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159. 미국을 위한 해결책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의식 성장 2020. 10. 11. 18:09

<원문>

 

ascendedmasterlight.com/the-solution-for-america-is-that-you-change-yourself/

 

Ascended Master Saint Germain through Kim Michaels, September 18, 2020.

2020년 9월 18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 상승 마스터 성 저메인.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0 Webinar – Choosing America’s Future.

이 딕테이션은 2020년 웨비나 동안에 주어졌습니다 - 미국의 미래를 선택하기.

I AM the Ascended Master Saint Germain, and I am in the golden age consciousness. Why is America not in the golden age? Because not enough Americans are in the golden age consciousness. Why are they not in the golden age consciousness? Because they have been divided by all of the factors that Mother Mary spoke about.

나는 【상승 마스터 성 저메인】입니다, 그리고 나는 【황금시대 의식 안에】 있습니다. 미국이 【황금시대 안에 있지 않은 이유는】? 왜냐하면 【미국인들이 황금시대 의식에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황금시대 의식 안에 있지 않은 이유는】? 왜냐하면 그들이 【성모 마리아가 이야기한 모든 요인에 의해서】 분열되었기 때문입니다.

What is the golden age, my beloved? How will you manifest the golden age? Well, you know, the next 2,000 year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 golden age. You also know that the next 2,000 years is the Age of Aquarius, and it is the age of the Holy Spirit and the age of community. Community, as has so often been said, so often that it is almost a cliché, but nevertheless it is true. It means “come ye into unity.” Come into unity. But how do you come into unity? Well, as Mother Mary said at the end of her release, you come into unity through the mind of Christ, you are divided through the mind of antichrist.

나의 사랑하는 이여, 【황금시대가 무엇일까요】? 여러분이 어떻게 【황금시대를 나타낼까요】? 음, 여러분은 【다음 2,000년이 황금시대가 될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다음 2,000년이 물병자리 시대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성령의 시대】 그리고 【공동체의 시대】입니다, 공동체는 (매우 자주 말해졌던 것처럼) 【이것이 거의 상투적인 문구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사실입니다】. 이것은 【"통합의 상태가 돼라"】를 의미합니다. 통합의 상태가 돼라. 그러나 여러분은 어떻게 【통합의 상태가 됩니까】? 음, 성모 마리아가 【그녀의 발표 끝부분에 말한 것처럼】, 여러분은 【그리스도 마음을 통해서】 통합의 상태가 됩니다, 여러분은 【반그리스도 마음을 통해서】 분열됩니다.

Why are Americans divided right now? Because they have become open to the manipulation of the mind of antichrist. What is one of the factors that have made them open to this? Well, this is what I will expound upon. You see, my beloved, we have talked before about the fact that Americans have an obsession with winning. But underlying this desire to win is, of course, a certain mindset that is very competitive. Americans often do not realize this because Americans tend to live in a bit of a bubble because America is such a big nation that Americans do not travel as much as other nations outside their nation, because you can do so much traveling in the United States and still see new things. But people in small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end to travel more. They are exposed to different cultures and they realize there are many different mindsets, many different ways of looking at things. So Americans are not so used to hearing what other people think about America. Otherwise, they would know that many people consider Americans to be very competitive.

미국인들이 지금 분열되어 있는 이유는? 왜냐하면 그들이 【반그리스도 마음의 조종에 개방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이것에 열리게 만든 요인 중의 하나】가 무엇일까요? 음, 이것이 【내가 자세히 설명할 것】입니다. 나의 사랑하는 이여, 여러분은 【우리가 〔미국인들이 승리에 대한 강박 관념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 관해 이야기했다는 것】을 봅니다. 그러나 물론, 【승리하는 숨겨진(underlying) 이 욕구】는 【매우 경쟁적인 특정한 사고방식】입니다. 미국인들은 보통 【이것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미국을 매우 많이 여행할 수 있고 그리고 여전히 새로운 것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그들의 국가 바깥에 다른 국가만큼〕 여행하지 않을 정도로】 미국이 그처럼 큰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약간의 거품 속에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 도처에 더 작은 국가에 사람들은 【더 많이 여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른 문화에 노출됩니다】 그리고 그들은 【많은 다른 사고방식, 상황을 보는 많은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그래서 미국인들은 【다른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듣는 것】에 그다지 익숙하지 않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많은 사람들이 미국인들이 매우 경쟁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You can look at the Olympics, you can look at sports in general, and see how often Americans want to win, how they have a certain very competitive attitude of wanting to win, wanting to be better than others. And it is even reflected in this national sense that America is the greatest nation on earth, that America needs to be better than other nations and that America is more advanced than other nations, which as mother Mary said, we would seriously question. Nevertheless, it is not my task here to do this. What I want to point out is that this competitive mindset is precisely one of the things that has divided Americans because the very essence of competition is that you are in some kind of struggle against other peopl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re not compatible. They start both with a term “co,” but that is where the similarities end. You cannot cooperate with people if you are competing with them at the same time. Now, there is another word that starts with “co” and it is community. So? You cannot come into community, you cannot form a community through competition, but only through cooperation.

