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Transcending the false path plotted by the conceptual mind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거짓된 길을 초월하기)

의식 성장 2024. 5. 25. 13:21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transcending-the-false-path-plotted-by-the-conceptual-mind/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through Kim Michaels, April 1, 2024.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Easter webinar 2024: Liberating Christ.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 2024년 4월 1일. 이 딕테이션은 【2024년 부활절 웨비나 동안: 그리스도를 해방시키기】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나는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입니다.

What could the Buddha possibly say about liberating Christ? Well, what is Christ as we have said? The One mind that is meant to ensure oneness between Creator and creation and horizontally between all the self aware beings in the Creator’s creation.

【붓다】가 【그리스도를 해방시키는 것】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요? 음, 【우리가 말한 것처럼】 【그리스도】가 무엇일까요? ▶{『【〔창조주〕와 〔창조물〕 사이에】 그리고 (수평적으로) 【〔창조주의 창조 안에 모든 자기인식하는 존재들〕 사이에】 하나됨』을 보장하기로 되어 있는} 한마음◀.

Growing through oneness with the One mind

한마음과 하나됨을 통해 성장하기

The Christ mind is universal. It is beyond any religion or philosophy on earth. And even though we have used the terminology Christ here, we of course do not see it the same way that most Christians and even many non-Christians see it as a secular term that can be monopolized by the Christian religion.

【그리스도 마음】은 보편적입니다. 그것은 【지구에 어떤 종교 혹은 철학도】 넘어서 있습니다. 그리고 비록 우리가 (여기에서) 【그리스도라는 용어】를 사용했더라도, 우리는 (물론) 【그것】을 {『【〔대부분의 기독교인들〕과 심지어 〔많은 비기독교인들〕】이 【그것】을 【〔기독교에 의해서 독점될 수 있는〕 세속적인 용어】로 보는』 같은 방식으로} 보지 않습니다.

The Christ consciousness cannot be monopolized by Christianity or Buddhism or any other religion or thought system on earth. That is the whole value of the Christ mind. Now, I called it 2500 years ago, the Buddha Nature. But it is exactly the same mind. Because, naturally, I rose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I rose to by connecting with and becoming one with that same Christ mind, that One mind. Although there was no concept of Christ at the time, it was the same mind.

【그리스도 의식】은 【〔기독교〕 혹은 〔불교〕 혹은 〔지구에 어떠한 다른 종교 혹은 사고 체계〕】에 의해서 독점될 수 없습니다. 그것이 【〔그리스도 마음〕의 전체 가치】입니다. 자, 나는 【그것】을 (2500년 전에) 【불성】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정확히) 【같은 마음】입니다. 왜냐하면, 물론, 나는 『【〔같은 그리스도 마음, 한마음〕과 연결하는 것】 그리고 【〔(같은 그리스도 마음, 한마음)과 하나〕가 되는 것】』에 의해서 【〔내가 ...로 올라간〕 의식 수준】으로 올라갔습니다. 【그 당시에 그리스도의 개념】이 없었긴 하지만, 그것은 【같은 마음】이었습니다.

And all who have risen to a genuinely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have done so by first making contact, feeling a connection and then greater degrees of oneness with the One mind. There is no other way to achieve genuine growth.

그리고 『【(진정으로) 〔더 높은 의식 수준〕으로 올라간】 모두』가 『(먼저) 【〔접촉하는 것〕, 〔연결을 느끼는 것〕】 (그런 다음) 【〔한마음〕과 더 큰 정도의 하나됨】』에 의해서 그렇게 했습니다. 【진짜 성장을 이룰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But there is of course a false path, a left-handed path, a self centered path that can cause some beings to achieve certain abilities that seem advanced compared to the average person on earth. And that is why you have false gurus who can find various ways to impress people, often with certain appearances and phenomena that can attract people who do not have the discernment that comes from having direct experience of the One mind.

그러나 (물론) {『【일부 존재】가 【〔(〈지구에 보통 사람과 비교해서〉 진보한 것처럼 보이는) 특정한 능력〕을 성취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거짓된 길, 왼손잡이 길, 자기중심적인 길}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줄 다양한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거짓된 구루}를 갖고 있는◀ 이유⊃입니다, 보통 ▶{『【〔(〈한마음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분별력〕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끌어당길 수 있는} 특정한 겉모습과 현상◀을 이용하여.

When you have the frame of reference from your direct experience of the One mind, you cannot be pulled into the vortex of a false guru. But those who do not have this can. And why do they not have the frame of reference? Because they have not been will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growth, their own path towards higher states of consciousness. And those who are not will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and look at their own mind, they will want to follow this guru that promises them some automatic result.

여러분이 【한마음에 대한 여러분의 직접적인 경험】으로부터 【준거 틀】을 갖고 있을 때, 여러분은 【〔거짓 구루〕의 볼텍스】로 끌어당겨질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은 그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왜) 【준거 틀】을 갖고 있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그들은 【〔더 높은 의식 상태를 향한〕 그들 자신의 성장, 그들 자신의 길】에 대해 기꺼이 책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기꺼이) 〔그들 자신에 대해 책임지고〕 그리고 〔그들 자신의 마음을 보지 않은〕】 사람들』, 그들은 {『【그들에게 〔어떤 자동적인 결과〕를 약속하는】 이 구루』를 따르기를} 원할 것입니다.

That is why they become fundamentalist Christians. That is why they become fundamentalist Buddhists in one of the branches of Buddhism that have deviated from my original teachings. That is why they become followers of other religions or even these modern or ancient gurus that tell them that they do not have to take responsibility because the guru does that for them. And this, as we have explained, cannot lead to genuine growth.

그것이 『【그들이 〔근본주의 기독교인〕이 된】 이유』입니다. 그것이 ▶{그들이 『【〔나의 원래 가르침〕에서 벗어난】 불교 종파 중의 하나로』 【근본주의 불교도】가 된} 이유◀입니다. 그것이 ⊂▶그들이 {『【그들에게 〔(구루가 〈그들을 대신해서〉 그것을 하기 때문에) 그들이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다른 종교 혹은 (심지어) 이 현대 혹은 고대 구루들』의 추종자}가 된◀ 이유⊃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 우리가 설명한 것처럼 - 【진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

But so many people have followed this false path since the fallen beings came here and introduced it that they have created a certain collective momentum, vortex, beast, that it can pull people in who are not strong enough to resist it because they have not taken that responsibility.

(그러나) ▶{그들이 【특정한 집단적인 여세, 볼텍스, 짐승】을 만들었고}, {그것이 『【〔그들이 책임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에 저항할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은】 사람들』을 끌어당길 수 있을 정도로}◀ 【추락한 존재들이 〔여기에 와서〕 그리고 〔그것을 소개한 이후로〕】 【매우 많은 사람들】이 【이 거짓된 길】을 따랐습니다.

The imitation of the One mind

한마음의 모방

Even though true and false are dualistic terms for practical reasons, we talk about it that there is a path that does not lead to oneness. Now this path can lead to certain experiences that can seem advanced. You can find people who have had a dramatic experience, but it was not by contacting the One mind but this imitation of the One mind created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he higher mental realm or in the lower identity realm.

비록 【참과 거짓】이 (현실적인 이유로) 【이원론적인 용어】일지라도, 우리는 『【〔(〈하나됨〉으로 이어지지 않는) 길〕이 있다는】 그것』에 대해 말합니다. (자) 【이 길】은 【〔진보한 것처럼 보일 수 있는〕 특정한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극적인 경험)을 한〕 사람들】을 찾을 수 있지만, 그것은 {【한마음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었고, {【〔(〈더 높은 정신적인 영역에〉 혹은 〈더 낮은 정체성 영역에〉) 집단의식에〕 만들어진】 한마음의 이 모방}에 의해서였습니다.

There are these places we might say in these realms where you can experience a void, an infinite awareness, an undifferentiated consciousness. You can experience what some people call nirvana or awakening or enlightenment or bliss, but it does not come through the One mind that is connected to all life all the way up through all of these layers to the Creator.

{『【여러분이 〔(빈 공간), (무한한 인식), (미분화의 의식)〕을 경험할 수 있는】 (말하자면) 이 영역들에』 이 장소들}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일부 사람들】이 【〔열반〕 혹은 〔자각〕 혹은 〔깨달음〕 혹은 〔지복〕】이라고 부르는 것』을 경험할 수 있지만, 그것은 {『【(시종) 〔이 모든 층〕을 통해서 위로 〔창조주〕까지】 【모든 생명】과 연결되어 있는』 한마음}을 통해서 오지 않습니다.

It comes through this separate mind and it can seem impressive to a person who does not have the frame of reference from the One mind. It can even cause people to think they have now been awakened from the illusion and now here comes the tricky part. This artificial state mimics the stages of Christhood or Buddhahood.

그것은 【이 분리된 마음】을 통해서 옵니다 그리고 그것은 『【〔한마음으로부터 준거 틀〕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 인상 깊은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심지어) 【사람들】이 『【그들이 (이제) 〔환상〕에서 깨어났다고】 생각하도록』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여기에 【까다로운 부분】이 옵니다. 【이 인위적인 상태】가 【〔그리스도임 혹은 붓다임〕의 단계】를 흉내 냅니다.

For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the real thing, it will seem like this is more advanced than their normal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at is why you have people who have had this experience and they interpret it to mean that now they are awakened, perhaps they are even enlightened.

【〔(진정한 것)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이것이 〔그들의 보통의 의식 상태〕보다 더 진보한】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이 【〔(이 경험)을 한〕 사람들】을 갖고 있고} 그리고 {그들이 『【〔(이제) 그들이 깨어났고〕, 〔(어쩌며) 그들이 (심지어) 깨달았다는〕】 의미로』 【그것】을 해석하는}◀ 이유⊃입니다.

There are even those who have had experiences that make them believe that the goal of the path is to overcome the self and merge back into infinite awareness of Brahman, however they see it, so that the self, the individual self, ceases to exist.

