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드마삼바바 (2022년 10월 10일)
Let go of any sense of obligation to earth
지구에 대한 모든 의무감을 놓으세요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let-go-of-any-sense-of-obligation-to-earth/
Ascended Master PadmaSambhava through Kim Michaels, October 10, 2022.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2 Webinar for America – The Resurrection of Democracy.
2022년 10월 10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파드마삼바바. 이 딕테이션은 【2022년 미국을 위한 웨비나 동안 - 민주주의의 부활】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PadmaSambhava. I AM a Vajra Guru. This indicates that I have reached a certain level of Buddhahood which gives me the right to be on earth, to teach on earth. I do not often speak in this way, but I want to take this opportunity to give you a teaching that might benefit you.
나는 상승 마스터 파드마삼바바입니다. 나는 바즈라 구루입니다. 이것은 『내가 【〔나에게 (〈지구에 있을〉, 〈지구에서 가르칠〉 권리)를 주는〕 특정한 붓다임의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나는 보통 이런 식으로 말하지 않지만, 나는 이 기회를 빌어 여러분에게 【〔여러분에게 유익할 수도 있는〕가르침】을 주고 싶습니다.
Astrea talked about the possibility of being addicted to a certain stimulation on earth. As a person on the path to Christhood you rise above these addictions to things in the world. But it is possible to become almost addicted to solving problems, to resolving things in your own psyche, in your own psychology.
【아스트레아】가 【〔지구에 특정한 자극에 대해 중독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길에 한 사람으로 여러분】은 【세상에 것들에 대한 이 중독들】을 초월합니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여러분 자신의 정신에), (여러분 자신의 심리에) 것들〕을 해결하는 것】에 거의 중독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problems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
I want to give you an image. There is a vast landscape, a large plain surrounded by hills and mountains stretching into the far horizon. Above it is an expansive blue sky from which shines the sun beautifully. On the ground in the middle of this huge plain stands a person. Above the head of that person is a small black cloud. And the person is looking up at the cloud, saying: “Oh, look at that black cloud, surely the world is coming to an end soon” – completely ignoring the vast landscape, the expansive sky, the shining sun, only focusing on the black cloud.
나는 여러분에게 이미지를 주고 싶습니다. 【어마어마한 풍경】, 【〔먼 지평선까지 뻗어있는 언덕과 산에 의해서〕 둘러싸인 광범위한 평지】가 있습니다. 그것 위에 【〔태양을 아름답게 비추는〕 광활한 푸른 하늘】이 있습니다. (이 거대한 평지 한가운데에 땅에) 한 사람이 서 있습니다. (그 사람의 머리 위에) 【작은 먹구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람은 【〔구름을 올려다보며〕, 〔말하고 있습니다〕】: "오, 저 먹구름을 보세요, 확실히 세상이 곧 끝날 것입니다" - 【〔어마어마한 풍경〕, 〔광활한 하늘〕, 〔빛나는 태양〕】을 완전히 무시하고, 먹구름에만 집중하는.
I know very well—we know very well—that the many teachings we have given, especially through this messenger, about resolving your psychology, overcoming your birth trauma, resolving separate selves can become almost overwhelming. As some of you have expressed, you feel a certain almost hopelessness, an almost impossibility of coming to see these very deep aspects of psychology. Others of you have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and you realize that you have resolved many of these selves, many of these wounds, many of these issues in your psychology.
나는 - 우리는 - 『【〔우리가 (〈여러분의 심리를 해결하는 것〉, 〈여러분의 출생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것〉, 〈분리된 자아를 해결하는 것〉)에 관해 (특히 이 메신저를 통해서) 준〕 많은 가르침】이 거의 압도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매우 잘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 중의 일부】가 표현한 것처럼, 여러분은 【〔(심리의 이 매우 깊은 측면들)을 보게 되는 것〕에 대해 특정한 거의 절망, 거의 불가능】을 느낍니다. 【여러분 중의 다른 사람들】은 【상당한 결실】을 이루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심리에 많은 이 자아들, 많은 이 상처들, 많은 이 문제들】을 해결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This messenger has been on the path now for over 45 years. There was a period in the 1990s, where he, on a regular basis, thought: “But I have seen and resolved so many things in my psychology but new things keep popping up. Will it ever be over?”. And, of course, he is still looking for things in his psychology. But for quite some time now, he is just open to seeing something and resolving it. But he is not focusing on it. He is not burdened by it. It does not take away his peace. He is not frustrated by it.