여러분은 【올림픽】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보통 【스포츠를 보고】, 보통 【미국인들이 어떻게 승리하기를 원하는지】, 그들이 어떻게 【〔승리를 원하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낫기를 원하는〕 어떤 매우 경쟁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심지어 【미국이 지구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이고, 미국이 다른 국가보다 더 나아야 하고 그리고 미국이 다른 국가보다 더 발달했다는】 이 국가적인 감각에 반영됩니다, 성모 마리아가 말한 것처럼, 우리는 【진지하게】 의문을 제기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하는 것】이 여기에서 나의 일(task)이 아닙니다. 【내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이 경쟁적인 사고방식이 바로 미국인들을 나누었던 것들 중의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경쟁의 바로 그 본성】이 【다른 사람들에 대항해 어떤 종류의 투쟁 안에 있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경쟁과 협력은 양립될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둘 다 【어구 "co"로 시작하지만】, 그것이 【유사점이 끝나는 부분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그들과 경쟁하고 있다면】 동시에 여러분은 사람들과 협력할 수 없습니다. 자, "co"로 시작하는 다른 말(word)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공동체입니다. 그래서? 【경쟁을 통해서】 여러분은 【공동체의 상태가 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공동체를 형성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협력을 통해서만 【공동체의 상태가 될 수 있고,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You see here that we have the popular saying in the United States that you want to “keep up with the Joneses.” Well, there are many Americans that are in this state of mind where they want to keep up with the Joneses. If somebody down the street gets a new car, then they have to get a new car that is a little bit fancier, a little bit bigger. Or at least it used to be that way when the middle class Americans had money to spend on these kinds of luxury items, which many of them do not have anymore, despite the fact that both husband and wife are working. There are many Americans that want to keep up with the Joneses but there are also many Americans who want to be the Joneses. They want to be the people that other people are trying to keep up with, but they want to stay ahead of them. They do not want other people to catch up.

여러분은 여기에서 【〔여러분이 "최신 유행을 좇기를" 원한다는〕 〔미국에 대중적인 격언〕을 우리가 갖고 있다는 것】을 봅니다. 음, 【〔그들이 최신 유행을 좇기를 원하는〕 이 마음 상태에 있는 많은 미국인들】이 있습니다. 만약 길 아래 누군가가 【새 차를 산다면】, 그들은 【조금 더 값비싼, 조금 더 큰 새 차】를 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적어도 【중산층 미국인들이 이러한 종류의 사치품〔(남편과 아내 모두 일하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들 중의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anymore) 갖고 있지 않은〕에 쓸 돈이 있었을 때】 그 방식이었습니다. 【최신 유행을 좇기를 원하는 많은 미국인들】이 있지만, 【최신 유행이 되기를 원하는 많은 미국인들】이 또한 있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쫓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사람들이 되기를】 원하지만, 그들은 【그들보다 앞쪽에 있기를】 원합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따라잡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You see here, this is what on a national scale works in the favor of the power elite who have stolen the money from the people. They are, as Mother Mary so magnificently explained, they have set themselves up as an elite, they do not want to share with others, they want to have a privileged position that nobody can threaten, and nobody can take away from them. In other words, there is a consciousness here, you want to have a privileged position, and then when you have it, you want to keep other people from getting close to your position. What does this mean if you look at it historically in America? Well, you see that the people who have the money today, the people in the top one percent, how did they get the money? You have this, again, the American dream that everybody through hard work can become a millionaire. This is part of this dream. But if you look at how the people who are billionaires today, how they or their ancestors, how they accumulated that much money, it was done through certain business measures where they were free to destroy the competition and to do whatever necessary to accumulate the money. But when they had accumulated the money, they did everything they could—both using their money and illegal methods, but also using the government—to shut down freedom of competition. In other words, they used the freedom of the economy to gain a privileged position for themselves and when they had gotten that position, they attempted to destroy the freedom of the economy so nobody could threaten their position, or at least very few people could do so.

여러분은 여기에서 【이것이 〔사람들로부터 돈을 훔친 파워엘리트의 후원으로〕 국가적인 범위에서 작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봅니다. 【성모 마리아가 매우 장대하게 설명한 것처럼】, 그들은 【그들 자신을 엘리트】로 세웠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갖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아무도 위협할 수 없고, 아무도 그들에게서 빼앗을 수 없는〕 특권을 가진 지위】를 갖기를 원합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이 〔특권을 가진 지위〕를 갖기를 원하고, 그런 다음 여러분이 이것을 가질 때,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지위에 가까이 도달하는 것〕을 막기를 원하는】 의식이 여기에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역사적으로 미국에서 이것을 본다면】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여러분은 【오늘날 돈이 있는 사람들, 상위 1%에 사람들, 그들이 어떻게 돈을 벌었는지?】 봅니다. 여러분은 【〔열심히 일하는 것을 통해서 모든 사람이 백만장자가 될 수 있는〕 이 (다시) 아메리칸드림】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오늘날 백만장자인 사람들이 어떻게〕, 〔그들 혹은 그들의 조상이 어떻게〕, 〔그들이 어떻게〕 그 많은 돈을 모았는지】 본다면, 이것은 특정한 사업 방법【그들이 〔경쟁을 파괴하고〕 그리고 〔돈을 모으기 위해 필요한 무엇이든 하는데〕 자유로웠던】을 통해서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돈을 모았을 때】, 그들은 【경쟁의 자유를 멈추기 위해】 【그들의 돈과 불법적인 방법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정부를 이용하는】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그들 자신을 위해 특권을 가진 지위를 얻기 위해】 경제의 자유를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그 지위를 얻었을 때】, 그들은 【누구도 그들의 지위를 위협할 수 없고, 혹은 적어도 매우 소수의 사람들이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경제의 자유를 파괴하려고 시도했습니다.