⊆⊂▶그들이 {『【길의 목표】가 - 여러분이 그것을 어떤 식으로 보든 - 【〔(자아), (개별 자아)〕가 〔존재하기를〕 그치도록】 【〔자아를 극복하고〕 그리고 〔브라만의 무한한 인식으로 다시 융합되는 것〕】이라고』 믿도록} 만드는◀ 경험을 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Using the conceptual mind to plot a false path

거짓된 길을 만들기 위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하는 것

This, as we have said, cannot happen because you are created as a self and you cannot escape it. The I AM Presence does not die in the second death. It is only the outer personality that is dissolved and the Conscious You is withdrawn into the I AM Presence. There is no dissolution of self and why would there be? When the self is the greatest gift that you have received from the Creator and is your potential to grow.

우리가 말한 것처럼, 이것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자아로서】 창조되었고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 AM Presence】는 【2차 죽음에서】 죽지 않습니다. 【사라지는 것】은 (오직) 【외적인 성격】입니다 그리고 【Conscious You】은 【I AM Presence】로 철수됩니다. 【자아의 소멸】은 없습니다 그리고 왜 있겠습니까? 【자아】가 『【〔(여러분이 창조주로부터 받은) 가장 큰 선물〕이고】 그리고 【〔성장할 여러분의 잠재력〕일 때】』.

Why are there people who deny the self or the value of the self? Well, because they have used their free will to experiment with the duality consciousness for so long that they have simply gotten tired of it and now instead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walking the path, the genuine path back, they just want to give up and cease to exist.

『【〔자아〕 혹은 〔자아의 가치〕를 부정하는】 사람들』이 (왜) 있을까요? 음, {『그들이 (단지) 【그것】에 싫증 났고』 그리고 『(이제) 【〔길〕, 〔진정한 길〕을 다시 걷는 것】에 대해 책임지는 대신에, 그들이 (단지) 【〔포기하고〕 그리고 〔존재하기를 그치기를〕】 원할 정도로』} 그들이 【〔오랫동안〕 〔이원성 의식〕을 실험하기 위해】 【그들의 자유의지】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These gurus that talk about the dissolution of self, they may not be fallen beings but they are in the same consciousness of preferring the second death to walking the path, the genuine path, back to oneness. And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m false gurus. What else would you call them when they do not teach the genuine path?

『【〔자아의 소멸〕에 대해 말하는】 이 구루들』, 그들은 【추락한 존재들】이 아닐 수도 있지만, 그들은 {『【〔하나됨〕으로 다시 〔(길), (진정한 길)〕을 걷는 것】보다 【2차 죽음】을 더 선호하는 것』의 같은 의식} 안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거짓 구루】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들이 〔진정한 길〕을 가르치지 않을 때】 여러분이 【그들】을 【달리 뭐라고】 부르겠습니까?

As other masters have talked about, the reality here is that you can use the conceptual mind to plot a path, the left-handed path that leads you deeper and deeper into separation and selfishness. Then you can come to a point where you cannot stand this anymore, you are not willing to go further down that path, so you want to get out of this suffering and tension you have created.

【다른 마스터들】이 ...에 대해 말한 것처럼, 【여기에 현실】은 {여러분이 『【〔(여러분)을 (분리와 이기적임)으로 점점 더 깊이 이끄는〕 길, 왼손잡이 길】을 만들기 위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고, 여러분이 기꺼이 【그 길】을 더 내려가지 않고, (그래서) 여러분이 【〔(여러분이 만든) 이 고통과 긴장 상태〕에서 벗어나기를】 원하는』 지점}으로 올 수 있습니다.

Now you turn around and you try to look back up towards connectedness and oneness. But if you are not willing to make the shift to the true path, what do you do? You use the conceptual mind to plot a false path, the left-handed path, the path where instead of seeking oneness with the One mind and all beings who have united with the One mind, you seek to use the conceptual mind to plot a course to some imagined ultimate outcome.

(이제) 여러분은 돌아섭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유대감과 하나됨 쪽으로〕 다시 올려다보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기꺼이 【참된 길로 그 변화】를 만들지 않는다면, 여러분이 무엇을 할까요? 여러분은 ▶{『【〔한마음〕과 〔(한마음과 결합한) 모든 존재들〕과 하나됨】을 추구하는 대신에, 여러분이 【〔(어떤 상상된 궁극적인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만들기 위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하려고】 하는』 거짓된 길, 왼손잡이 길, 길}을 만들기 위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합니다.

Samsara and nirvana as creations of the conceptual mind

개념적인 마음의 창조물로써 삼사라와 열반

And this means that you could say, but are not these people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going towards the right goal? Are not there Buddhists who are following your teachings, Gautama, who are striving to attain nirvana or enlightenment and who are striving to follow your Eightfold Path that you defined?

그리고 이것은 ⊂여러분이 ▶【이 사람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지 않습니까, 【이 사람들】이 【올바른 목표를 향해】 가고 있지 않습니까? {『【〔당신(고타마)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고】, 【〔(열반 혹은 깨달음)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리고 【〔(〈당신이 정의한〉 당신의 팔정도)를 따르려고〕 노력하고 있는】』 불교도들}이 있지 않습니까?◀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ut are they really? How do they see the end goal? Call it nirvana or enlightenment, many of them see it as the opposite of suffering, the opposite of the Sea of Samsara. Many people see enlightenment as some ultimate final stage, for they want to believe that the Buddha was the perfect being and therefore, reached the ultimate state of consciousness that can be reached. They are striving for some permanent ultimate state.

(그러나) 정말 그럴까요? 그들이 【최종 목표】를 어떻게 볼까요? 【그것】을 【〔열반〕 혹은 〔깨달음〕】이라고 부르고, 【그들 중의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고통)의 반대되는 것〕, 〔(삼사라의 바다)의 반대되는 것〕】으로 봅니다. 【많은 사람들】은 【깨달음】을 【어떤 궁극적인 최종적인 단계】로 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붓다가 【〔완벽한 존재〕였고】 따라서 【〔(도달될 수 있는) 궁극적인 의식 상태〕에 도달했다고】』 믿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어떤 영구적인 궁극적인 상태】를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But you can find som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at actually say what we have been saying in today’s age about the duality consciousness, namely that both samsara and nirvana are creations of the mind. Because, when you are trapped in the conceptual mind, suffering and samsara is a concept created by the conceptual mind. When you plot a course out of the suffering that the conceptual mind has created, the conceptual mind sees this goal as the opposite of suffering, as the opposite of change and chaos and turmoil in the world. It must be some ultimate state and it must be wonderful. But this is just the conceptual mind using the dualistic mindset to create these two polarities.

그러나 여러분은 {『(실제로) 【우리가 〔이원성 의식에 대해〕 〔오늘날의 시대에〕 계속 말하고 있는 것 - 즉 〔삼사라와 열반 둘 다〕 〔마음의 창조물〕이라는 것】을 말하는』 약간의 초기 불교 경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에 갇혀 있을 때, 【〔고통〕과 〔삼사라〕】가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이 만든】 고통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만들 때, 【개념적인 마음】은 【이 목표】를 『【고통의 반대되는 것】으로, 【〔세상에 변화와 혼란과 소동〕의 반대되는 것】으로』 봅니다. 그것은 【어떤 궁극적인 상태】여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멋져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 두 극성)을 만들기 위해〕 〔(이원론적인 사고방식)을 사용하는〕 개념적인 마음】일 뿐입니다.

There is the Sea of Samsara and there is nirvana. And everybody knows suffering. They have not experienced nirvana but they plot that it is the opposite of the suffering. But you see, suffering is not real. Suffering is created in the mind. The experience of suffering is created in the mind. When the mind has had enough of that experience, the mind creates the opposite experience of suffering and plots a course towards it. And it will even take a genuine teaching brought forth by a genuine guru and use that to plot a course. But you see, when I talked about nirvana, I talked about it based on experience. But the conceptual mind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and can never have it. It is superimposing its own self created concept upon nirvana and upon the Eightfold Path.

【삼사라의 바다】가 있습니다 그리고 【열반】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고통】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열반】을 경험하지 못했지만, 그들은 【그것(열반)이 〔고통의 반대되는 것〕이라고】 줄거리를 만듭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고통】은 실재하지 않습니다. 【고통】은 마음에서 만들어집니다. 【고통의 경험】은 마음에서 만들어집니다. 【마음】이 【그 경험】에 진절머리가 났을 때, 【마음】은 『【〔고통의 반대되는 경험〕을 만들고】 그리고 【〔그것을 향한 과정〕을 만듭니다】』. 그리고 그것(마음)은 『【〔진짜 구루에 의해서 낳아진 진짜 가르침〕을 가져다가】 그리고 【〔과정을 만들기 위해〕 〔그것〕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내가 【열반】에 대해 말했을 때, 나는 【〔경험〕에 근거해서】 【그것(열반)】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러나 【개념적인 마음】은 『【〔경험〕을 갖고 있지 않고】 그리고 【결코 〔그것(경험)〕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것(개념적인 마음)은 【its 자신의 자기가 만든 개념】을 【〔열반에〕 그리고 〔팔정도에〕】 겹쳐 놓고 있습니다.

Suffering and bliss as experiences in the mind

마음속에 경험으로써 고통과 지복

Again, as we have said, the conceptual mind plots a course out of the undesirable consequences of the conceptual mind. The conceptual mind seeks to save you from itself and this is what can never happen. What is the Sea of Samsara? It is an experience. It is an unpleasant experience. But it is an experience created by the mind. It is not a real condition.

다시, 우리가 말한 것처럼, 【개념적인 마음】은 『【〔개념적인 마음〕의 달갑지 않은 결과】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만듭니다. 【개념적인 마음】은 【〔자신(itself)〕으로부터 〔여러분〕을 구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결코 일어날 수 없는 것】입니다. 【삼사라의 바다】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경험】입니다. 그것은 【불쾌한 경험】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마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경험】입니다. 그것은 【실재하는 상태】가 아닙니다.