【이 메신저】는 【지금까지 45년 이상 동안】 길에 있었습니다. 【〔그가 (정기적으로) 생각했던〕 1990년대에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나의 심리에 매우 많은 것】을 보고 해결했지만, 【새로운 것들】이 계속 튀어나옵니다. 그것이 언젠가 끝날까요?" 그리고, 물론, 그는 여전히 【그의 심리에 것들】을 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꽤 오랫동안, 그는 단지 【〔어떤 것을 보고〕 그리고 〔그것을 해결하는 것〕】에 열려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것에 집중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는 【그것에 의해서】 부담을 받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의 평화】를 제거하지 않습니다. 그는 【그것에 의해서】 좌절감을 느끼지 않습니다.
What I am saying here is that especially avatars, you came to earth with the intent of having a positive difference, however you saw it before you came, however you have changed the way you look at it, however you had changed your MO after you came here and took embodiment. But you still have some view of why you are here, what you are supposed to do, what you are supposed to accomplish. And this can give you this tendency to focus on the problems, to focus on what is not resolved. And you are like the person standing in this vast landscape, not looking at any of it, but only looking at the one little dark cloud over its head.
【내가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특히 아바타들, 【〔여러분이 오기 전에〕 여러분이 그것을 어떤 식으로 보았더라도】,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것을 보는) 방법〕을 어떤 식으로 바꾸었더라도】, 【〔여러분이 여기에 와서 그리고 구체화한 이후〕 여러분이 〔여러분의 MO〕를 어떤 식으로 바꾸었더라도】 여러분이 【긍정적인 차이를 갖는 의도를 갖고】 지구에 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전히 【〔여러분이 여기에 있는 이유〕, 〔여러분이 하기로 되어 있는 것〕, 〔여러분이 성취하기로 되어 있는 것〕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에게 【〔(〈문제〉에 집중하고), (〈해결되지 않은 것〉에 집중하는)〕 이 경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 중의 아무것도 보지 않고】, 【〔its 머리 위에 하나의 작은 먹구름〕만 보면서】』 【이 어마어마한 풍경에 서 있는 사람】}과 같습니다.
Sure, you may have some unresolved psychology left. Sure, as we have said, there are illusions to see through until you ascend. But what if what you have left is not nearly as much as you think? What if you have already resolved the vast majority of what you need to resolve but you have not seen it, you have not acknowledged it, because you are so focused on the next thing? You are almost addicted to solving a problem, and getting the stimulation that it gives you to either solve the problem or focus on the problem.
확실히, 여러분은 【남겨진 어떤 미해결의 심리】를 갖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확실히, 우리가 말한 것처럼, 【〔여러분이 상승할 때까지〕 간파할 환상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남긴 것】이 결코 【여러분이 생각하는 만큼】 많지 않다면 어떻게 될까요? 여러분이 이미 【〔여러분이 해결해야 하는 것〕 중의 대다수】를 해결했지만, 【여러분이 다음 것에 매우 집중하기 때문에】 여러분이 【그것】을 보지 못했고, 여러분이 【그것】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여러분은 『【문제를 해결하고】, 그리고 【〔그것이〈자극〉 여러분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혹은 문제에 집중하게) 하는〕 자극을 얻는 것】』에 거의 중독되어 있습니다.
Again, I am not telling you to stop resolving your psychology. I am just saying once in a while step back, and keep stepping back until you can see beyond that dark cloud over your head and see the vast landscape, the blue sky of your psyche, and see the sun of your I AM Presence shining and feel the warmth of your I AM Presence shining upon you.
