해 작업하는 것〕이라는 것】이 (이제) 분명합니다. 그것이 (공교롭게도) 【내가 2,500년 전에 말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가 2,000년 전에 말했던 것. 그리고 【〔공자〕와 〔노자〕와 〔다른 영적인 메신저들〕】이 【많은 다른 맥락에서 많은 다른 때에】 말했던 것. 『사람들이 【외적인 가르침】을 들을 수 있었더라도, 그들이 그것을 완전히 내면화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것들은 (보통) 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가르침)을 파악하고〕, 〔(실제로 말해지고 있는 것 - 고통을 극복하는 열쇠가 인간 마음속에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을〕】』 시대}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You may attempt to create a utopia, and you may attempt to create an ideal society, but it will never alleviate suffering. What is it that you see in a force-based society where the government is based on force? You see that such a society has a high degree of suffering. The people of the Soviet Union clearly suffered more than the people in Western Europe at the time. The people in Russia before the invasion were clearly suffering more than the people in Western Europe at the time. The people in Russia after the invasion are clearly suffering more than the people in Western Europe.
여러분은 【유토피아를 만들려고】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려고】 시도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결코 고통을 완화하지 못할 것입니다. 【여러분이 〔(정부가 힘에 근거한) 힘에 기반을 둔 사회〕에서 보는 것】이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그런 사회〕가 〔높은 정도의 고통〕을 갖고 있다는 것】을 봅니다. 【소비에트 연방의 사람들】은 (분명히) 【그 당시에 서구 유럽에 사람들보다 더】 고통받았습니다. 【침략 이전에 러시아에 사람들】은 (확실히) 【그 당시에 서구 유럽에 사람들보다 더】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침략 이후 러시아에 사람들】은 (확실히) 【서구 유럽에 사람들보다 더】 고통받고 있습니다.
You see that in a force-based society, a force-based government, the people suffer more. In a democratic nation the people suffer less, but they still suffer. And their suffering is different. They are not suffering as a result of outer conditions, but now, to a greater and greater extent they are suffering because of psychological conditions. We have explained the reason for this, tha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rauma in past lives will tend to want to embody, if at all possible, in a democratic nation where they have a better opportunity to resolve their traumatized psychology.
여러분은 『【〔힘에 기반을 둔 사회〕, 〔힘에 기반을 둔 정부〕에서】, 【사람들】이 더 고통받는 것』을 봅니다. (민주 국가에서) 【사람들】은 덜 고통받지만, 그들은 여전히 고통받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고통】은 다릅니다. 그들은 【외적인 상황의 결과로써】 고통받고 있지 않지만, (이제), (점점 더 큰 정도로) 그들은 【심리적인 상황 때문에】 고통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과거 삶들에서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이 【그들이 〔그들의 엄청난 충격을 받은 심리를 해결할 더 나은 기회〕를 갖는】 민주 국가에서 (가능한 한) 구체화하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이것에 대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You cannot remove suffering through force
여러분은 힘을 통해서 고통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But nevertheless, the point here is that you need to ask yourself, primarily in democracies but also in other nations, what is the purpose for our society? You can look at a dictatorship and see that the purpose of a dictatorship is to give the dictator and the power elite that supports him whatever they crave in terms of a sense of power, a sense of being superior, a sense of being special, a sense of being rich and privileged, whatever it may be. But the entire society is based on this small power elite taking by force from the population.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요점】은 『여러분이 【우리의 사회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주로 민주 국가들에서, 다른 국가들에서도) 여러분 자신에게 물어야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독재 정부를 보고} 그리고 {『【독재 정부의 목적】이 【〔독재자〕와 〔(그를 지지하는) 파워엘리트〕】에게 【〔(힘의 감각), (우월하다는 감각), (특별하다는 감각), (부유하고 특권을 가졌다는 감각), (그것이 어떤 것이든) 면에서〕 〔(그들이 원하는) 어떤 것이든〕】 주는 것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사회】는 【〔주민으로부터 힘으로 빼앗는〕 이 작은 파워엘리트】에 근거합니다.