What is nirvana or bliss or enlightenment? Well, it is another attempt of the mind to create an experience. But the real enlightenment is not an experience as you have it through the conceptual mind. We have said that when you have a concept of the taste of an apple, you only need that because you are not actually taking a bite of the apple, so you do not have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taste. Well, it is the same with nirvana. Why do you need a concept? Only because you do not have the experience.

【〔열반〕 혹은 〔지복〕 흑은 〔깨달음〕】이 무엇일까요? 음, 그것은 【〔경험을 만드는〕 마음의 다른 시도】입니다. (그러나) 【진짜 깨달음】은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을 통해서〕 〔그것〕을 갖는 대로】 경험』이 아닙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사과의 맛〕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을 때, 【여러분이 (실제로) 사과를 한입 먹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분이 【그것(사과의 맛이라는 개념)】을 필요로 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맛〕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음, 그것은 열반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이 (왜) 【개념】을 필요로 할까요? (단지) 여러분이 【경험】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But what is suffering? Many people will say, well, surely suffering is a direct experience. We are in this physical body. We are experiencing pain or starvation or hunger. Is that not a real experience like tasting the apple? But actually, it is not. Tasting an apple is a physical sensation that comes through the physical senses. When you are tasting an apple, the conceptual mind is neutralized. What can the conceptual mind do with the taste of an apple? It is just there. You can repeat it anytime you have an apple.

그러나 【고통】이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음) 【(확실히) 〔고통〕은 〔직접적인 경험〕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육체적인 몸 안에】 있습니다. 우리는 【〔통증〕 혹은 〔기아〕 혹은 〔굶주림〕】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사과를 맛보는 것〕과 같은 실재하는 경험】이 아닙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사과를 맛보는 것】은 『【〔육체적인 감각을 통해서〕 오는】 물리적인 감각』입니다. 여러분이 【사과】를 맛보고 있을 때, 【개념적인 마음】은 무력화됩니다. 【개념적인 마음】이 【사과의 맛】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거기에 있을 뿐입니다. 【여러분이 사과를 갖고 있는 언제든지】 여러분은 【그것】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But the experience of suffering is not the same as the sensory experience because it is an experience in the mind. You may say, but I am experiencing physical pain. Yes, that is a physical sensation like the taste of an apple but that physical sensation of pain is not the same as suffering. Suffering is an experience in the mind. And it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conceptual mind has created a concept of what should and should not happen. Here you have a concept in the mind. You should not feel pain. Now you are feeling pain and now the mind resists this experience and that resistance to the actual experience is what creates suffering. Suffering is an experience in the mind.

그러나 【고통의 경험】은 【〔감각의 경험〕과 같은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고통의 경험)은 【마음속에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나는 〔육체적인 통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예, 그것은 【〔사과의 맛〕과 같은 육체적인 감각】이지만, 【그 육체적인 통증의 감각】은 【고통과 같은 것】이 아닙니다. 【고통】은 【마음속에 경험】입니다. 그리고 그것(고통)은 {『【개념적인 마음】이 【〔일어나야 하는 것〕과 〔일어나지 않아야 하는 것〕의 개념】을 만들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여기에) 여러분은 【마음속에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통증을 느끼지 않아야 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통증】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마음】이 【이 경험】에 저항합니다 그리고 【실제 경험에 대한 그 저항】이 【〔고통〕을 만드는 것】입니다. 【고통】은 【마음속에 경험】입니다.

What the mind, the conceptual mind, attempts to do when the suffering becomes so intense that you cannot stand it anymore, is that it attempts to come up with concepts that can supposedly give you another experience, an experience of bliss or nirvana that is the opposite of the suffering. But the false path to the false goal may produce certain results, you might say, but it is still an experience through the conceptual mind.

{『【고통】이 【여러분이 〔그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강렬해질 때』 【〔마음〕, 〔개념적인 마음〕】이 【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그것(마음, 개념적인 마음)】이 {『【(아마) 여러분에게 〔다른 경험 - (〈고통의 반대되는 것인〉 지복 혹은 열반의 경험)〕을 줄 수 있는】 개념』을 찾아내려고} 시도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거짓 목표〕에 이르는 거짓된 길】은 【특정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 -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여전히) 【개념적인 마음을 통한 경험】입니다.

Following a valid path through the concepts of the conceptual mind

개념적인 마음의 개념을 통해서 유효한 길을 따르기

And that is why samsara and nirvana are the same thing, concepts of the mind. And that is why the true path can only be entered when the Conscious You realizes the basic fact that it is not the mind. It is not the separate mind based on the concepts that spring from duality. It has only created this mind in order to get certain experiences on earth and when the Conscious You realizes it is not the outer mind, then it can contact and experience the One mind. And then it can walk the true path.

그리고 그것이 『【〔삼사라와 열반〕이 〔같은 것 - 마음의 개념〕인】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Conscious You】이 【〔그것(Conscious You)이 마음이 아니라는〕 기본적인 사실】을 인식할 때』만 【진정한 길】이 들어가질 수 있는} 이유◀입니다. 그것(Conscious You)은 『【〔(이원성)에서 비롯되는〕 개념】에 근거한 【분리된 마음】』이 아닙니다. 그것(Conscious You)은 【〔지구에서 특정한 경험〕을 얻기 위해서】 【이 마음】을 만들었을 뿐입니다 그리고 【Conscious You】이 【그것(Conscious You)이 〔외적인 마음〕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때, 그것(Conscious You)은 【한마음】과 접촉하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그것(Conscious You)은 【진정한 길】을 걸을 수 있습니다.

What am I saying? Take a person who has descended to, let us say, the 24th level of consciousness, not the lowest level on earth, but still a fairly low self-centered level that causes suffering. As we have said, the Christ mind is there at any level to offer a frame of reference that can take you above it. Now there is a person who has enough of the suffering created at the 24th level. It cries out for help and it receives an impulse from the Christ mind that takes it up to the 25th level and this is real progress. But you see, the person is still overshadowed, colored, trapped in the conceptual mind.

내가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요? {『【(그러니까) 24번째 의식 수준 - 〔지구에서 가장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여전히) 〔(고통을 야기하는) 상당히 낮은 자기중심적인 수준〕】으로 내려간』 사람}을 예로써 보세요. 우리가 말한 것처럼, 【그리스도 마음】은 『【〔여러분을 그것 위로 데려갈 수 있는〕 준거 틀】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수준에】 있습니다. (이제) 『【〔24번째 수준에서 만들어진 고통〕을 충분히 겪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그 사람)은 【도움】을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그리고 그것(그 사람)은 『【〔25번째 수준〕까지 〔그것(그 사람)〕을 데려가는】 그리스도 마음으로부터 자극』을 받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진정한 진전】입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그 사람은 (여전히) 【〔그늘져 있고〕, 〔채색되어 있고〕, 〔개념적인 마음에 갇혀 있습니다〕】.

Now let us say this person finds the teachings of Buddhism and the Eightfold Path. It takes these ideas, the Noble Truth, life is suffering, but there is a way out of suffering, it is the Eightfold Path that leads to a goal. Now, why would the person decide to follow this path, this outer teaching?

Because, it wants to get away from suffering and it wants to achieve an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suffering. Again, I am not blaming here. I am simply saying this is what the being can do at that level of consciousness. But, even though it is following a viable outer teaching, and even though it is making progress, rising to the 25th level and the 26th and so forth, is it following the real path?

(이제) 『【이 사람】이 【〔불교의 가르침〕과 〔팔정도〕】를 발견한다고』 말합시다. 【이 생각들 - 고귀한 진리, 삶은 고통입니다】이 필요하지만, 【고통의 출구】가 있습니다, 【목표로 이어지는 것】은 【팔정도】입니다. (자), 【그 사람】이 (왜) 『【〔이 길〕, 〔이 외적인 가르침〕】을 따르기로』 결정하겠습니까?

왜냐하면, 그것(그 사람)이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원하고 그리고 그것(그 사람)이 『【〔고통과 다른〕 경험】을 얻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나는 여기에서 비난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이것이 〔(존재)가 (그 의식 수준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비록 그것(존재)이 【실행 가능한 외적인 가르침】을 따르고 있더라도, 그리고 비록 그것(존재)이 『【진전하고 있고】, 【〔25번째 수준〕 그리고 〔26번째 수준〕 등등으로 올라가고 있더라도】』, 그것(존재)이 【진정한 길】을 따르고 있을까요?

Nay, because the conceptual mind is superimposing its concepts on the Eightfold Path, on nirvana. You are following a goal that can be conceptualized by the separate mind, and you are following a process that can be conceptualized by the separate mind. And it sounds to the linear mind paradoxical that this can lead to progress. But as I said, it can lead to progress, because the One mind, the Christ mind, is there at any level to offer you that frame of reference that can help you go up to the next level. But as we have also said, if you are at the 24th level and you receive something from the Christ mind, that is a genuine insight you receive, but it is not the highest possible insight that the Christ mind could give. But the conceptual mind might interpret it as being some high insight, some high experience.

아니, 왜냐하면 【개념적인 마음】은 【its 개념】을 【〔팔정도에〕, 〔열반에〕】 겹쳐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분리된 마음〕에 의해서 개념화될 수 있는】 목표』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분리된 마음〕에 의해서 개념화될 수 있는】 과정』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진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선형적인 마음에게) 역설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내가 말한 것처럼, 그것은 【진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한마음〕, 〔그리스도 마음〕】이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다음 수준으로 올라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준거 틀』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수준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또한 말한 것처럼, 만약 여러분이 【24번째 수준에】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그리스도 마음으로부터 어떤 것】을 받는다면, 그것이 【〔여러분이 받는〕 진짜 통찰력】이지만, 그것은 【〔(그리스도 마음)이 줄 수 있는〕 가능한 가장 높은 통찰력】이 아닙니다. 그러나 【개념적인 마음】은 【그것】을 【〔어떤 높은 통찰력〕, 〔어떤 높은 경험〕인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The necessary shift at the 96th level

96번째 수준에서 필요한 변화

Again, you have this schizophrenic phase where a person has discovered a valid teaching, a valid path, but it is still so colored by the conceptual mind that even though it is following a viable path and making progress, it is not actually following the real path. Because the Conscious You of the person is still looking at life through the conceptual mind, through the separate selves, and therefore, it cannot make that shift of realizing: “Oh, I am not the mind.” This can be done from the 48th level and forward, although most people do not achieve it until they rise somewhat above the 48th level approaching the 96th level.