다시, 나는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심리를 해결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가끔 한 걸음 물러나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의 머리 위에 그 먹구름 너머를 보고〕 그리고 〔(어마어마한 풍경, 여러분의 정신의 푸른 하늘)을 보고〕, 그리고 〔(빛나는 여러분의 I AM Presence의 태양)을 보고〕 그리고 〔(여러분 위에 비추는 여러분의 I AM Presence의 온기)를 느낄 때까지〕】 계속 한 걸음 물러나라고』}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Acknowledge that you have made progress
여러분이 진전했다는 것을 인정하세요
We have given you many teachings on the duality consciousness. But I wonder if you have grasped a certain aspect of these teachings and applied it to yourself. We have talked about balance, we have talked about the Middle Way, not going towards either of the dualistic extremes. But we have also said that the duality consciousness can take any statement made by a spiritual teacher and make it unbalanced. Have you fully grasped that when we give a certain teaching there will be a separate self in your mind—even dark forces beyond your mind—who will pull you to go to the opposite extreme or what seems the opposite extreme from the dualistic mind?
우리는 여러분에게 【이원성 의식에 대한 많은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여러분이 〔(이 가르침들 중의 특정한 측면)을 파악하고〕 그리고 〔그것을 여러분 자신에게 적용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는 【균형】에 대해 말했습니다, 우리는 【〔이원론적인 극단들 중의 어느 것 쪽으로 가지 않는〕 중도】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이원성 의식】이 【〔(영적인 교사에 의해서 된 모든 진술)을 가져다가〕 그리고 〔그것을 불균형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특정한 가르침】을 줄 때, 『【여러분이 〔(반대되는 극단) 혹은 (이원론적인 마음으로부터 반대되는 극단처럼 보이는 것)으로 가도록〕 끌어당길】 여러분의 마음속에 분리된 자아 - 심지어 여러분의 마음 너머에 어둠의 힘 -』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완전히 파악했습니까?
We have quite a number of times talked about spiritual students who come to the spiritual path, come to the ascended masters, because they want to feel special. They want to feel that they are more advanced than other students, even that they are the most advanced spiritual students on the planet. Many of you have taken these teachings, and you have determined that you want to overcome this tendency if you have it, or you do not want to have it. But then there is a self in your mind that says, in order to avoid feeling special, you have to avoid feeling anything about yourself. In other words, you are not allowed to acknowledge your attainment, to acknowledge what you have resolved in your psychology, for that might make you feel prideful.
우리는 『【〔그들이 특별함을 느끼기를 원하기 때문에〕 영적인 길로 오고, 상승 마스터들에게 오는】 영적인 학생들』에 대해 (꽤 많이) 말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더 진보했고】, 심지어 【그들이 〔행성에서 가장 진보한 영적인 학생〕이라고】』 느끼기를 원합니다.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이 가르침들】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만약 여러분이 그것을 갖고 있다면〕 여러분이 〔이 경향을 극복하기를〕 원하고 혹은 여러분이 〔그것을 갖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특별함을 느끼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에 대해 어떠한 것)을 느끼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하는』 여러분의 마음속에 자아}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성취〕를 인정하도록】, 【〔여러분이 여러분의 심리에 해결한 것〕을 인정하도록】』 허용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이 교만하게 느끼도록】 만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There is a self that wants you to feel prideful and there is a self that says you should not feel prideful, and therefore you should not acknowledge your progress. But what is the path to Christhood? It is a path of progress, self-transcendence. If you do not acknowledge your self-transcendence, you end up being in a kind of no man’s land where you are so afraid of being prideful that you do not dare to acknowledge that you have actually made progress, and you have risen to a certain level. This is the effect of the duality consciousness of these selves.
【〔여러분이 (교만함을 느끼기를) 원하는〕 자아】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교만함을 느껴서는 안 되고〕 따라서 〔여러분이 (여러분의 진전)을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자아』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길】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진전, 자기 초월〕의 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자기 초월】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결국 『【여러분이 〔(여러분이 실제로 진전했고), 그리고 (여러분이 특정한 수준으로 올라갔다는 것)〕을 인정할 엄두를 내지 못할 정도로】 여러분이 교만한 것을 매우 두려워하는』 어중간한 상태와 같은 것에 처하게 됩니다. 이것이 【이 자아들의 이원성 의식의 효과】입니다.