It is clear that when you have a force-based society whe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virtually slaves of a small elite, the population will suffer. There will be plenty of external circumstances that cause the population to suffer because they feel this is not right, they should be having a better life, they should not be limited so much, they should not be persecuted and so forth. But as I have also explained, nobody actually suffers more than the dictator and his henchmen. They are the ones who are suffering most.
『여러분이 【〔다수의 주민〕이 〔사실상 작은 엘리트의 노예〕인】 힘에 기반을 둔 사회를 갖고 있을 때, 주민이 고통받을 것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들이 【이것이 옳지 않고】, 【그들이 더 나은 삶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들이 매우 많이 제한받아서는 안 되고】, 【그들이 박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 등등을 느끼기 때문에』 『【주민이 고통받도록 야기하는】 많은 외부 환경』}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또한 설명한 것처럼, 아무도 (실제로) 【〔독재자〕와 〔그의 심복〕보다】 더 고통받지 않습니다. 그들은 【〔가장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What you can say is that a force-based society is not a society that has the goal of ending or even minimizing human suffering, and it could never achieve that goal even if it wanted to. You cannot remove suffering through force. Force will only generate more suffering. And of course, suffering also generates more force because people in this mindset think that if they are suffering, there must be an outer cause, and if they use force to destroy that cause, they will not be suffering. But their attempt to destroy the cause will only cause more suffering and therefore they are in this never-ending spiral that builds in intensity until they can no longer survive it psychologically, or even physically.
【여러분이 말할 수 있는 것】은 『【힘에 기반을 둔 사회】가 【〔(〈인간 고통〉을 끝내거나 혹은 심지어 최소화하는 목표)를 갖고 있는〕 사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록 그것이(힘에 기반을 둔 사회) 원하더라도 그것은(힘에 기반을 둔 사회) 그 목표를 결코 성취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힘을 통해서】 고통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힘】은 【더 많은 고통만】 발생시킬 것입니다. 그리고 물론, 【고통】은 (또한) 【더 많은 힘】을 발생시킵니다 (왜냐하면) 【이 사고방식에 사람들】은 『만약 그들이 고통받고 있다면, 【외적인 원인】이 있을 것이고, 그리고 만약 그들이 【그 원인을 파괴하기 위해】 힘을 사용한다면, 그들이 고통받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원인을 파괴하는 그들의 시도】는 【더 많은 고통만】 초래할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이 더 이상 〔심리적으로, 혹은 심지어 육체적으로〕 그것을 견뎌 낼 수 없을 때까지】 【강도에서 커지는】 이 끝이 없는 나선』 안에 있습니다.
You cannot remove suffering through material welfare
여러분은 물질적인 복지를 통해서 고통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When you then look at democracies, what could you actually say about democracies? You could say that they are societies aimed at minimizing human suffering, minimizing the suffering of the general population. You could even say that the higher goal of a democracy is to remove human suffering. But what we are pointing out with this series of discourses is that this cannot be achieved, no matter how good of an outer society you create. No matter how good the material conditions are, how free people are, how easy of a life they have, it will not remove suffering because the cause of suffering is internal. As we have said before, the next logical step for the modern democracies, is to focu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stead of material welfare.
여러분이 【민주 국가들】을 볼 때, 여러분은 실제로 민주 국가들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여러분은 『그것들이 【〔(인간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 (일반 주민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민주주의의 더 높은 목표】가 【인간 고통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 담론 시리즈로〕 가리키고 있는 것】은 【이것이 성취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아무리 좋은 외적인 사회를 만들더라도. 물질적인 조건이 아무리 좋더라도, 사람들이 아무리 자유롭더라도, 그들이 갖고 있는 삶이 아무리 수월하더라도, 그것이 【고통】을 제거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고통의 원인】은 내부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현대 민주 국가의 다음 논리적인 단계】는 【〔물질적인 복지 대신에〕 심리적인 행복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This is clearly another step up, another logical, natural progression of what the modern democracies have experienced, at least the ones that are most highly evolved in the democratic process. This again does not mean they have to acknowledge a spiritual teaching or the assistance of ascended masters, but they do need to discover certain universal principles about the human psyche, and implement them.