다시, 여러분은 ⊂▶{【어떤 사람】이 【〔유효한 가르침〕, 〔유효한 길〕】을 발견했지만}, {『그것(어떤 사람)이 【〔(실행 가능한 길)을 따르고 있고〕 그리고 〔진전하고 있더라도〕】, 그것(어떤 사람)이 (실제로) 【진정한 길】을 따르고 있지 않을 정도로』 그것(어떤 사람)이 (여전히)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매우 채색되어 있는}◀ 이 정신 분열증의 단계⊃를 갖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의 Conscious You】은 (여전히) 【〔개념적인 마음을 통해서〕, 〔분리된 자아를 통해서〕】 【삶】을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것(그 사람의 Conscious You)】은 【〔(: "오, 나는 마음이 아닙니다")를 인식하는 것〕의 그 변화】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이것은 【48번째 수준 이후부터】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들이 【〔96번째 수준〕에 다가가면서】 【48번째 수준】을 (어느 정도) 넘어설 때까지』 【그것】을 해내지 못하긴 하지만.

But as we have said, at the 96th level, the Conscious You must realize it is not the mind, because that is the only way it can give up that concept of a spiritual self that it has created as it was rising towards the 96th level. And if it does not give up that, then it will, you might say, continue on the left-handed path as the conceptual mind saw it, but what it will actually do is it will go off this viable path and surrender itself to some of the false gurus who will make it, give it all kinds of promises.

그러나 우리가 말한 것처럼, 96번째 수준에서, 【Conscious You】은 【그것(Conscious You)이 〔마음〕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것(Conscious You)이 『【〔그것(Conscious You)이 96번째 수준 쪽으로 올라가면서〕 그것(Conscious You)이 만든】 영적인 자아의 그 개념』을 포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만약 그것(Conscious You)이 【그것】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그것(Conscious You)은 -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 【〔개념적인 마음〕이 〔그것〕을 본 대로】 【왼손잡이 길】을 계속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Conscious You)이 (실제로) 할 것】은 ▶그것(Conscious You)이 {【이 실행 가능한 길】을 벗어나서} 그리고 {『【〔약속하고〕, 〔그것(Conscious You)에게 모든 종류의 약속을 할〕】 일부 거짓 구루』에 빠질 것이라는 것}◀입니다.

It is essential at the 96th level that the Conscious You realizes: “I am not the mind, that is why I can give up any aspect of this mind, the conceptual mind based on separation, I can let any separate self die and I will not die.” That is when the true path begins.

▶【Conscious You】이 {: "나는 【마음】이 아닙니다, 그것이 『【내가 〔(이 마음 - 분리에 근거한 개념적인 마음)의 어떠한 측면이든〕 포기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나는 【어떠한 분리된 자아】도 【죽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죽지 않을 것입니다"}를 인식하는 것◀이 (96번째 수준에서) 필수적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길〕이 시작될 때】입니다.

The conceptual mind and the sense of self are not the same

개념적인 마음과 자아감은 같은 것이 아닙니다

Again, it sounds like a paradox, because if a lifestream is making progress towards higher levels of consciousness, is not it the true path? Well, in a way it is the true path, but the conceptual mind of the person does not see what the true path is really about, which is, of course, that the Conscious You lets the separate selves based on the conceptual mind die.

다시, 그것은 【역설】처럼 들립니다, (왜냐하면) 만약 【생명 흐름】이 【더 높은 의식 수준을 향해】 진전하고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길】이 아닙니까? 음, (어떤 면에서는) 그것이 【진정한 길】이지만, 【〔그 사람〕의 개념적인 마음】은 【〔진정한 길〕이 실제로 무엇인지】 보지 못합니다, 그것은 (물론) 『【Conscious You】이 【〔개념적인 마음〕에 근거한 분리된 자아】가 【죽게】 하는 것』입니다.

How can the conceptual mind see its own death as a solution? Well, the irony we might say, is that some people actually manage to do this. And that is what I said that some of these teachers of non-duality, going all the way back to some of the Vedic Rishis, to these modern teachers of non-duality, they have managed to use the conceptual mind to create the concept that the ultimate level of spiritual development is to overcome all sense of self, because they are so trapped in the conceptual mind, they have become so, we might say, sophisticated in using the conceptual mind, that they think that the conceptual mind and the sense of self is the same.

【개념적인 마음】이 (어떻게) 【its 자신의 죽음】을 【해결책】으로 볼 수 있습니까? 음, 【역설적인 점】은 (말하자면) 【〔일부 사람들〕이 (실제로) 〔이것〕을 가까스로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이원성의 이 교사들〕 중의 일부】, - (시종) 【베다 현자들 중의 일부로】, 【비이원성의 이 현대 교사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 {그들이 【개념적인 마음】에 매우 갇혀 있고, 【그들이 〔(〈개념적인 마음〉과 〈자아감〉)이 (같은 것)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그들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함에 있어서】 매우 - 말하자면 - 정교해졌기 때문에} 그들이 {『【영적인 발전의 궁극적인 수준】이 【〔모든 자아감〕을 극복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만들기 위해} 【개념적인 마음】을 (가까스로) 사용했다는 ◀ 그것⊃이 【내가 말한 것】입니다.

They think there can only be a separate self created by the conceptual mind. There is no self beyond the conceptual mind and this is what they reason. And that is why they are reaching a path, and they think they are following a path that leads to the annihilation of all self, all sense of self. This, of course, is an impossible path. They cannot ever achieve that goal themselves, regardless of what they claim, what they experience, what they project that this or that enlightened master had achieved this.

그들은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분리된 자아】만이 있을 수 있고』, 『【개념적인 마음 너머에 자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추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길에 도달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모든 자아, 모든 자아감〉의 소멸)로 이어지는〕 길】을 따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은 【불가능한 길】입니다. 그들은 (스스로) 【그 목표】를 (결코) 달성할 수 없습니다, 『【그들이 주장하는 것】, 【그들이 경험하는 것】, 【그들이 〔(이 혹은 저 깨우친 마스터)가 (이것)을 달성했다고〕 투사하는 것】』에 상관없이.

Tell me, how does any person who is not Ramana Maharshi know how Ramana Maharshi experienced life before he left the body? How do they know what Ramana Maharshi’s inner experience was? Yet their conceptual minds are very quick to project that he was the ultimately enlightened master because of all of these concepts that they project upon him. And he gave the ultimate teaching, which is that the ultimate teaching is silence.

▶{【〔(라마나 마하리쉬)가 아닌〕 어떤 사람】이 어떻게 『【그가 〔몸〕을 떠나기 전에】 【〔라마나 마하리쉬〕가 어떻게 〔삶〕을 경험했는지】』 아는지?}, {그들이 어떻게 【〔라마나 마하리쉬의 내적인 경험〕이 무엇이었는지】 아는지?}◀ 나에게 말해주세요. (하지만) 【그들의 개념적인 마음】은 ▶{『【〔(그들이 그에게 투사하는) 이 모든 개념〕 때문에】 그가 (궁극적으로) 【깨우친 마스터】였고』 그리고 『그가 【궁극적인 가르침】을 주었고』, 『그것은 【〔궁극적인 가르침〕이 〔침묵〕이라는 것】이라고』} 투사하는데◀ 매우 빠릅니다.

This is just the conceptual mind and the conceptual mind cannot free the Conscious You from itself. Only the Conscious You can free itself from the conceptual mind. Now, as we have also explained, even when you ascend, it does not mean that you are not using the conceptual mind, because that is how you co-create anything. But it just means that you now know and experience that you are not the conceptual mind. It is just a tool you are using.

이것은 【개념적인 마음】일 뿐입니다 그리고 【개념적인 마음】은 【그 자체(itself)】로부터 【Conscious You】을 자유롭게 할 수 없습니다. 【Conscious You】만이 【개념적인 마음】으로부터 【그 자신(itself)】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자, 우리가 (또한) 설명한 것처럼, 여러분이 상승할 때도, 그것은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이 〔어떠한 것〕을 공동 창조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여러분이 (지금)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개념적인 마음)은 【〔여러분이 사용하고 있는〕 도구】일 뿐입니다.

The clearest description of the true path yet

지금까지 있은 참된 길에 대한 가장 명확한 설명

This is the real path that I attempted to preach 2500 years ago, that Jesus attempted to preach 2000 years ago, but th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as not high enough that we could really express this in words that some people could understand. A few people started to grasp it, but the concepts were just not there about the psyche, about the mind. Even this concept of a separate self could not have been given 2000 years ago, or even 200 years ago. Many of you struggle to understand what it is, even now. But 200 or 2000 years ago, nobody could have grasped that concept. A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s been raised, we can then give our progressive revelation. And of course, more can and will be given in the future.

이것이 {『【내가 〔2500년 전에 설교하려고〕 시도한】, 【예수가 〔2000년 전에 설교하려고〕 시도한】』 진정한 길}이지만, 【집단의식】이 『우리가 (실제로) 【〔(일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이것】을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지 않았습니다. 【소수의 사람들】이 【〔그것〕을 파악하기】 시작했지만, 【〔정신에 대한〕, 〔마음에 대한〕 개념】은 (정말) 없었습니다. 【〔분리된 자아〕라는 이 개념】도 【〔2000년 전에〕, 혹은 (심지어) 〔200년 전에〕】 주어질 수 없었습니다.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지금도) 【〔그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애씁니다. 그러나 200년 전에 혹은 2000년 전에, 아무도 【그 개념】을 파악할 수 없었습니다. 【집단의식】이 올려졌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점진적인 계시】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더 많은 것】이 (미래에) 주어질 수 있고 그리고 주어질 것입니다.