Now, my beloved, if you look at things from a purely logical perspective, would it not be to everybody's advantage if everybody in society had lots of money? As Mother Mary said, consumer spending accounts for two-thirds of the economy, so the more money consumers have, the more they spend, the more businesses can be started, the more the existing businesses make money. Everybody prospers. Everybody makes more money when people have more money to spend. So the richer everyone in a society gets, the bigger the economy will be, and the more people can make money. Even the richest people can make more money if everybody has more money to spend. So why wouldn’t these rich people want everybody to get rich? Well,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want to be ahead of the population. They want to be the elite that stands out, that has what nobody else has.

자, 나의 사랑하는 이여, 만약 여러분이 【순전히 논리적인 관점에서】 이것을 본다면, 【만약 사회에 모든 사람이 많은 돈을 갖고 있다면】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을까요? 성모 마리아가 말한 것처럼, 【개인 소비】가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합니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더 많은 돈이 있을수록】, 그들은 【더 많이 소비합니다】, 【더 많은 사업이 시작될 수 있고】, 【기존 사업이 더 많은 돈을 법니다】. 【모두가 번영합니다】. 【사람들이 소비할 더 많은 돈을 갖고 있을 때】 모두가 더 많은 돈을 법니다. 그래서 【사회에 모두가 더 부유해질수록, 더 큰 경제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 수 있습니다】. 【만약 모두가 소비할 더 많은 돈을 갖고 있다면】 가장 부유한 사람들조차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부유한 사람들이 【왜】 모두가 부유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을까요? 음, 왜냐하면 【그들이 모든 주민보다 앞서기를 원하는】 간단한 이유로. 그들은 【두드러지고, 또 다른 누구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갖고 있는】 엘리트가 되기를 원합니다.

Look back to the feudal societies of Europe. Here are these few noble men sitting in their castles, having several hundred peasants do all the work so they can live a privileged lifestyle. Now, as we have said before, if you take one of these noblemen, and look at what money he actually had, he didn't have very much money compared to what the rich people today have. There are people today who, even if you account for inflation and all of these factors, have much greater wealth than the noble men of medieval Europe. But that was not what meant anything to these noble men. What meant something to them was that they had more money than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at they were so far ahead of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ey also, of course, competed amongst themselves, but nevertheless, they could feel that they were part of an elite, and that elite was so far beyond the regular people that there was no comparison. This is what means something to these fallen beings in embodiment and that is why they do not want all people to have lots of money. They do not want the population to prosper too much, because they do not really care about making more money than they have. They care about having more money than most people do and having it be such a large gap between what they have and what the have-nots have, that it is an insurmountable gap that nobody can ever cross it, or maybe just a few people can cross it and also become millionaires or billionaires. But this is something they have to allow in order to maintain that American dream.

【유럽의 봉건 사회】를 되돌아보세요. 【여기 이 소수의 상류층이 그들의 성(castles)】에 앉아 있습니다, 【그들이 특권을 가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일을 하는 몇 백 명의 소작농을 갖고 있으면서. 자,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만약 여러분이 【이 상류층 중의 한 사람을 데리고 가서, 그가 실제로 얼마의 돈을 갖고 있었는지 본다면】, 그는 【오늘날 부유한 사람들이 갖고 있는 것과 비교해서】 매우 많은 돈을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 비록 여러분이 인플레이션과 이 모든 요인을 설명할지라도, 【중세 유럽의 상류층보다 훨씬 더 큰 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오늘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 상류층에게 의미가 있었던 어떤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에게 의미가 있었던 어떤 것】은 【그들이 다수의 주민보다 더 많은 돈을 갖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다수의 주민보다 훨씬】 앞서 있었습니다. 물론, 그들 또한 【그들 자신 가운데】 경쟁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이 엘리트의 일부라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엘리트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일반 사람들을 훨씬 넘어서 있었습니다. 이것이 【구체화(embodiment) 안에 이 추락한 존재들에게 의미가 있었던 어떤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그들이 모든 사람들이 많은 돈을 갖기를 원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그들은 【주민이 과도하게 번영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에 정말로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갖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갖고 그리고 〔아무도 이것을 건널 수 없고, 그렇지 않으면 어쩌면 소수의 사람들만 이것을 건너서 또한 백만장자 혹은 억만장자가 될 수 있도록〕 (그들이 갖고 있는 것)과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것) 사이에 그런 큰 갭(gap)이 있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이 아메리칸드림을 유지하기 위해서 허용해야 하는 어떤 것】입니다.

Now you can look at certain people, like the owner of Amazon, who started out with nothing, but started out in a new field that none of the established businesses could really see the value of, and has still made a huge fortune for himself. This is something that the power elite, the old established power elite, do not really like. They tend to look down upon these people because they are not part of the old establishment. But they allow it because it maintains that American dream that really everybody could do the same if they applied themselves the way he did. But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everybody could not do the same. Everybody cannot become prosperous because the money is not there, the economy is not there, the freedom is not there, the competition is not there. You may have one or two people that break through the glass ceiling and accumulate a vast fortune, starting with nothing. But if all Americans tried to do the same, even if they applied themselves and worked as hard as they could, they could not all do it, because the economy simply is not at that level. And it is not at that level, because the power elite has kept it at an artificially lower level.