Now, you can observe yourself. You can look at this. What tendencies do you have when you hear me say this? What kind of selves can you sense? And then you can use our tools to work on this, overcome these selves until you can come to that point where you have let go of the need to feel special, to feel superior, to feel prideful. And therefore, you can also let go of the self that gives you the false modesty, the false humility, that you do not want to recognize your progress. You can simply let them go, and therefore be in a neutral state of mind where you can realize, you can look back at your path and you can say: “I have actually come up many steps on my path. I have gone through many experiences. I have seen many things in my psychology. I have resolved many things. I have actually made progress”. It is not that you feel pride about it. But you do feel joy about it.
자,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내가 이것을 말하는 것을 들을 때】 여러분은 어떤 경향을 갖고 있습니까? 여러분은 【어떤 종류의 자아들】을 감지할 수 있습니까? (그런 다음)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이 (〈특별함을 느낄〉, 〈우월함을 느낄〉, 〈교만함을 느낄〉) 필요성을 놓은〕 그 지점으로 올 수 있을 때까지】 【이것에 애쓰고, 이 자아들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이 (여러분의 진전)을 인정하지 않을 정도로〕 여러분에게 거짓된 겸허, 거짓된 겸손을 주는】 자아』를 놓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단지 그것들을 놓고】, (따라서) 【〔(여러분이 인식할 수 있고), (여러분이 여러분의 길을 되돌아볼 수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말할 수 있는)〕 중립적인 마음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나는 실제로 나의 길에서 많은 단계를 올라왔습니다. 나는 【많은 경험】을 겪었습니다. 나는 【나의 심리에 많은 것】을 보았습니다. 나는 【많은 것】을 해결했습니다. 나는 (실제로) 진전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그것에 대해 자만심을 느끼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것에 대해 기쁨을 느낍니다.
And why shouldn’t you feel more and more joyful the higher you walk on the path? The Christ mind is joyful. The Christ mind is not serious like so many people think, even many ascended master students, but also many Christians who think that Christ is so serious, God is so serious. Christ is joyful. And why shouldn’t you allow yourself to be joyful for having made progress on the path? This is not a joy that is contrasted with an opposite, that is not happiness versus unhappiness, according to a human definition. It is a joy that is beyond these human pairs and dualities and polarities. You have a right to feel this. Why not allow yourself to feel it, to acknowledge it?
그리고 【여러분이 길에서 더 높이 올라갈수록】 여러분이 (왜) 더욱더 기뻐함을 느껴서는 안 됩니까? 【그리스도 마음】은 아주 기뻐합니다. 【그리스도 마음】은 【매우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심각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많은 상승 마스터 학생들】, 게다가 【〔(〈그리스도가 매우 심각하고〉, 〈하나님이 매우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많은 기독교인들】. 【그리스도】는 아주 기뻐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왜) 여러분 자신이 【〔길에서 진전한 것에 대해〕 기뻐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됩니까? 이것은 【〔반대되는 것과 대조되는〕 기쁨】이 아닙니다, 그것은 【〔인간 정의에 따라〕 행복 대 불행】이 아닙니다. 그것은 【〔이 인간 쌍과 이원성과 양극성을 넘어서 있는〕 기쁨】입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느낄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 자신이 (왜) 【〔그것을 느끼고〕, 〔그것을 인정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됩니까?
The Via Dolorosa
고난의 길
We have never said that the path to Christhood is the Via Dolorosa. On the contrary, we have said the opposite. Who invented the Via Dolorosa, this entire concept? Well, the fallen beings of course. They wanted to squeeze out all joy from the people that they could not get to buy the common Christian illusion of the automatic path: go to church, follow the rules and regulations, believe the doctrines and you will automatically be saved. There were always some people who wanted more. But then they created the concept that this is the path of renunciation, this is the path of suffering, and therefore there is no joy in walking this path of the saints. Well, of course, when you have a church that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Peter and the consciousness of antichrist how could there be joy? How could the leaders of that church feel joy? And if the leaders were not feeling joy, why should any other of the members feel joy? After all, you are sinners by nature. How can you allow yourself to feel joy when you are a miserable sinner who should repent and feel bad for even existing? All of this is nonsense. Nonsense. Let it go. Identify the selves, look them squarely in the eye and say: “You are not me. I am not you. I do not want you anymore. I am letting you die”. This is what Christ meant when he said: “He who is willing to lose his life for my sake shall find it”. You shall find a higher form of life beyond these separate selves.