But what we can say is that with this concept of the separate selves, the Conscious You, letting the separate selves die, we have been able to express in words the clearest description of the true path that has so far been brought forth. And that is not to say that more will not be given in the future, of course it will. But at least we have reached a point now wher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s been raised to such a level that we can actually express in words what we want to express in words. Now people can of course still always do the trick with a conceptual mind and superimpose the concepts based on separation upon the teaching. But that will remain the same until the last person has transcended the dualistic mind. But at least we now can express it which we could not do in the past.

(그러나)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분리된 자아】, 【Conscious You】, 【〔분리된 자아〕가 〔죽게〕 하는 것】의 이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가 『【(지금까지) 낳아졌던】 참된 길에 대한 가장 명확한 설명』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더 많은 것〕이 〔미래에〕 주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더 많은 것】이 주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는 (이제) ▶{【집단의식】이 『【우리가 (실제로) 〔우리가 말로 표현하기를 원하는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그런 수준』으로 올려진} 지점◀에 도달했습니다. (자) 사람들은 (물론) (여전히 항상) 『【〔개념적인 마음을 이용하여〕 목적을 이루고】 그리고 【〔분리에 근거한 개념〕을 〔가르침〕에 겹쳐 놓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마지막 사람〕이 〔이원론적인 마음〕을 초월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될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는 (이제) 【〔우리가 과거에 할 수 없었던〕 그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Always striving for a higher experience of Christ

항상 그리스도에 대한 더 높은 경험을 얻으려고 노력하기

Where do you go from here? We know that many of you are listening to these teachings and you may sense that there is something here, but you have trouble really grasping it and applying it to your own daily situation. And you may see if you look back to Jesus and myself and other masters who have been in embodiment that we would sit there and preach based on our experience and most students would not grasp it because they had not had the experience.

여러분이 여기에서 어디로 갈까요? 우리는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이 〔이 가르침들〕에 귀를 기울이고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기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여러분은 실제로 『【그것을 파악하면서】 그리고 【〔여러분 자신의 일상적인 상황〕에 〔그것〕을 적용하면서】』 고생합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구체화 안에 있었던〕 예수나 자신다른 마스터들】을 되돌아본다면』 여러분은 {『우리가 【거기에 앉아서】 그리고 【〔우리의 경험에 근거해서〕 설교하곤 했고】』 그리고 『【그들이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것】을 파악하지 못하곤 했다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But many of you have actually had some experience of the Christ mind. And if you are willing to acknowledge that and acknowledge that what you could experience was only what the Christ mind could express at your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refore, you cannot fixate upon the actual form of your contact with the Christ mind. You need to look beyond that form and strive for a higher experience, a more direct experience from the Christ mind.

(그러나)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 【〔그리스도 마음〕에 대한 약간의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기꺼이 ▶{【그것】을 인정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경험할 수 있었던 것】이 (오직) 【〔그리스도 마음〕이 〔여러분의 의식 수준에서〕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인정한다면}◀, 따라서, 여러분은 【〔그리스도 마음과 여러분의 접촉〕의 실제 형태】에 집착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그 형태 너머를 보고】 그리고 【〔그리스도 마음〕으로부터 〔(더 높은 경험), (더 직접적인 경험)을 얻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And you do this by looking at the psychology that you can see based on your experience. And you take one step at a time until you reach a level where you can grasp the concepts, the ideas, the teachings we are giving. That is the path that all of you can follow. It is the path that this messenger has followed.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경험에 근거해서) 볼 수 있는〕 심리】를 보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우리가 주고 있는) 개념, 생각, 가르침〕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분은 일보 일보 전진합니다. 그것이 【〔(여러분 모두)가 따를 수 있는〕 길】입니다. 그것이 【〔(이 메신저)가 따랐던〕 길】입니다.

The real purpose of a spiritual teaching

영적인 가르침의 진짜 목적

The teaching I have just given, I could not have given through him when he started as a messenger. But he has been willing to follow the path and apply the teachings as all of you have the opportunity to do. As he has taken one step at a time, challenged one self, one illusion at a time, he has gradually risen to these levels where he had a breakthrough. And now he could understand a higher level of teaching, and therefore, he could be used as a messenger to bring forth that higher level of teaching.

【〔내가 방금 준〕 가르침】, 나는 【그가 메신저로 시작했을 때】 【그를 통해서】 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기꺼이 『【〔길〕을 따르고】 그리고 【〔(여러분 모두)가 (할 기회)를 갖고 있는 것처럼〕 〔가르침〕을 적용했습니다】』. 그가 『【일보 일보 전진하고】, 【〔한 번에〕 〔하나의 자아, 하나의 환상〕에 도전하면서】』, 그는 【〔그가 돌파구를 찾은〕 이 수준들】로 (서서히)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는 【더 높은 수준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그 더 높은 수준의 가르침을 낳는 메신저】로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But we are of course not bringing forth that higher level of teaching for the messenger’s sake. We are bringing it forth for your sake so that when you apply the teaching, when you walk the path, you will gradually come to these breakthrough points where now you can grasp the teaching that you may not be able to grasp right now. Is there still value in listening to a teaching that you cannot grasp? Well, of course, because what have we said several times? What is the real purpose of a spiritual teaching? Is it the outer words? Nay. The real purpose is to help you connect to the spiritual being who is giving the teaching. To give you an experience of the master’s presence and being.

그러나 (물론) 우리는 【메신저를 위해서】 【그 더 높은 수준의 가르침】을 낳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가르침】을 적용할 때, 여러분이 【길】을 걸을 때, 여러분이 (서서히) {『(이제) 여러분이 【〔여러분이 (지금) 파악할 수 없을 수도 있는〕 가르침】을 파악할 수 있는』 이 돌파 지점들}로 오도록◀ 【여러분을 위해서】 【그것】을 낳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파악할 수 없는) 가르침〕에 귀를 기울이는 것】에 가치』가 (여전히) 있을까요? 음, 물론, (왜냐하면) 우리가 (몇 번) 뭐라고 말했습니까? 【〔영적인 가르침〕의 진짜 목적】이 무엇일까요? 그것이 【외적인 말】일까요? 아니. 【진짜 목적】은 ▶{여러분이 『【〔가르침을 주고 있는〕 영적인 존재】에 연결하도록』 돕는 것}, {여러분에게 『【마스터의 현존과 존재】에 대한 경험』을 주는 것}◀입니다.

And you see, it is possible that you can sit there and listen to a teaching and your outer mind cannot grasp it. You cannot understand it. You cannot wrap your mind around it as the saying goes. But you can still have an experience of my presence that is beyond the words, beyond what the conceptual mind can grasp. It may not be the highest, it may not be my actual presence, but it is what you can grasp with your current level of consciousness because that experience comes to the Christ consciousness at your level. And that is valuable because it helps you question the illusions at your current level. And that is why even if you listen to a dictation without focusing on the words at all, you would still benefit from it because you can have that experience of the master’s presence.

그리고 있잖아요, 『【여러분이 〔거기에 앉아서〕 그리고 〔가르침에 귀를 기울일 수 있고〕】 그리고 【〔여러분의 외적인 마음〕이 〔그것〕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속담에서 말하듯이】 그것 주위에 여러분의 마음을 둘러쌀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전히) {『【〔말〕을 넘어서 있고】, 【〔(개념적인 마음)이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넘어서 있는】』 나의 현존}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가장 높은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나의 실제 현존】이 아닐 수도 있지만, 그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재 의식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경험】이 【여러분의 수준에 그리스도 의식】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가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재 수준에 환상〕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돕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비록 여러분이 【〔말〕에 전혀 집중하지 않고】 【딕테이션】에 귀를 기울이더라도, 【여러분이 〔마스터의 현존에 대한 그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여전히) 【그것】에서 이익을 얻을』 이유}입니다.

What is the path really about?

길이 실제로 무엇에 관한 것인가?

And I know that for some of you it will seem like, are you really making any progress? “Am I really getting it? Because I do not feel the change I am hoping for.” But why are you not feeling the change you are hoping for? What is it that is hoping for a specific kind of change? Well, if you take again and listen to or read what I have just said, is it not the conceptual mind that has this hope of this getting out of the suffering and having this breakthrough?

그리고 나는 {【여러분 중의 일부에게】 그것이 『【여러분이 (정말로) 어떠한 진전을 하고 있는가?】 【"내가 정말로 〔그것〕을 이해하고 있는가? 왜냐하면 나는 〔(내가 ... 을 바라는) 변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처럼 보일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왜) 【〔여러분이 ... 을 바라는〕 변화】를 느끼고 있지 않을까요? 【〔특정한 종류의 변화〕를 바라고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만약 여러분이 【내가 방금 말한 것】을 다시 가져다가 그리고 듣거나 읽는다면, {『【이것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과 〔이 돌파구를 찾는 것〕】의 이 희망』을 갖고 있는 것}이 【개념적인 마음】이 아닐까요?

And you can come to a point where you can look at this, see that it is a separate self and let it go. This messenger did this quite a number of years ago. He did it in stages. But he came to a point where he realized that the path was not about specific results. Certainly not the results that he hoped for when he first found the path.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을 보고】, 【〔그것이 (분리된 자아)라는 것〕을 보고】 그리고 【〔그것〕을 놓을 수 있는】』 지점}으로 올 수 있습니다. 【이 메신저】는 (꽤 오래전에) 【이것】을 했습니다. 그는 (단계적으로) 그것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가 【〔길〕이 〔특정한 결과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지점}으로 왔습니다. (확실히) 『【〔그가 처음 (길)을 발견했을 때〕 그가 ... 을 바랬던】 결과』는 아닌.