자 여러분은 【아무것도 없이 시작했지만, 〔확실히 자리를 잡은 어떤 기업도 정말로 가치를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분야에서 시작해서〕 여전히 그 자신을 위해 막대한 재산을 만들었던】 아마존의 소유자처럼 특정한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파워엘리트(오래된 확실히 자리를 잡은 파워엘리트)가 정말로 좋아하지 않는 어떤 것】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오래된 기득권층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이 사람들을 낮춰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것】을 허용합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만약 그들이 〔그가 한 방법을 그들 자신에게 적용한다면〕 정말로 모두가 동일한 것을 할 수 있다는】 아메리칸드림을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모두가 동일한 것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모두가 【번영해질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돈이 없고〕, 〔경제가 없고〕, 〔자유가 없고〕, 〔경쟁이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무에서 시작하면서〕 유리 천장을 뚫고 나아가서 그리고 어마어마한 재산을 모으는】 한두 사람을 갖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만약 모든 미국인들이 【동일한 것을 하려고 노력한다면】, 비록 그들이 【그들 자신에게 적용해서 그리고 그들이 할 수 있는 만큼 열심히 일할지라도】, 그들 모두가 【이것을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경제가 단지 【그 수준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파워엘리트가 이것을(경제) 인위적으로 낮은 수준에 유지시켰기 때문에】, 이것이(경제) 그 수준에 있지 않습니다.

This is the competitive mindset. And unfortunately, and this is what keeps the status quo the way it is, you do not only find this among the top one percent of the power elite. You find it among a rather substantial percentage of the American people. They also want to be ahead of others, not as far ahead as the power elite, they just need to be a little bit ahead. But they want to be ahead. They want to be the Joneses that everybody else is trying to keep up with. This has created a mindset in America, and you will find it everywhere. This has created a mindset where some people, in their youth, made an effort, started their own business, did whatever they needed to do and they gained more money than the average. But now that they have gained that more money, they have become a little bit complacent, a little bit lazy. But what they want to do is they want to maintain the lead they have over others. They want to still be ahead but they are not really willing to make an extra effort anymore to work harder. So what do they do? They want to keep other people down.

이것이 【경쟁적인 사고방식】입니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그리고 이것이 【현재의 상황이 이것이(현재의 상황) 있는 방식을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파워엘리트의 상위 1% 가운데】 이것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여러분은 더 정확히 말하면 【상당한 비율의 미국 사람들 가운데】 이것을 발견합니다. 그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기를】 원합니다, 【파워엘리트만큼 앞서지 않지만, 그들은 단지 조금 앞서야 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앞서기를 원합니다】. 그들은 【또 다른 모두가 좇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유행】이 되기를 원합니다. 이것이 【미국에 사고방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모든 곳에서】 이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이것이 【일부 사람들이(그들의 젊은 시절에) 〔노력하고〕, 〔그들 자신의 사업을 시작하고〕, 〔그들이 해야 하는 무엇이든 했고〕 그리고 〔그들이 평균보다 더 많은 돈을 벌었던〕】 사고방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들은 【더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그들은 【조금 자기만족하고, 조금 게을러졌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하고 싶은 것】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위에 그들이 갖고 있는 앞섬(lead)〕을 유지하기를 원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계속해서 앞서기를 원하지만】 그들은 정말로 【더 열심히 일하는 추가적인 노력】을 더 이상 기꺼이 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들이 무엇을 할까요?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아래에 유지시키기를】 원합니다.

There is a shift that happens in many people. First, they are all focused on striving to make money for themselves. Then when they feel they have enough, they now shift, and now they are focused on keeping other people down. This is what in many, many places in the United States has created what you call the ‘old boys’ network. This messenger saw an example of this when he lived in Montana, where our previous dispensation to Summit Lighthouse moved in to a very conservative area, where there was an ‘old boys’ network of ranchers that had been raising cattle on their large ranches for a hundred years. They did not want this new age cult to come in. They, for that matter, did not want any change and therefore they resisted everything. There was a small town where the government wanted to build an airport and a university. But the city fathers rejected that. So it was built in another town, which then grew to many times that size, and there was much more prosperity among the people. But the ‘old boys’ network in the little town did not want this because they want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d position and this is what you see in many, many places around the United States, in the country, in smaller towns, even in larger towns.

【많은 사람들 안에 일어나는 변화】가 있습니다. 우선, 그들은 모두 【그들 자신을 위해 돈을 벌려고 분투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그런 다음 그들이 【자신들이 충분히 갖고 있다고】 느낄 때, 그들은 이제 바뀝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아래에 유지시키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이것이 【미국에 많고, 많은 곳에서 〔여러분이 '교우' 네트워크라고 부르는 것〕을 만든 것】입니다. 이 메신저는 【그가 몬태나에 살았을 때】 이것의 예를 보았습니다【〔서밋 라이트하우스에 대한 우리의 이전 시혜〕가 매우 보수적인 지역으로 나아갔고, 〔수백 년 동안 그들의 큰 목장에서 소를 길렀던 목장 주인들의 '교우' 네트워크〕가 있었습니다】. 그들은 【이 새로운 시대 신흥 종교가 들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 점에 있어서, 그들은 【어떤 변화】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모든 것】에 저항했습니다. 【정부가 공항과 대학을 짓기를 원했던】 작은 도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 행정 담당자들은 【그것을 거절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다른 도시(town)에 지어졌습니다】, 그런 다음 이것은 【그 크기의 몇 배로 커졌습니다】, 그리고 【사람들 가운데 훨씬 더 많은 번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작은 도시에 '교우' 네트워크는 이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특권을 가진 지위를 유지하기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미국 도처에 많고, 많은 곳에서〕, 〔국가에서〕, 〔더 작은 도시에서〕, 〔더 큰 도시에서〕 보는 것】입니다.