우리는 결코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길〕이 〔고난의 길〕이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와는 반대로, 우리는 【반대되는 것】을 말했습니다. 누가 【〔고난의 길〕, 〔이 전체 개념〕】을 지어냈을까요? 음, 물론 추락한 존재들. 그들은 {『그들이 【자동적인 길이라는 일반적인 기독교 환상: 교회에 가서, 규칙과 규정을 따르고, 교리를 믿으세요 (그러면) 여러분은 자동적으로 구원받을 것입니다】을 구입하게 할 수 없는』 사람들}로부터 【모든 기쁨】을 몰아내기를 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원하는〕 일부 사람들】이 항상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이것이 (금욕의 길)이고〕, 〔이것이 (고통의 길)이고〕, 따라서 〔(이 성자의 길을 걸으면서) 기쁨은 없습니다〕】라는 개념』을 만들었습니다. 음, 물론, 여러분이 『【〔베드로 의식과 반그리스도 의식〕에 근거한】 교회』를 갖고 있을 때, 어떻게 기쁨이 있을 수 있습니까? 【그 교회의 지도자들】이 어떻게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까? 그리고 만약 【지도자들】이 기쁨을 느끼고 있지 않다면, 왜 【어떤 다른 구성원들】이 기쁨을 느껴야 합니까? 결국에는, 여러분은 (선천적으로) 죄인입니다. 『여러분이 【〔(회개하고) 그리고 (심지어 존재하는 것에 대해 나쁘게 느껴야 하는)〕 비참한 죄인】일 때』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 자신이 기쁨을 느끼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까? 【이 모든 것】은 【허튼소리】입니다. 허튼소리. 그것을 놓으세요. 【〔자아들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직시하고〕 그리고 〔말하세요〕】: "너는 내가 아니다. 나는 네가 아니다. 나는 너를 더 이상 원하지 않는다. 나는 네가 죽게 하고 있다". 이것이 【〔그가 말했을 때〕 그리스도가 의미했던 것】입니다: "【〔나를 위해 그의 생명을 기꺼이 잃는〕 자】는 그것을 찾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 분리된 자아들 너머에〕 더 높은 형태의 생명】을 찾을 것입니다.
The reason that brought you to earth
여러분을 지구로 데려온 이유
When you look at history, when you look at today, you must say it is truly amazing what human beings are capable of believing. The amount of lies, the amount of illusions that people have been capable of believing is staggering. Not really for an ascended master, for we have seen it all. But still an incredible amount of lies and illusions that people are able to believe, even believing they represent some absolute truth, or they are given by God, or the Buddha, or Krishna or Christ, or whatever authority they see. Look at it, and recognize it for the nonsense that it is. And just let it go.
여러분이 역사를 볼 때, 여러분이 오늘날을 볼 때, 여러분은 【〔인간이 믿을 수 있다는 것〕이 정말로 놀랍다고】 말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믿을 수 있었던〕 거짓말의 양, 환상의 양】이 믿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상승 마스터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것을 모두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믿을 수 있는〕 믿을 수 없는 양의 거짓말과 환상】, 심지어 『【그것들이 〔어떤 절대적인 진리〕를 나타내고】, 혹은 【그것들이 〔(하나님), 혹은 (붓다), 혹은 (크리슈나) 혹은 (그리스도), 혹은 (그들이 보는 어떤 권위든)에 의해서〕 주어졌다고】』 믿는. 그것을 보세요, 그리고 그것을 허튼소리로 인식하세요. 그리고 단지 그것을 놓으세요.