이것은 (분명히) 『【현대 민주 국가들이 경험한 것】의 다른 점진적 증가, 다른 논리적인, 자연스러운 진전』입니다, 적어도 【〔민주적인 과정에서 매우 고도로 발달된〕 국가들】. 이것은 (다시) 【그들이 〔(영적인 가르침) 혹은 (상승 마스터들의 도움)〕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지만, 그들은 『【〔인간 정신에 대해 특정한 보편적인 원리들〕을 발견하고】, 그리고 【그것들을 시행해야 합니다】』.
You could say, as we have said, the real important thing for democracy is people, not ideas, not theories, not ideologies. The real important thing for democracy is the population at large, not a small elite. But at another higher level up the goal of a democracy is to alleviate suffering for the people. This of course is something that more and more people are beginning to lock into, to grasp, to acknowledge and even to talk and write about. You are part of that process as our direct students when you raise your own consciousness, when you make the calls, when you study the teachings, but there are many, many other people.
여러분은 『【민주주의의 정말 중요한 것】이 【사람들】이라고 - 개념들이 아니고, 이론들이 아니고, 이념들이 아니고』 (우리가 말한 것처럼) 말할 수도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정말 중요한 것】은 【일반 주민】입니다, 파워엘리트가 아니고. 그러나 (다른 더 높은 수준에서) 【민주주의의 목표】는 【사람들의 고통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에 고정되기〕, 〔파악하기〕, 〔인정하기〕 그리고 〔심지어 ...에 관해 말하고 쓰기〕】 시작하는』 어떤 것}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의 의식】을 올릴 때, 여러분이 요청할 때, 여러분이 【가르침들】을 공부할 때』, 여러분은 【우리의 직접적인 학생들로서】 그 과정의 일부이지만, 【많고, 많은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다.
Creating the upward spiral for all people
모든 사람들을 위한 상향 나선 만들기
As we have said several times in previous dispensations our students had the need to feel that they alone were saving the world for Saint Germain. But this, you are mature enough to realize, is a naive view. It takes many, many, many people to change the world. You can be the forerunners, the tip of the spear, but you cannot do it alone. It would be naive to think so. Therefore, we have several times asked you to make this shift where you are not doing what you are doing in order to elevate yourselves to be special because when you have this mindset, you can very easily open yourself to that spiritual poison of envy and jealousy. What does this poison cause people to do? You actually want to be the only ones who are doing something positive for Saint Germain. You do not want all of these people out there to tune into our ideas and implement them because that would take credit away from you. There has been this kind of consciousness in previous ascended master dispensations, and in many religious movements and spiritual movements.
(우리가 우리의 이전 시혜들에서 몇 번 말한 것처럼) 【우리의 학생들】은 『【그들만이 성 저메인을 위해 세상을 구하고 있다고】 느낄 필요성』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분이 인식하기에 충분히 분별 있는) 【순진한 견해】입니다. 세상을 바꾸는데 많고, 많고, 많은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은 【〔선구자들〕, 〔창의 끝〕】일 수 있지만, 여러분 단독으로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순진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특별한 것으로 높이기 위해서】 【여러분이 하고 있는 것】을 하고 있지 않은』 이 변화를 만들라고 (몇 번) 요청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이 사고방식】을 갖고 있을 때, 여러분은 【〔부러움과 질투〕의 그 영적인 독】에 여러분 자신을 (매우 쉽게) 열 수 있습니다. 【이 독이 사람들이 하도록 야기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실제로) 【〔성 저메인을 위해 긍정적인 어떤 것을 하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 되기를 원합니다. 여러분은 【저기에 이 모든 사람들】이 【〔우리의 견해들에 조율하고〕 그리고 〔그것들을 시행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으로부터 【공(credit)】을 빼앗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전 상승 마스터 시혜들에〕, 그리고 〔많은 종교적인 운동과 영적인 운동에〕】 이러한 종류의 의식이 있었습니다.