The path was not about achieving this superior state of consciousness. The path is about taking one step at a time until you gradually reach that 144th level and can ascend. You can have some breakthroughs on the path, of course. But the messenger decided that this was not going to be the driving force anymore, the hope of this breakthrough experience, dramatic experience. Instead, he was willing to take that one step at a time, always looking for the next subconscious self that he could dispose and let go of, and be content with this gradual step by step process. And you can make the same shift.

【길】은 【〔(이 우월한 의식 상태)를 성취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길】은 『여러분이 (서서히) 【〔그 144번째 수준〕에 도달해서】 그리고 【상승할 수 있을 때까지】』 【〔일보 일보 전진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여러분은 (물론) 【길에서 어떤 돌파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메신저】는 『【이것 - 이 돌파 경험, 극적인 경험】이 더 이상 【추진력】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했습니다. 대신에, 그는 (기꺼이) ▶{(항상) 『【〔그가 (처리하고) 그리고 (놓을 수 있는)〕 다음 잠재의식적인 자아】를 찾으면서』 일보 일보 전진하고}, 그리고 {【이 점진적인 단계적인 과정】에 만족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같은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It is very, very constructive to once in a while, take some time, sit down with a piece of paper, tune into your heart, and then look at your own expectations about the path. What do you expect is going to happen? What do you hope is going to happen? And then look at these hopes and dreams you have, compare them to what we have said about the path, such as the dictations given at this conference, but many others, of course. And then ask yourself: “Is this realistic? Is it really what the path is about, or is it just my conceptual mind that is projecting a concept upon the path that the mind can grasp? Is what I am hoping for really just a dualistic opposite of what I am hoping to get away from? Because then it is not a realistic goal.”

『가끔, 【약간의 시간을 내서】, 【〔한 장의 종이를 갖고〕 앉아서】, 【〔여러분의 가슴〕에 조율하고】, (그런 다음) 【〔길에 대한 여러분 자신의 기대〕를 보는 것】』이 정말, 정말 건설적입니다. 여러분이 【무엇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가? 여러분이 【무엇이 일어날 것이라고】 바라고 있는가? (그런 다음) 【〔이 희망들〕과 〔(여러분이 갖고 있는) 꿈들〕】을 보고, 『그것들』을 『우리가 길에 대해 말한 것 - 【이번 컨퍼런스에서 주어진 딕테이션】과 같은, (하지만) 물론, 【다른 많은 것들】』과 비교해 보세요. (그런 다음) 여러분 자신에게 질문하세요: "이것이 현실적인가? 그것이 (정말로) 【〔길〕이 ...에 관한 것】인가, (아니면) 그것이 (단지) 『【〔(마음)이 파악할 수 있도록〕 〔길〕에 〔개념〕을 투사하고 있는】 나의 개념적인 마음』인가? 내가 (정말로 단지) 【〔내가 ...에서 벗어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의 이원론적인 반대되는 것】을 바라고 있는가? 왜냐하면 (그렇다면) 그것은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Expectations vs. reality

기대 대. 현실

The path is not about getting away from one dualistic polarity and into another. The path is about transcending duality. And it is only the conceptual mind, the separate conceptual mind that operates with duality, that Christ does not. The Conscious You does not either, when it experiences itself as pure awareness. As we have said, the Conscious You cannot step outside itself, but it can step outside the mind. And some of you will say, but Gautama: “I have not had that experience.” And I will say, yes, you have. It just did not live up to the expectations projected by the conceptual mind. Do you not see what we are trying to tell you? The conceptual mind will superimpose concepts upon the spiritual path that the conceptual mind can grasp based on its separation and duality. The path will not live up to these expectations. The Conscious You stepping outside of the mind will not live up to the expectations projected by the mind, or what it should feel like to have this dramatic awakening, enlightenment, spiritual, mystical experience, this peak experience. As we have said before, there is no peak except compared to a low. But the real path is about going beyond the peaks and the lows. Therefore, nirvana, enlightenment, is not this wonderful, dramatic, happy experience. It is completely neutral compared to the experiences you have through the separate mind with its dualistic highs and lows.

【길】은 『【〔하나의 이원론적인 극성에서 벗어나서〕 그리고 〔다른 이원론적인 극성에 들어가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길】은 【〔이원성을 초월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원성〕을 교묘히 다루는 것】은 (오직) 【〔개념적인 마음〕, 〔분리된 개념적인 마음〕】입니다, 【그리스도】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Conscious You)이 【자신(Conscious You)】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할 때』 【Conscious You】도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말한 것처럼, 【Conscious You】은 자신(itself) 밖으로 나갈 수 없지만, 그것(Conscious You)은 마음 밖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중의 일부】는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고타마: "나는 그 경험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말할 것입니다, 예, 여러분은 했습니다. 그것은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투사된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을 뿐입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여러분에게 말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을 보지 못합니까? 【개념적인 마음】은 【영적인 길】에 『【〔개념적인 마음〕이 〔its 분리와 이원성에 근거해서〕 파악할 수 있는】 개념』을 겹쳐 놓을 것입니다. 【길】은 【이 기대들】에 부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마음 밖으로 나가는 Conscious You】은 {『마음에 의해서 투사된 기대들』, 혹은 『【〔이 극적인 자각〕, 〔깨달음〕, 〔영적인, 신비적인 경험〕, 〔이 절정 경험〕을 갖는 것】이 무엇처럼 느껴져야 하는지』}에 부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낮은 것과 비교하는 것 외에는】 【절정】이 없습니다. (그러나) 【진짜 길】은 『【〔절정〕과 〔낮은 것〕을 넘어서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따라서, 【〔열반〕, 〔깨달음〕】은 【이 아주 멋진, 극적인, 행복한 경험】이 아닙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its 이원론적인 고저가 있는 분리된 마음〕을 통해서 하는】 경험』과 비교해서} 완전히 중립적입니다.

It does not mean that it is unpleasant or boring. It is incredibly vibrant and alive. It just cannot be compared to the experiences you are having through the dualistic mind. Because it has no opposite, and therefore, there is no comparison. You cannot compare the real experience of nirvana or enlightenment to anything in the dualistic mind. You cannot even contrast it with anything in the dualistic mind. It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Because as soon as we say a word, you associate it with something. The word bliss, which is a poor translation into English, but nevertheless, has been compared to extreme happiness. But it is not extreme and it is not happiness as you conceive of it from the separate mind. There are no words here.

그것은 【그것이 불쾌하거나 지루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엄청나게) 활기차고 생기가 넘칩니다. 그것은 (정말) 【〔여러분이 (이원론적인 마음을 통해서) 하고 있는〕 경험】과 비교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반대되는 것】을 갖고 있지 않고, 따라서, 【비교】가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열반 혹은 깨달음〕의 진짜 경험】을 【이원론적인 마음에 어떠한 것】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그것】을 【이원론적인 마음에 어떠한 것】과도 대조시킬 수 없습니다. 그것은 말로 설명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단어를 말하자마자, 여러분은 【그것】을 【어떤 것】과 관련시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단어 지복, 그것(단어 지복)은 『【〔영어로 만족스럽지 못한 번역〕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행복〕과 비교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극단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분이 〔분리된 마음〕으로부터 〔그것〕을 상상하는 대로】 【행복】이 아닙니다. 여기에 【말】은 없습니다.

An avatar’s dream to be special

특별해지고 싶은 아바타의 꿈

And that is why if you expect that when the Conscious You steps outside a subconscious self, it should feel a certain way. Then you will miss the experience. But you have had this experience or you would not have found an ascended master teaching. And you would not have followed it and studied it and made an effort to apply it. Many of you know you have had the experience. But you are still hoping that one day there will be a more dramatic experience. But you see, it is again one of these enigmas. In order to motivate people to start the path, we have to give them a goal. But the goal has to be something they can grasp and see as desirable with their present level of consciousness. And when they are in this separate conceptual mind, they will want the goal to be something that is better compared to what they are experiencing in the Sea of Samsara. When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Christ mind, it will feel like an anti-climax, like a disappointment. And the outer mind will say, “Is this it? Was this really what they call this spiritual experience? Is this what I have been striving for?” But you see, it is not what the outer mind has been striving for. Because the outer mind has been striving for some kind of fantasy picture that never existed.

그리고 그것이 ▶{만약 여러분이 『【Conscious You】이 【잠재의식적인 자아】 밖으로 나갈 때, 그것(Conscious You)이 【특정한 방식으로】 느껴야 한다고』 기대한다면, 여러분이 【경험】을 놓칠} 이유◀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이 경험】을 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상승 마스터 가르침】을 발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상승 마스터 가르침)〕을 따르고】 그리고 【〔그것(상승 마스터 가르침)〕을 공부하고】 그리고 【〔그것(상승 마스터 가르침)을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여러분이 그 경험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전히) 『(어느 날) 【더 극적인 경험】이 있을 것이라고』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그것은 (다시) 【이 수수께끼들 중의 하나】입니다. 【사람들】이 【길을 시작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들】에게 【목표】를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목표】는 『【그들이 〔파악하고〕 그리고 〔(그들의 현재 의식 수준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어떤 것』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이 분리된 개념적인 마음 안에】 있을 때, 그들은 【목표】가 {『【〔그들이 삼사라의 바다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서 더 나은】 어떤 것』이기를} 원할 것입니다. 그들이 (실제로) 【그리스도 마음】을 경험할 때, 그것(그들)이 【〔절정에 반대되는 것처럼〕, 〔실망처럼〕】 느낄 것입니다. 그리고 【외적인 마음】은 말할 것입니다, "이것이 그것인가? 이것이 (정말로) 【그들이 〔이 영적인 경험〕이라고 부르는 것】이었는가? 이것이 【내가 계속 ... 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인가?" 그러나 있잖아요, 그것은 【〔외적인 마음〕이 계속 ... 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외적인 마음】은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어떤 종류의 환상적인 그림】을 얻으려고 계속 노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If you are attached to these expectations and images created by the outer mind, you will miss it when you have a genuine experience of the Christ mind. Many students, especially avatars, come to the spiritual path, as we have said before, with this desire to be validated as being special. It is really the biggest hindrance for spiritual movements and for spiritual growth, is this desire to be special. Now, it is understandable because when you came as avatars, you have been put down by the fallen beings. And it is understandable you want to compensate for it. Many come, they hear about the path to Christhood, and they think, “Ah, when I attain Christhood, then I will be special in this world. Then I’ll get the recognition. Then I’ll get the compensation. Then I will have all of these supernatural abilities that can prove to other people that I really am special, and therefore, they can realize how wrong they were in putting me down.”