You see almost everywhere this tendency that there are businesses that have a certain dominant position in a town or in an area of a larger city and now they want to keep other businesses down. They do not want other businesses to come up. They have become a little bit lazy. They do not want to work as hard anymore. They do not want some young upstart who is willing to work hard to take their customers away. So they do whatever they can within the law, or beyond the law, often as a form of corruption that is not necessarily as negative a corruption as it can be, but still a form of corruption where they keep the old boys in their privileged positions by cooperating about this. This is a mindset that does two things. First of all, it keeps the real power elite in power, and therefore it keeps the entire economy top heavy. But second of all, it slows down economic growth. Because again,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have enough money to buy the house you always dreamt of but you cannot buy two dream houses, or three and you cannot dream of a better house. You cannot buy a bigger car than the car you dreamt of when you were young, and so on, so many people come to a point where they may accumulate money, but they are not spending it, so they are not keeping it flowing through the economy. They are not willing to share it either, and sharing the wealth makes other people do well.

여러분은 【〔도시(town)에서〕 혹은 〔더 큰 도시의 지역에서〕 특정한 지배적인 지위를 갖고 있는 기업이 있고 그리고 이제 그들이 다른 기업을 아래에 유지시키기를 원하는】 이 경향을 거의 모든 곳에서 봅니다. 그들은 【다른 기업이 생기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조금 게을러졌습니다】. 그들은 【더 이상 열심히 일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고객을 빼앗기 위해 기꺼이 열심히 일하는】 어떤 신생의 건방진 녀석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들이 법 안에서, 혹은 법을 넘어서 할 수 있는 무엇이든】 합니다, 보통 【반드시 〔있을 수 있는 만큼 부정부패〕가 아닌 부패의 형태지만, 여전히 그들이 이것에 대해 협력하는 것에 의해서 그들의 특권을 가진 지위로 교우를 유지시키는 부패의 형태로】. 이것은 【두 가지를 하는 사고방식】입니다. 우선, 이것은 【진짜 파워엘리트를 권력에 머물게 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전체 경제를 상부 비중 과잉으로】 유지시킵니다. 하지만 둘째로, 이것은 【경제 성장】을 늦춥니다. 왜냐하면 다시, 【〔여러분이 항상 꿈꿨던 집을 구입할 충분한 돈을 갖고 있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두 채, 혹은 세 채를 구입할 수 없고 그리고 여러분이 더 나은 집을 꿈꿀 수 없는】 지점이 오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젊었을 때 꿈꾼 차보다 더 큰 차】를 구입할 수 없습니다, 기타 등등,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돈을 모을지도 모르지만, 그들이 이것을 소비하고 있지 않은】 지점으로 옵니다, 그래서 그들은 【이것이(돈) 경제를 통해서 흐르도록】 유지시키고 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또한 【이것을(돈) 기꺼이 나누지(share) 않습니다】, 그리고 【부를 나누는 것(sharing)】이 다른 사람들이 성공하도록 만듭니다.

And what is the effect of this mindset, this consciousness? It is anti-community. This is not how you build a community. If you look at the examples that Mother Mary talked about of these first American settlers that came over. They had a very strong sense of community, a very strong sense of helping each other because they knew that this was the only way that they themselves could do better. They did not even consider that they could do better as an individual. Their entire mindset was that: “The way that I can do better is to help my brothers and sisters in a community do better because when a community prospers,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will prosper.” This was their mindset. This was the real mindset that built America. It is still there, you can still find it. But it is not the dominant mindset in America right now, and has not been for some time.

그리고 【이 사고방식】, 【이 의식】의 영향이 무엇일까요? 이것은 【반공동체】입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공동체를 만드는 방법】이 아닙니다. 만약 여러분이 【건너온 이 첫 미국 정착민들에 대해 성모 마리아가 이야기했던 예(examples)】를 본다면. 그들은 【매우 강한 공동체의 감각, 서로 돕는 매우 강한 감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것이 그들 스스로 더 잘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개인으로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전체 사고방식】은 "내가 더 잘할 수 있는 방법은 【공동체 안에 나의 형제자매가 더 잘하도록 돕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동체가 번영할 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번영할 것이기 때문이다】."입니다. 이것이 【그들의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이것이 【미국을 만든 진짜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이것은 【여전히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전히 【이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지금 【미국에 지배적인 사고방식이 아닙니다】, 그리고 【한동안 없었습니다】.

Let me give you a little bit of a history lesson here. We go back, first to the 1800s. Large businessmen came up, realized what Mother Mary said: “In order to really accumulate wealth, we cannot do it through a free market economy where there is free competition. We cannot do it by just providing a product or service and making a reasonable, we might say a natural, profit, off of doing that.” There is, in other words, when you look at a certain economy, you can see there is a level. The entire economy of a nation has a certain level. People have a certain amount of money. They can pay a certain amount of money for necessities and therefore you can make a certain profit on providing those necessities. This is the natural profit. Now the natural way to increase your profit is to raise the level of the economy so everybody has more money. They can afford to pay more, they can afford to buy more, and therefore you can actually make a higher profit. If you double the level of the entire economy, the natural profit can also double. But these people were not content with doubling their profit. They wanted to multiply it a hundred or a thousand times and this is what you cannot do in a natural economy, a free economy with free competition.