Many gurus still want to elevate themselves and they pass this on to their followers. We are asking you to step up to a higher level of maturity, let this go and hold the vision that all of the people out there who have the potential to tune into these ideas, implement them and change the world will do so. They will achieve maximum success that is in their divine plans. Because truly my beloved, when you reach a higher level of Christhood, you see as self-evident that other people having success in fulfilling their divine plans could not possibly detract from your divine plan. On the contrary, the more other people have success, the more you will have success, because you are part of the whole, and it is only by seeking to raise that whole, that you will have the maximum raising of yourself. This is what you see as self-evident when you reach a certain level of Christhood. You realize it is not about me as this separate being. It is about the greater me of all people who are in an upward spiral. Ultimately, even all of humanity, because all can be pulled up by the upward spiral, even if they are not yet activity locked into it and accelerating it.
【많은 구루들】은 (여전히) 그들 자신을 높이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의 추종자들에게 이것을 전달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더 높은 수준의 성숙함에 다가가고】, 【이것을 놓고】 그리고 【〔(〈이 견해들에 조율하고, 그것들을 시행하고 그리고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갖고 있는〉 저기에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할 것이라는〕 비전을 갖고 있으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신성한 계획 안에 있는〕 최대의 성공】을 이룰 것입니다. 왜냐하면 정말로 나의 사랑하는 이여, 여러분이 【더 높은 수준의 그리스도임】에 도달할 때, 여러분은 『【그들의 신성한 계획을 이행하면서 성공하는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신성한 계획】을 손상시킬 수 없다는 것』을 자명한 것으로 봅니다. 그와는 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성공하면 할수록, 여러분이 더욱더 성공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전체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최대한 올리게 되는 것】은 【〔그 전체를 올리려고 추구하는 것〕에 의해서】일 뿐입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특정한 수준의 그리스도임〕에 도달할 때】 여러분이 자명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것이 〔이 분리된 존재로서 나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합니다. 그것은 【〔(상향 나선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의 더 큰 나에 대한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심지어 모든 인류, 왜냐하면 【모두】가 【상향 나선에 의해서】 끌어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비록 그들이 아직 【〔그것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것을 가속화하고 있지 않더라도〕】.
The big success of the conference
컨퍼런스의 큰 성공
This conference and I am not saying this to make you feel special, but you do deserve a realistic assessment – this conference has had a major impact because of the timing. Because of the shift, the awakening that happened as a result of Vladimir Putin’s shock therapy, this conference, our dictations, your calls, your internalization and listening to the dictations has had a much bigger impact than it otherwise would have had.
이번 컨퍼런스 그리고 나는 【여러분이 특별하게 느끼도록 만들기 위해】 이것을 말하고 있지 않지만, 여러분은 현실적인 평가를 받을 만합니다 - 【이번 컨퍼런스】는 【타이밍 때문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의 충격 요법의 결과로 일어난〕 변화, 자각】 때문에, 【〔이번 컨퍼런스〕, 〔우리의 딕테이션〕, 〔여러분의 요청〕, 〔여러분의 내면화〕 그리고 〔딕테이션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미쳤을 것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You can say: “We could have given the same dictations, by and large, six months ago.” You could have given not the same invocations, but you could have given some powerful invocations and we could have had a conference on democracy and Christhood in the fall. But becaus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as in this stalemate that it was in at the time, the conference would not have had anywhere near the impact that this conference has had. You really have had, in this conference, a tremendous impact in giving direction to the turmoil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ere is plenty of energy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ut there has been lacking the direction. There has been some direction, because as we have said, the democratic nations have actually responded in a higher degree than we expected. But there has still been a lack of direction and you have provided the impetus that, if people are willing, can crystallize new visions, new directions and a new sense of determination. For this, you deserve our gratitude.