Perhaps you can identify a certain self, a certain self that most avatars have, and they actually had it from the moment they took embodiment. It is an effect of the fact that you come here with a desire to help people, to create a change. In order to help people, you feel that you should listen to them, you should be sensitive to them. You meet people who believe in these lies or you meet fallen beings, and you think: “I should consider what they are saying. I should be open to listen to them”. You start taking in this, you feel an obligation. When the fallen beings throw a false idea at you, you feel an obligation to consider it: “Could there be something to it? Could it be true?” You even see this in the Garden of Eden story where Eve felt obligated to listen to the serpent and consider what he said. As an avatar, there will come a point when you need to look at this. You need to look at what obligation you feel towards earth, towards other people, or even towards the fallen beings. And you need to dismiss that self and let it die so you can recognize: “I am not obligated to do anything on earth. I have no obligation on earth”.
(아마) 여러분은 『【특정한 자아】, 【〔대부분의 아바타들이 갖고 있는〕 특정한 자아】』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실제로 【〔그들이 구체화한〕 순간부터】 그것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사람들을 돕고, 변화를 만드는 욕구를 갖고〕 여기에 왔다는】 사실의 영향』입니다.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들에게 귀를 기울여야 하고〕, 〔여러분이 그들에게 민감해야 한다고〕】 느낍니다. 여러분은 【〔이 거짓말들을 믿는〕 사람들】을 만납니다 (혹은) 여러분은 【추락한 존재들】을 만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생각합니다: "나는 그들이 말하고 있는 것을 숙고해야 합니다, 나는 그들에게 귀를 기울이기 위해 열려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받아들이기】 시작합니다, 여러분은 의무를 느낍니다. 【추락한 존재들】이 여러분에게 거짓된 개념을 던질 때, 여러분은 그것을 숙고할 의무를 느낍니다: "그것에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가? 그것이 사실일 수 있는가?" 여러분은 심지어 『【이브가 〔(뱀에게 귀를 기울이고) 그리고 (그가 말한 것을 숙고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던】 에덴의 정원 이야기에서』 이것을 봅니다. 아바타로서, 【〔여러분이 이것을 보아야 하는〕 시점】이 올 것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지구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 대해), 심지어 (추락한 존재들에 대해)〕 어떤 의무를 느끼는지】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 자아를 일축하고】 그리고 【그것이 죽게 해야 합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인식할 수 있습니다: "나는 지구에서 아무것도 할 의무가 없습니다. 나는 지구에서 의무가 없습니다".
Now, in order to fully go through this process, you might have to consider what brought you to earth, what you wanted to accomplish, what you wanted to achieve because this is what makes you feel obligated. You want to achieve something and you think that in order to achieve it, you are obligated to do something. You feel trapped, you feel stuck because you have experienced that doing what you think you are obligated to do does not actually achieve the result that you want to achieve. What is your option?
자, 이 과정을 완전히 겪기 위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을 지구로 데려온 것】, 【여러분이 완수하기를 원했던 것】, 【여러분이 성취하기를 원했던 것】』을 숙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여러분이 〔의무가 있다고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것을 성취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여러분이 어떤 것을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갇혀 있음을 느낍니다, 여러분은 꼼짝 못한다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는 것】이 (실제로) 【〔여러분이 성취하기를 원하는〕 결과】를 이루지 못한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선택권】이 무엇일까요?
Many have for lifetimes after lifetimes kept pushing, kept trying to find ways to manifest the results. There is only one way out of this dilemma, this enigma, this Catch 22 and that is to consider that it might not be your efforts that are lacking. It might be your goal that is the problem.
And you might have to reconsider the very reason that brought you to earth and realize it was not the highest. It was a product of the level of consciousness you had at the time. But now you have risen to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so you can look at it and reconsider it, and let it go. Let it go!
【많은 사람들】은 (잇따른 생애 동안) 【결과를 나타낼 방법을 찾기 위해】 계속 추구하고, 계속 노력했습니다. 【〔(이 딜레마), (이 수수께끼), (이 진퇴양난)〕의 유일한 한 가지 출구】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부족한 것〕이 〔여러분의 노력〕이 아닐 수도 있고】, 【〔문제인 것〕이 〔여러분의 목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숙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을 지구로 데려온) 바로 그 이유〕를 재고하고】 그리고 【〔그것이 가장 높은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그 당시에 갖고 있는〕 의식 수준의 산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여러분은 【더 높은 의식 수준】으로 올라갔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그것을 보고〕 그리고 〔그것을 재고하고〕, 그리고 〔그것을 놓을 수 있습니다〕】. 그것을 놓으세요!