만약 여러분이 【〔외적인 마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 기대들이미지들】에 애착을 갖는다면, 【여러분이 〔그리스도 마음에 대한 진짜 경험〕을 할 때】 여러분은 【그것】을 놓칠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 - 특히 아바타들】은 -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 【〔특별한 것으로 입증되는 이 욕구〕를 갖고】 【영적인 길】로 옵니다. 그것은 (실제로) 【〔(영적인 운동의) 그리고 (영적인 성장의)〕 가장 큰 장애물】은 【특별해지는 이 욕구】입니다. 자, 그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아바타】로 왔을 때, 여러분은 【추락한 존재들】에 의해서 깔아뭉개졌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을 보상하기를〕 원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와서, 그들은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길】에 대해 듣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생각합니다, "아, 내가 【그리스도임】에 이를 때, 나는 【이 세상에서】 특별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나는 인정을 받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 나는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 나는 『【〔내가 정말로 특별하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입증할 수 있는】 이 모든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질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이 〔나를 깔아뭉개면서〕 얼마나 잘못했는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This is not an uncommon expectation that many people have a touch of. Most avatars have it still. This is what can cause students to come to a point where they are now beginning to realize that we of the ascended masters will not acknowledge them and make them feel special. They may also come to the messenger with this desire for him to make them feel special, and then they realize that this messenger is not playing that game, well, they become disappointed.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접하는〕 보기 드문 기대】가 아닙니다. 【많은 아바타들】은 (여전히) 【그것】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이 ▶【학생들】이 {『그들이 (이제) 【우리 상승 마스터들이 〔그들을 인정하고〕 그리고 〔그들이 (특별함을 느끼도록) 만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는』 지점으로 오도록} 야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들은 (또한) {『그가 【그들이 〔특별함을 느끼도록〕 만드는】』 이 욕구를 갖고} 【메신저】에게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이 메신저】가 【그 게임】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음, 그들은 실망하게 됩니다.

And then what do they do? Well, they face this choice. Will, they look at themselves and see that this expectation, this desire to be special, came from a separate self? Or will they refuse to do this and therefore, they have to project out that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the messenger or something wrong with the teachings? “These are not the real ascended masters because surely the real ascended masters would recognize me for how special I am? How could the ascended masters not recognize me when I am so special? Surely the ascended masters have the vision to see how special I am?”

(그런 다음) 그들이 무엇을 할까요? 음, 그들은 【이 선택】에 직면합니다. 그들이 {『【그들 자신】을 보고』 그리고 『【〔특별해지는 이 기대, 이 욕구〕가 〔분리된 자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볼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그들이 【이것을 하기를】 거부하고 따라서, 그들이 【〔(메신저에게 뭔가 문제)가 있고〕 혹은 〔(가르침에 뭔가 문제)가 있다고〕】 투사해야 할 것인가? "이들은 【진짜 상승 마스터들】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확실히) 【진짜 상승 마스터들】은 【내가 얼마나 특별할지?】에 대해 【나】를 인정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매우 특별할 때】 【상승 마스터들】이 어떻게 【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확실히) 【상승 마스터들】은 【〔내가 얼마나 특별한지?〕 보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We do have the vision to see how special your ego wants to be. And we also have the vision to see beyond it and see your real potential that is being blocked by the ego’s desire to be special in this world. Instead of seeking the uniqueness in your I AM Presence. And were we to help you feel special in this world, well, we would only hinder your growth, perhaps for many lifetimes.It is actually better for such people that they reject the messenger or the message and go their own way rather than feeling validated by the messenger or by us through him.

우리는 【〔(여러분의 에고)가 얼마나 특별하기를 원하는지〕 보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또한) ▶{『그것 너머를 보고』 그리고 『【〔(여러분의 I AM Presence 안에 독특함을 찾는 대신에) (이 세상에서 특별해지는 에고의 욕구)에 의해서 방해받고 있는〕 여러분의 진짜 잠재력】을 보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여러분】이 【이 세상에서 특별함을 느끼도록】 돕는다면, 음, 우리는 (아마 많은 생애 동안) 【여러분의 성장】을 방해할 뿐일 것입니다. {그들이 『【메신저】 혹은 【메시지】를 거부하고』 그리고 『【〔메신저〕에 의해서 혹은 〔그를 통해서 우리〕에 의해서 〔입증됨을 느끼는 것〕】보다는 【그들 자신의 길】을 가는 것』}이 (실제로) 그런 사람들에게 더 낫습니다.

The figure eight flow between us and the masters

우리와 마스터들 사이에 8자 모양 흐름

We have given you many concepts at this conference. Many things that are beyond what we have given before. Many things that are beyond what many of you are ready for. But still we have decided to give them because some will understand, some will grasp, some will experience and all can gradually come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우리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여러분에게 【많은 개념】을 주었습니다. 『【〔우리가 이전에 주었던 것〕을 넘어서는】 많은 것』.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이 ...에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넘어서는】 많은 것』.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들〕을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왜냐하면) 【일부】가 이해할 것이고, 【일부】가 파악할 것이고, 【일부】가 경험할 것이고 그리고 【모두】가 (서서히) 이해하고 경험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nd by releasing them in the physical we are actually increasing the momentum that makes it easier for you to grasp it.

그리고 【물리적으로 〔그것들〕을 발표하는 것】에 의해서, 우리는 (실제로) 『【〔여러분이 그것을 파악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드는】 여세』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And we know that if you look at the teachings given through this messenger since 2002, they are vast, they cover a vast range. As we have said, we have given several levels of teachings through this messenger. If you looked at them you could easily feel overwhelmed. And some of you do feel that some of the teachings are beyond your current level and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Then you focus on the teachings you can grasp and apply them so that you can rise to the next level. But you see, it is again the law of the multiplication of the talents. If we have a messenger who is willing to multiply the talents and raise his consciousness so he can be the open door for a higher teaching and if we have a sufficient number of students who have been willing to take the teaching already given and multiply it, well then we will release higher and higher teachings. Even if it overwhelms some students.

그리고 우리는 『만약 여러분이 【〔2002년부터〕 이 메신저를 통해서 주어진 가르침】을 본다면, 그것들이 방대하고, 그것들이 【방대한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말한 것처럼, 우리는 【이 메신저를 통해서】 【여러 수준의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그것들】을 본다면, 여러분은 (쉽게) 압도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중의 일부】는 『【일부 가르침】이 【여러분의 현재 수준】을 넘어서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그리고 그것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이 〔다음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것들〕을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가르침』에 집중합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그것은 (다시) 【재능의 증식의 법칙】입니다. 만약 우리가 【그가 〔더 높은 가르침을 위한 열린 문〕이 될 수 있도록】 『【기꺼이 〔재능을 증식하고〕 그리고 〔그의 의식을 올리는〕】 메신저』를 갖고 있다면, 그리고 만약 우리가 『【기꺼이 계속 〔이미 주어진 가르침을 가져다가〕 그리고 〔그것을 증식하고 있는〕】 충분한 수의 학생』을 갖고 있다면, (음) 우리는 【점점 더 높은 가르침】을 발표할 것입니다. 비록 그것이 【일부 학생】을 압도하더라도.

Because there is value in getting this teaching into the physical where it can be studied a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raised, as more and more people rise to the level where they can grasp the teaching. We have gone gradually and we have sometimes waited for several years to release a new level of teaching. But we have also at certain times decided that ready or not here I come because now it is time to release a higher level of teaching. We are grateful for all of you who are part of this release, whether you feel you grasp it or not, by your presence, by taking in these teachings, you are still part of the entire movement that will affec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e are grateful to all of you.

⊂▶{『【집단의식】이 올려지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가르침)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가면서』 그것이 공부될 수 있는} 이 가르침◀을 【물리적】으로 가져오는 것에⊃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서서히) 갔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때때로) 【〔새로운 수준의 가르침〕을 발표하기 위해】 【몇 년】을 기다렸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이제) 〔더 높은 수준의 가르침을 발표할 때〕이기 때문에】 준비가 되었든 안 되었든 간다고】 (특정한 시기에) 결정했습니다. 우리는 【〔(이 발표의 일부)인〕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것을 파악한다고】 느끼든지 아니든지, 【여러분의 참석】에 의해서, 【〔이 가르침들〕을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은 (여전히) 『【〔집단의식〕에 영향을 미칠】 전체 운동의 일부』입니다. 우리는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And we are grateful to those who are able to grasp the teaching, willing to apply it, willing to stretch the mind and grapple with “What did he mean? What was he saying? It sounds like it is so beyond what was said before. What were they really saying?” And then you stretch the mind, you ask for our help and that is how we build this figure eight flow between us and you. And when you deliver the return current, then we can multiply and this is what raise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here you pull up on the collective because you have been willing to raise your own.

그리고 우리는 ▶{『【가르침】을 파악할 수 있고』, 『【그것(가르침)】을 기꺼이 적용하고』, 『기꺼이 【마음을 늘이고】 그리고 【〔"그가 무엇을 의미했는가? 그가 무엇을 말하고 있었는가? 그것은 (그것이 〈이전에 말해졌던 것〉을 매우 넘어서는) 것처럼 들립니다. 그들이 실제로 무엇을 말하고 있었는가?"〕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감사합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마음】을 늘입니다, 여러분은 【우리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우리)와 (여러분) 사이에 8자 모양 흐름〕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반대 흐름】을 배달할 때, 우리는 증식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기꺼이 계속 〔여러분 자신〕을 올리기 때문에】 여러분이 【집단】을 끌어올리는』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입니다.