여러분은 【: "우리가 〔대체로 여섯 달 전에〕 동일한 딕테이션을 줄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동일한 기원문】을 할 수 없었지만, 여러분은 【약간의 강력한 기원문】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가을에 민주주의와 그리스도임에 대한 컨퍼런스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집단의식 때문에) 【그것이 그 당시에 ...에 있었던】 이 교착 상태가 있었습니다, 【컨퍼런스】는 【〔이번 컨퍼런스가 미쳤던〕 영향】을 거의 미칠 수 없었습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이번 컨퍼런스에서) 【집단의식에 혼란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집단의식에 많은 에너지】가 있지만, 방향이 없었습니다. 어떤 방향이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말한 것처럼, 【민주 국가들】이 (실제로)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높은 정도로】 반응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방향의 부족이 여전히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만약 사람들이 기꺼이 한다면) 〔(새로운 비전), (새로운 방향) 그리고 (새로운 결단의 감각)〕을 구체화할 수 있는】 자극』을 제공했습니다. 이것에 대해, 여러분은 우리의 감사를 받을 만합니다.
Peace coming from the come-what-may mindset
무슨 일이 있어도 사고방식에서 오는 평화
You will recognize perhaps that we of the ascended masters are the ultimate flexible beings. This will surprise some ascended master students who think that we are constant. In a sense, we are constant in our level of consciousness, although we are still transcending ourselves as we have said. But we are infinitely flexible when it comes to helping human beings on earth. Any situation, any shift in conditions on earth, we always seek to use them to promote growth. Surely, we would have preferred that this war had not taken place. But now that it has taken place, we do not look at this with any kind of regret. We say: “How do we help people move on from here? How do we turn this into a positive and turn it into a growth opportunity that will actually bring growth and bring the planet and the societies that are willing, closer to Saint Germain’s Golden Age?”
여러분은 (아마) 【〔우리 상승 마스터들〕이 〔궁극적인 유연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할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변함없다고〕 생각하는】 일부 상승 마스터 학생들』을 놀라게 할 것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우리의 의식 수준에서 변함없습니다, 【우리가 말한 것처럼】 우리가 우리 자신을 계속해서 초월하고 있긴 하지만. 그러나 【지구에 인간을 돕는 것에 관해서라면】 우리는 (한없이) 유연합니다. 【어떠한 상황】, 【지구의 사정에 어떠한 변화】, 우리는 항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그것들을 이용하려고 추구합니다. 확실히, 우리는 【이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선호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일어났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어떠한 종류의 유감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말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사람들이 여기에서 나아가도록 도울까? 우리가 어떻게 {『이것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그리고 『그것을 【실제로 〔성장을 가져오고〕 그리고 〔(〈행성〉과 〈기꺼이 하는 사회〉)를 (성 저메인의 황금시대로 더 가까이) 데려올〕】 성장 기회로 바꿀까』}?"
This is of course a mindset that you can adopt as well, as our students. This messenger was, as he said, shocked when the war happened, but he worked with himself and his psychology, changed his mindset. He was helped by the thought that when you look at the earth today, you can see that conditions on this planet are very far below where they will be in Saint Germain’s Golden Age. We have given enough teachings about the Golden Age of Saint Germain that you can all see that conditions on earth right now are very, very far below where they will be in the golden age. This means that tremendous changes need to take place before the golden age can truly begin to manifest.