This messenger has been working on this now for five or six years since we first gave these teachings on the separate self. He has described how the first great breakthrough he had was that he realized: “There is nothing I have to do on earth”. But he has had many other breakthroughs relating to this: why he is on earth, what he sees as his role, his goal for being here, and he has been willing to reconsider it all. This is beyond the birth trauma because these things were determined before you received the birth trauma.
【이 메신저】는 【우리가 처음 〔분리된 자아에 대한 이 가르침들〕을 준 이후로】 (지금까지 5 혹은 6 년 동안) 이것에 계속 애쓰고 있습니다. 그는 『【〔그가 가졌던〕 첫 번째 큰 돌파구】가 【그가 〔: "내가 지구에서 해야 하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를 인식했다는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것과 관련된 많은 다른 돌파구】를 가졌습니다: 그가 지구에 있는 이유, 그가 【〔그의 역할〕, 〔여기에 있는 것에 대한 그의 목표〕】로 보는 것, 그리고 그는 그것 모두를 기꺼이 재고했습니다. 이것은 출생 트라우마 너머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들이 【여러분이 출생 트라우마를 받기 전에】 결정되었기 때문입니다.
It is what you brought with you from a natural planet, what brought you here from a natural planet. And that is the next step after you resolve the birth trauma is to consider these deeper aspects like: Why are you even here? Because if you do not resolve this, how can you leave? How can you ascend? How can you stand there before that gate and take that last look back at earth and see if there is anything that pulls you back here? How can you watch the demons of Mara attempt to pull you into some kind of reaction, yet have no reaction? Only when there is no action you feel you need to take on earth can you avoid a reaction to any condition on earth.
그것은 『【여러분이 〔정상적인 행성에서〕 여러분과 함께 갖고 온 것】, 【〔정상적인 행성에서 여기에〕 여러분을 데려온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분이 출생 트라우마를 해결한 이후〕 다음 단계】가 【〔다음과 같은 이 더 깊은 측면들〕을 숙고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심지어) 왜 여기에 있는가? 왜냐하면 만약 여러분이 이것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여러분이 어떻게 떠날 수 있습니까? 여러분이 어떻게 『【그 문 앞에 거기에 서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구를 돌아보고】 그리고 【〔(〈여러분을 여기에 다시 끌어당기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볼 수 있습니까】』?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을 〔어떤 종류의 반응〕으로 끌어당기는 마라의 데몬들의 시도】를 지켜보지만』, 『반응이 없을 수 있습니까』}? 【〔여러분이 (여러분이 지구에서 취해야 한다고) 느끼는〕 조치】가 없을 때만, 여러분은 【지구에 어떠한 상태에 대한 반응】을 피할 수 있습니다.
Some of you are not at the point where you are ready for this teaching. But I wanted to have it brought into the physical so that those who are ready now can take it, and those who will be ready in the future can find it and read it. And I have, as a Vajra Guru, the right to bring forth any teaching I desire when I have an open door through which it can be brought. And therefore, I say Vajra, Vajra, Vajra, Vajra. Padmasambhava I AM.
【여러분 중의 일부】는 【〔여러분이 (이 가르침)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는〕 지점】에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금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 그것을 이해할 수 있고】, 그리고 【〔(미래에 준비가 될) 사람들〕이 〔(그것을 찾아서) 그리고 (그것을 읽을 수 있도록)〕】』 나는 【그것을 물리적으로 가져오게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바즈라 구루로서) 『【내가 〔(그것이 가져와질 수 있는) 열린 문〕을 갖고 있을 때】 【〔(내가 바라는) 어떠한 가르침〕을 낳을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나는 【바즈라, 바즈라, 바즈라, 바즈라】라고 말합니다. 나는 파드마삼바바입니다.
Copyright © 2022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