여기에서 여러분에게 약간의 역사 수업을 하겠습니다. 우리는 먼저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큰 사업가가 생겼고, 성모 마리아가 말한 것【: "정말로 부를 모으기 위해서, 우리는 〔자유 경쟁이 있는 자유 시장 경제를 통해서〕 이것을 할 수 없다. 우리는 단지 〔상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그리고 너무 비싸지 않게 만드는 것〕에 의해서〔우리가 (그것을 하는 것에서) 정상적인 이익이라고 말할 수도 있는〕 이것을 할 수 없다"】을 깨달았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이 【특정한 경제】를 볼 때, 여러분은 【수준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국가의 전체 경제는 【특정한 수준】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특정한 양의 돈】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필수품을 위해】 특정한 양의 돈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이 필수품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특정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정상적인 이익】입니다. 자 【여러분의 이익을 증가시키는 정상적인 방법】은 【모두가 더 많은 돈을 가지도록 경제의 수준을 올리는 것】입니다. 그들은 【더 많이 지불할 여유】가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더 많이 구입할】 여유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실제로 【더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전체 경제의 수준】을 두 배가 되게 한다면, 【정상적인 이익】 또한 두 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들은 【그들의 이익이 두 배가 되는 것】에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이것을(그들의 이익) 【수백 혹은 수천 배로 증가시키기를】 원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여러분이 정상적인 경제, 자유 경쟁이 있는 자유 경제에서】 할 수 없는 것입니다.

You can only do this in a monopolized, top-heavy economy that takes the value of the people's labor and concentrates it in the hands of the elite. In other words, the reality of the so-called free market economy that people are always screaming about in America is that you can only make a natural profit. There is a natural profit to be made. And this means that in a natural economy, you will not see the emergence of an elite that is so far ahead of the broad population.

여러분은 오직 【〔사람들의 노동의 가치를 빼앗아 그리고 엘리트의 손에 이것을 집중하는〕 독점된, 상부 비중 과잉 경제】에서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이 항상 미국에서 외치고 있는 소위 자유 시장 경제의 현실】은 【여러분이 정상적인 이익만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얻어지는 정상적인 이익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정상적인 경제에서, 여러분이 〔광범위한 주민보다 훨씬 앞서 있는 엘리트의 출현〕을 보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You cannot see this in a natural economy because you only make a natural profit. What these power-elite people wanted was to create an unnatural economy where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wealth in the hands of 1% of the population. This is essentially the kind of economy you had during the feudal societies of Europe, where the wealth of the people's labor was funneled upwards to the noblemen who owned the land and owned the people. This is what they wanted to repeat in America. This is what they have been working on since the 1800s. First of all they created the Federal Reserve, they created financial instruments, they created stocks and bonds, they created the banking system and created many other things.

【여러분은 정상적인 경제에서 이것을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정상적인 이익만】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파워엘리트 사람들이 원했던 것】은 【〔인구의 1%의 손에 부를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정상적인 경제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근본적으로 【여러분이 유럽의 봉건 사회 동안 갖고 있었던 종류의 경제】입니다【〔사람들의 노동의 부〕가 〔땅을 소유하고 그리고 사람들을 소유했던 상류층〕에게 보다 많이 집중되었던】. 이것이 【그들이 미국에서 반복하기를 원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그들이 1800년대 이후 작업해왔던 것】입니다. 우선 그들은 【연방 준비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금융 상품】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주식과 채권】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은행 시스템을 만들었고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을 만들었습니다】.

What did it lead to? Well, if you look forward to the 1920s, you see what they call the “roaring twenties” where the economy was supposedly booming. But it wasn't really the natural economy that was booming, even though it was also growing during that time. But the growth was top-heavy. It was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those who had enough money to buy stocks, and who had so much money that they could create a bubble of stocks. This led to a phenomenon that has been known in economic circles as speculation. In other words, you are buying something, for example, it can be real estate, it can be stocks, it can be other kinds of financial papers, but you are buying this not because of the value it has for use, but because you are speculating that even though you pay a certain amount for it now, the prices will go up and, therefore, you can sell it for a profit in a short time. In other words, you are speculating that prices will continue to go up.

이것이 무엇으로 이어졌을까요? 음, 만약 여러분이 【1920년대를 본다면】, 여러분은 【그들이 "광란의 20년대"〔경제가 급속히 발전했던〕라고 부르는 것】을 봅니다. 그러나 급속히 발전했던 것은 정말로 【정상적인 경제가 아니었습니다】, 비록 또한 그 기간 동안 성장하고 있었을지라도. 그러나 성장은 【상부 비중 과잉】이었습니다. 이것은 【주식을 구입할 충분한 돈을 갖고 있었고 그리고 〔그들이 주식의 거품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돈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의 손에 집중되었습니다. 이것이 【경제계에서 투기로 알려진 현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어떤 것】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부동산】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주식】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종류의 금융 증서】일 수 있지만, 여러분은 【사용 가치 때문이 아니라, 비록 여러분이 지금 이것에 대해 특정한 액수를 지불할지라도, 가격이 올라서, 따라서, 여러분이 단기간에 이익을 얻고 이것을 팔 수 있다고】 【여러분이 추측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가격이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Now, my beloved, if you had a natural economy where the wealth was being distributed evenly across the people, not necessarily that everybody had the same amount of money, but that all shared in the growth, if you had such an economy then you could see that prices could continue to grow because everybody would have more and more money, and they could afford to pay more and more. This is where you could potentially see a continued rise in prices. But it would not be as fast as when you created a bubble economy where, again, people are not buying something because it has value, they are buying it because they speculate that it will keep increasing in price so they can sell it at a profit.