(물론) 이것은 『【〔우리의 학생으로서 여러분도〕 취할 수 있는】 사고방식』입니다. 【이 메신저】는 (우리가 말한 것처럼) 【전쟁이 일어났을 때】 충격받았지만, 그는 『【〔(그 자신)과 (그의 심리)〕에 대해 작업했고】, 【〔그의 사고방식〕을 바꾸었습니다】』. 그는 {『여러분이 오늘날 지구를 볼 때, 여러분이 【〔이 행성에 상태〕가 〔그것들이 성 저메인의 황금시대에 있을 곳보다〕 매우 훨씬 아래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의해서} 도움받았습니다. 우리는 {『여러분 모두가 【〔지금 지구에 상태〕가 〔그것들이 황금시대에 있을 곳보다〕 매우, 매우 훨씬 아래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성 저메인의 황금시대에 대해 충분한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이것은 『【〔황금시대〕가 정말로 나타나기 시작할 수 있기 전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is messenger realized that so far, he had had the attitude, the mindset, that he was hoping and wanting and holding the vision that these changes would happen gradually so there would not be these big shocks, such as a war, such as the corona pandemic, an economic collapse or other things like that. He was hoping that the kind of growth that he has seen for most of his lifetime and that most of you have seen for most of your lifetimes in the modern democratic world, this gradual steady progression without the big shocks.
이 메신저는 ▶(지금까지) 그가 {그가 『【〔전쟁과 같은, 코로나 전 세계적인 유행병, 경제 붕괴 혹은 그와 같은 다른 것들과 같은〕 이 큰 충격들이 없을 정도로】 이 변화들이 서서히 일어날 것이라고』 희망하고 있는 그리고 원하고 있는 그리고 비전을 갖고 있는} 태도, 사고방식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그는 {『【〔그가 (그의 생애의 대부분 동안) 본〕 그리고 〔(여러분 중의 대부분)이 (현대 민주 세계에서 여러분의 생애의 대부분 동안) 본〕】 종류의 성장』, 『큰 충격 없는 이 점진적인 꾸준한 진전』}을 희망하고 있었습니다.
He was hoping for this. But when he examined this mindset he realized: “But if the changes, the tremendous changes that need to take place happen only gradually, would it not take a very long time before the golden age could be manifest?” This caused him to shift his mindset and say: “Well, I can accept that there will be some big shocks, some big dramatic events that will shift the mindset so that we can more quickly reach the manifestation of the golden age.” All of you can do the same, not only because it will actually speed up growth because you are not holding a vision that promotes slower growth, but also because you yourselves can attain a greater sense of peace when these events happen.
그는 【이것】을 희망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이 사고방식】을 검토했을 때, 그는 인식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일어나야 하는〕 변화, 엄청난 변화】가 단지 서서히 일어난다면, 【황금시대가 나타날 수 있기 전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이것이 그가 【〔그의 사고방식을 바꾸고〕 그리고 〔말하도록〕】 야기했습니다: "음, 나는 {『우리가 【황금시대의 나타남】에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사고방식을 바꿀〕 어떤 큰 충격들, 어떤 큰 극적인 사건들】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는 【동일한 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실제로 【여러분이 〔(더 느린 성장을 촉진하는) 비전〕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성장 속도를 높일 것이기 때문에』 뿐만 아니라, 또한 『【〔이 사건들〕이 일어날 때】 【여러분 자신】이 【더 큰 평화의 감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I am not in any way discounting the suffering of people in Ukraine. I am not saying that if you live in Ukraine, you should be able to be at peace about the entire situation. But there are many of you, most of our students who are living in more peaceful countries and you can adopt a more peaceful state of mind. More of a “come-what-may” instead of this fear: “Oh, this must not happen, or that must not happen.” This means that when things do happen that are dramatic, then you will not lose your peace. You will not go into that state of agitation where you think, as even this messenger did in the beginning days of the war: “Oh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How could this happen?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You can instead adopt the mindset: “Well, now that it has happened, how do we make the best of it? How do we turn it into growth?” It will be easier for you to deal with the rest of your time in embodiment.