And that is how a planet progresses. And that is how a planet can be pulled out of the unnatural state into returning to the natural state. It does not happen in these glorious dramatic events such as the Christians expecting Jesus to come back at any moment as some undeniable appearance in the sky rolling up the world as a scroll. It happens step by step by step and most people will not notice.

그리고 그것이 【〔(행성)이 전진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행성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것은 ▶{기독교인들이 【예수가 〔(세상을 두루마리로 말아올리면서) 하늘에 어떤 부인할 수 없는 모습으로〕 금방이라도 돌아오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은} 이 영광스러운 극적인 사건들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단계적으로) 일어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것입니다.

Letting go of the need for control

통제의 필요성을 놓기

But it only happens because there are those in embodiment who are willing to reach up beyond the conceptual mind, beyond the mass consciousness, but reach for that One mind at the level of the ascended masters. We have said there is a level of the Christ mind that is with you at any level of consciousness. But there is also a level of the Christ mind at the ascended level. Where as an ascended master we do not descend to these lower levels. You have to raise yourself up in order to make that contact with us and our Christ mind. And that many of you have been willing to do and willing to strive for and make an effort to stretch the mind beyond what the conceptual mind can conceive of. And that is the Christ mind.

(그러나) 그것은 (오직) ▶{『기꺼이 【〔개념적인 마음을 넘어서〕, 〔대중 의식을 넘어서〕 도달하지만】, 【〔상승 마스터의 수준에 그 한마음〕에 손을 뻗는】』 구체화 안에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우리는 『【〔(어떠한 의식 수준에서도) 여러분과 함께 있는〕 그리스도 마음의 수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또한)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이 더 낮은 수준들】로 내려가지 않는』 상승한 수준에 그리스도 마음의 수준}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와 (우리의 그리스도 마음)〕과 접촉하기 위해서】 【여러분 자신】을 올려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기꺼이 했고』 그리고 『기꺼이 【... 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그리고 【〔(개념적인 마음)이 ... 을 상상할 수 있는 것〕을 넘어 〔마음을 늘이려고〕 노력했습니다】』 } . 그리고 그것이 【그리스도 마음】입니다.

When you are willing to stretch beyond what your conceptual mind can conceive of and receive something that is not a concept, that cannot be conceptualized by the conceptual mind, cannot be put into its database and file folders so that it feels it has it under control, you are willing to feel that you are not in control of your path because you are willing to reach beyond the mind that needs to feel it is in control.

여러분이 기꺼이 ▶{【〔여러분의 개념적인 마음〕이 ... 을 상상할 수 있는 것】을 넘어 늘이고} 그리고 {『【〔개념〕이 아닌】, 【〔개념적인 마음〕에 의해서 개념화될 수 없는】, 【〔그것〈개념적인 마음〉이 (그것〈개념적인 마음〉이 그것을 통제 아래에 갖고 있다고) 느끼도록〕 〔its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폴터〕에 집어 넣어질 수 없는】』 어떤 것을 받을 때}◀, 여러분은 {『여러분이 (기꺼이) 【〔(그것이 통제한다고) 느껴야 하는〕 마음】 너머에 도달하기 때문에』 여러분이 【여러분의 길】을 통제하지 않는다고} 기꺼이 느낍니다.

The Conscious You does not need to feel it is in control. Why would pure awareness need control in this world? You can reach beyond this world. The pure awareness of the Conscious You is beyond this world. And many of you will say “But I have not experienced that pure awareness.” Are you sure? Are you sure you do not have a conceptualized expectation of what it should feel like to experience pure awareness? But even if you have not experienced it, you can come to experience it. And then you will be able to let go of this control. But still if you are willing to stretch the mind and you have had some experience that there is something outside the conceptual mind, because why else would you stretch to grasp something that the conceptual mind cannot grasp?

【Conscious You】은 【〔그것(Conscious You)〕이 통제한다고】 느낄 필요가 없습니다. 【순수한 인식】이 (왜) 【이 세상에서 통제】를 필요로 하겠습니까? 여러분은 【이 세상 너머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Conscious You인 순수한 인식】은 이 세상을 넘어서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 순수한 인식】을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여러분은 확신합니까? 여러분은 『여러분이 【〔(순수한 인식을 경험하는 것)이 무엇처럼 느껴져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화된 기대】를 갖고 있지 않다고』 확신합니까? 그러나 비록 여러분이 【그것】을 경험하지 못했더라도, 여러분은 【그것】을 경험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이 통제】를 놓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여러분이 기꺼이 【마음】을 늘이고 그리고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는】 어떤 경험』을 한다면, 여러분이 (달리 왜) 『【〔(개념적인 마음)이 파악할 수 없는〕 어떤 것】을 파악하기 위해』 늘이겠습니까?

The experience that there is something outside the conceptual mind

개념적인 마음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경험

You see which came first the chicken or the egg? The idea that there is something outside the mind? Or the experience that there is something outside the mind? Well, what came first was the experience. You cannot actually start climbing on the ladder of the 144 levels of consciousness unless you have had an experience of the Christ mind. You may not be consciously aware of it. You may even superimpose concepts on it at the moment it stops. But you have the experience.

(있잖아요) 닭 혹은 달걀 어느 것이 먼저 왔을까요? 『【〔마음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는】 생각?』 (혹은) 『【〔마음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경험?』 음, 【먼저 온 것】은 【경험】이었습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 마음에 대한 경험〕을 하지 않는 한】 여러분은 (실제로) 【〔144 의식 수준의 사다리〕를 오르기】 시작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의식적으로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이 멈추는〕 순간에】 【그것】에 【개념】을 겹쳐 놓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경험이 있습니다.

Because what have we said? When you are trapped in a conceptual mind, you cannot conceptualize what it is like to be outside the conceptual mind. You can only experience it by experiencing the One mind, the Christ mind. But it will be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you are at. And therefore, in the beginning levels of the path, many levels of the path, you do not realize it. You are not conscious of it. But you still have had the experience. Or you would not be walking the path, following the teaching, you would not be willing to stretch the mind.

(왜냐하면) 우리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여러분이 【개념적인 마음】에 갇혀 있을 때, 여러분은 【〔개념적인 마음 바깥에 있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 개념화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한마음〕, 〔그리스도 마음〕을 경험하는 것】에 의해서만 【그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여러분이 ...에 있는〕 의식 수준에서】 일 것입니다. 따라서, 【〔길의 초기 수준〕, 〔길의 많은 수준〕】에서, 여러분은 【그것】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의식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전히) 그 경험을 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길을 걷고 있지 않을 것이고〕, 〔가르침을 따르고 있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기꺼이 【마음】을 늘이지 않을 것입니다.

Why are so many people not on the path? Because they are content with the conceptual images projected by their minds. You see, in the world today, many people are not suffering in their daily lives as people in poor countries, for example. Many people have comfortable lives. They are often very difficult to reach for a spiritual teacher, becaus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onceptual experience. And they do not want more at the present level. This will come in time. But right now they do not want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that their conceptual minds are giving them. But if you were one of them, you would not be on the path. Why are these people not on the path? Because they cannot even imagine that there is something beyond the conceptual mind. But you can or you would not be on the path.

【매우 많은 사람들】이 (왜) 길에 있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마음〕에 의해서 투사된 개념적인 이미지】에 만족하기 때문입니다. 있잖아요, 오늘날 세계에, 【많은 사람들】은 【(예를 들어) 가난한 국가에 사람들처럼】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고통받고 있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편안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들은 (보통) 【〔영적인 교사〕에 손을 뻗기에】 매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개념적인 경험】에 만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현재 수준에서 더 많은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이윽고 올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그들은 【더 많은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개념적인 마음〕이 그들에게 주고 있는】 경험』에 만족합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그들 중의 한 명】이라면, 여러분은 【길에】 있지 않을 것입니다. 【이 사람들】이 (왜) 길에 있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그들은 【〔개념적인 마음 너머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길에】 있지 않을 것입니다.

We know that sometimes with the outer mind you are thinking “Oh, but I have not experienced this. Am I really following the real path? Am I really making progress?” All I am trying to say is, whether you are aware of it or not, you are on the path, you are making progress. Continue and there will come a point where you experience this consciously, that you have made progress. With this, I will, as other masters have said, acknowledge time and space, even though I would enjoy continuing almost indefinitely discoursing with you. It is my privilege to seal this conference, as I have sealed so many others, and to seal you in the joy of the Buddha.

우리는 {(때때로) (외적인 마음으로) 여러분이 『"오, (하지만) 나는 【이것】을 경험하지 않았습니다. 내가 (정말로) 【진정한 길】을 따르고 있는가? 내가 (정말로) 진전하고 있는가?"』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내가 말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모든 것】은 『【여러분이 그것을 알고 있든지 아니든지】, 【여러분이 길에 있고】, 【여러분이 진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계속하세요 (그러면) {『여러분이 【〔여러분이 진전했다는〕 이것】을 의식적으로 경험하는』 지점}이 올 것입니다. 이것으로, 나는 - 다른 마스터들이 말한 것처럼 - 시간과 공간을 인정할 것입니다, 비록 내가 【〔여러분과 말하는 것〕을 (거의 무한정) 계속하는 것】을 즐기더라도. 『【- 내가 매우 많은 다른 것들을 봉인한 것처럼 - 〔이 컨퍼런스〕를 봉인하는 것】, 그리고 【〔붓다의 기쁨에〕 〔여러분 〕 을 봉인하는 것】』이 【나의 특권】입니다.

Therefore, be sealed. Gautama I AM.

따라서, 봉인되세요. 나는 고타마입니다.

 

 

Copyright © 2024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