자, 나의 사랑하는 이여, 만약 여러분이 부가 사람들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고 있는【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액수의 돈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성장을 서로 나누는】 정상적인 경제를 갖고 있다면, 만약 여러분이 그런 경제를 갖고 있다면, 여러분은 【모두가 점점 더 많은 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가가 계속 오를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점점 더 많이 지불할】 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잠재적으로 물가에서 지속적인 상승을 볼 수 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분이 거품 경제【다시, 사람들이 〔이것이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을 구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이익을 남기고 이것을 팔 수 있도록〕 이것이 가격에서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그들이 추측하기 때문에〕 이것을 구입하고 있는】를 만들었을 때만큼』 빠르지 않을 것입니다.

Now, if you look a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you will see a phenomenon that you do not see that obvious in any other nation around the world, even though you do see it in other nations, but you see it especially in America, you see it time and time again. An obvious example is the stock market crash of 1929. Stocks had as such no value, or rather stocks have value in the sense that if you buy stock in a company that makes a profit, you are paid dividends. But what drove the growth in stock prices in the1920s was not that people were hoping to get dividends out of their stock. It was that the stock market was growing artificially because people kept buying on speculation that the prices would continue to go up, so they could make a short-term profit without doing anything.

자, 만약 여러분이 미국을 본다면, 여러분은 【세계 도처에 어떤 다른 국가에서 분명히 보지 못하는 현상】을 볼 것입니다, 비록 여러분이 다른 국가에서 이것을 볼지라도, 여러분은 【특히 미국에서】 이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반복해서】 이것을 봅니다. 분명한 예는 【1929년의 주식 시장의 폭락】입니다. 주식은 【그만큼 가치가 없었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주식은 【만약 여러분이 이익을 내는 회사에 주식을 구입한다면, 여러분에게 배당금이 주어진다는】 의미에서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1920년대에 주가에서 상승을 몰아붙인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주식에서 배당금을 받기를 희망하고 있었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어떤 것을 하지 않고 단기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사람들이 〔가격이 계속 올라갈 것이라는 추측으로〕 계속 구입했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인위적으로 올라가고 있었다는 것이었습니다.

You have seen so many times in different parts of the United States where there is a real estate bubble. All of a sudden real estate prices are going up. People are buying an apartment they know they do not actually have the income that they can afford to live in that apartment long term because the price is too high for the apartment. But they realize that they can live in it for at least a year or two and then they can sell it for a profit, they hope. But, of course, such a bubble cannot continue indefinitely. It is a pyramid scheme. There will come a point where those who started the cycle are smart enough to realize that it cannot continue much longer and then they start pulling their money out. There is a group of these top 1% or less, who know that they can drive these bubbles and they have done it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여러분은 【부동산 거품이 있는 미국의 다른 부분에서】 매우 여러 번 보았습니다. 갑자기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가격이 아파트에 비해 너무 비싸기 때문에〕 그들이 장기적으로 그 아파트에 살(live) 여유가 될 수 있는 수입이 실제로 없다는 것을 알면서】 아파트를 구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이 적어도 1년 혹은 2년 동안 이것(아파트)에서 살(live) 수 있고 그런 다음 그들이 이익(그들이 희망하는)을 내고 이것을(아파트) 팔 수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러나, 물론, 그런 거품이 【무기한으로】 계속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피라미드 책략】입니다. 【사이클(cycle)을 시작한 사람들이 〔이것이 더 오래 계속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기에 충분히 영리하고】 그런 다음 【그들이 그들의 돈을 빼내기 시작하는】 지점이 올 것입니다. 【그들이 이 거품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이 상위 1% 혹은 더 적은 집단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계속 반복해서】 이것을 했습니다.

They drive the bubble by putting their money into the stock market or into a real estate market and they make prices go up. Then they count on some of the people who are lower down on the food chain, who don't have as much money and who are not as ruthless, they will start buying hoping to make a short-term profit. They know this can only keep going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But in the meantime, they are having a lot of value added to their investments because their stocks or their properties go up. Then there comes a point where they think: “now is the time to pull out” then they start pulling out and all of a sudden when they start selling, the prices cannot be maintained, and the prices start going down and this can lead in many cases to a panic where there is a crash. This means that now the top 1% not only got their money out in time, they made a huge profit. But most people are the ones that are lower down on the food chain. They lost money, in many cases, all of their money because they had over-invested. This is what the power elite will do time and time again. This is what they have done time and time again and they will continue to do it until the people smarten up and demand that the politicians stop this kind of exploitation, for it is exploitation.