나는 【우크라이나에 사람들의 고통】을 (어떻게든) 무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만약 여러분이 우크라이나에 산다면, 여러분이 【전체 상황에 대해】 평화롭게 있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더 평화로운 국가들에 살고 있는】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 대부분의 우리의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더 평화로운 마음 상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오, 이것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혹은) 저것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라는 이 두려움 대신에』 오히려 "무슨 일이 있어도". 이것은 『【〔극적인〕 상황】이 일어날 때, 여러분이 【여러분의 평화】를 잃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은 {『(이 메신저조차 전쟁의 초기에 했던 것처럼) 여러분이 【: "오 이것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이것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가? 이것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라고 생각하는』 그 불안의 상태}에 들어가지 않을 것입니다. (대신에) 여러분은 사고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음, 그것이 일어났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최대한 이용할까?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성장으로 바꿀까?" 【여러분이 구체화 안에 여러분의 나머지 시간을 처리하는 것】이 더 쉬울 것입니다.
Gautama’s offer
고타마의 제안
There can be dramatic shifts. We have actually never said there would not be. But we have been working towards a more steady growth that would not require these very hard knocks in the school of hard knocks. You are direct students, you are not in the school of hard knocks. Therefore, you can strive for a state of mind where you are not disturbed when others receive those hard knocks. This, I desire to see for you. I hope this conference has helped you move closer to that state of peace. If not, I offer you my flame of cosmic peace that will make unruly thoughts cease. Give my decree, give even the refrain to the decree. It is four lines. You can learn it by heart in a short time, and then give it if you feel agitation. Give it if you are lying at night and find it difficult to go to sleep. Just silently repeat the refrain of my decree:
【극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실제로) 【없을 것이라고】 결코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고난의 학교에서 이 바로 그 고난들〕을 요구하지 않을】 더 꾸준한 성장』 쪽으로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직접적인 학생들】입니다, 여러분은 【고난의 학교 안에】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이 그 고난들을 받을 때】 여러분이 매우 불안해하지 않는』 마음 상태}를 얻으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이것, 나는 여러분에게 보기를 바랍니다. 나는 【〔이번 컨퍼런스〕가 여러분이 〔그 평화의 상태로 더 가까이 이동하도록〕 도왔기를】 희망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나는 여러분에게 【〔다루기 힘든 생각들이 그치도록 만들〕 나의 우주 평화의 화염】을 제공합니다. 나의 디크리를 하세요, 디크리에 후렴구도 하세요. 그것은 네 줄입니다. 여러분은 짧은 시간에 그것을 암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만약 여러분이 불안을 느낀다면】 그것을 하세요. 【만약 여러분이 〔밤에 누워있고〕 그리고 〔(잠이 드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그것을 하세요. 단지 【나의 디크리의 후렴구】를 조용히 반복하세요:
Gautama flame of cosmic peace,
고타마 우주 평화의 화염이시여,
Unruly thoughts do hereby cease,
이로써 다루기 힘든 생각들이 그치고,
We radiate from you and me,
당신과 나는 내면의 평화를 방사하여,
The peace to still samsara’s sea.
윤회의 바다를 고요하게 합니다.
I hold the vision for you that samsara’s sea will be stilled in your minds.
나는 여러분을 위해 『【윤회의 바다가 여러분의 마음속에서 고요해질 것이라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And for this, I seal you in my flame of cosmic peace and the flame of gratitude from all of us that you have listened to, or invoked, during this magnificent event.
그리고 이것을 위해, 나는 『【나의 우주 평화의 화염】 그리고 【〔여러분이 (이 감명 깊은 사건 동안) 귀를 기울였고 혹은 기원한〕 우리 모두로부터 감사의 화염】』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Copyright © 2022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