그들은 그들의 돈을 【주식 시장 혹은 부동산 시장에 넣는 것에 의해서】 거품을 일으킵니다 그리고 그들은 【가격이 올라가도록 만듭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먹이 사슬에서 훨씬 아래에 있고〕, 〔많은 돈을 갖고 있지 않고〕 그리고 〔무자비하지 않은〕】 일부 사람들에게 기대합니다, 그들은 【장기적인 이익을 얻기를 희망하면서】 구입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들은 【이것이 특정한 기간 동안만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에, 그들은 【그들의 주식 혹은 그들의 부동산이 올라가기 때문에】 그들의 투자에 추가된 많은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이 생각하는(: "이제 빠져나갈 때이다") 지점】이 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빼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그들이 팔기 시작할 때, 가격이 유지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가격은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많은 경우에】 폭락이 있는 패닉(극심한 공포)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제 상위 1%가 제때에 그들의 돈을 빼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먹이 사슬에서 훨씬 아래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과잉 투자했기 때문에】 돈(많은 경우에, 그들의 모든 돈)을 잃어버렸습니다. 이것이 【파워엘리트가 반복해서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그들이 반복해서 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견문을 넓히고 그리고 정치인들이 이러한 종류의 착취를 멈추도록 요구할(왜냐하면 이것이 착취이기 때문입니다)〕 때까지】 그들은 이것을 계속할 것입니다.

This is not a free market economy. A free market does not mean that the top 1% have complete freedom to exploit 90% of the population. This is not a free-market economy. You cannot maintain a free-market economy if you allow the ruthless people to seek to create monopolies and these bubbles, boom-and-bust cycles. What is it that really happens in such a boom-and-bust cycle? Well, what happens is that you are destroying the sense of community. You are creating a situation where individuals are only concerned about themselves. They are driven by greed. They want to make more and more money. They do not care that other people lose money. They do not care if society loses money. They do not care that all of those ordinary people who are working jobs that they do not make more money and do not increase their standard of living. They do not care about anything but themselves.

이것은 【자유 시장 경제】가 아닙니다. 자유 시장은 【상위 1%가 주민의 90%를 착취하는 완벽한 자유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자유 시장 경제】가 아닙니다. 만약 【여러분이 무자비한 사람들이 〔독점과 이 거품들, 호황과 불황 주기를 만들려고 시도하도록〕 허용한다면】 여러분은 자유 시장 경제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런 호황과 불황 주기에서 정말로 일어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일어나는 것은 【여러분이 공동체의 감각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개인들이 그들 자신에 대해서만 걱정하는 상황】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들은 【탐욕에 의해서】 몰아붙여집니다. 그들은 【점점 더 많은 돈을 벌기를】 원합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돈을 잃어버리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들은 【사회가 돈을 잃어버리더라도】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들은 【〔일하고 있는 이 모든 보통 사람들〕이 〔그들이 (더 많은 돈을 벌지 못하고) 그리고 (그들의 생활수준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 외에】 어떤 것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So you have the top elite who are completely blinded by their greed but then you have those who want to be part of the elite, those who want to be the Joneses and they try to get in and make a short-term profit. And they are usually the ones that are left holding the bag, as the saying goes. What happens here is that you have the most selfish, the most self-centered, the most egotistical, the most insensitive, the most narcissistic people in society who create these boom-and-bust cycles, partly by ruthless manipulation and partly by blind greed. But they have been allowed to do this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Now what happens when you start doing this? Well, for a time, it may seem as if the natural economy is growing alongside the bubble economy. You create an unnatural economy that is like an octopus sitting on top of the natural economy having its tentacles out everywhere seeking to siphon off profit and value upwards.

그래서 여러분은 【그들의 탐욕에 의해서 완전히 눈이 먼 상위 엘리트】를 갖고 있지만, 그다음에 여러분은 【엘리트의 일부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 유행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접근해서 단기 이익을 얻으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보통 【큰 손해를 보는 사람들】입니다, 격언처럼.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은 여러분이 【이 호황 불황 주기를 만드는〔부분적으로 (무자비한 조종에 의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눈먼 탐욕에 의해서)〕 사회에서 가장 이기적이고, 가장 자기중심적이고, 가장 독선적이고, 가장 무감각하고, 가장 자기도취증에 빠진 사람들】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계속 반복해서】 이것을 하도록 허용되었습니다. 자 【여러분이 이것을 하기 시작할 때 일어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한동안, 【마치 정상적인 경제가 거품 경제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은 【〔이익과 가치를 빨아올리려고 시도하면서〕 모든 곳에 its 촉수를 갖고 정상적인 경제의 꼭대기에 앉아 있는 문어】와 같은 비정상적인 경제를 만듭니다.

For a time, the natural economy can be growing. But then there comes a point where the unnatural economy keeps growing so much faster than the natural economy and there is a shift that happens where there is no longer sufficient focus on multiplying the talents. When I say multiplying the talents, I mean doing something that benefits everybody, which raises the entire level of the economy. When you artificially drive up real estate prices, you are not creating more value, you are not building more houses, you are not building bigger or nicer houses. You are just artificially inflating the prices of existing houses. Stocks are even worse! What is a stock certificate worth? It isn't worth the paper it is printed on, as they say.

한동안, 정상적인 경제가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경제가 【정상적인 경제보다 훨씬 빠르게】 계속 성장하는 지점이 옵니다 그리고 【일어나는 변화〔(재능을 증가시키는 것)에 더 이상 충분한 집중이 없는〕】가 있습니다. 내가 재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할 때, 나는 【모두에게 유익한 어떤 것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전체 경제 수준】을 올립니다. 여러분이 【인위적으로】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릴 때, 여러분은 【더 많은 가치】를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더 많은 집】을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더 큰 혹은 더 멋진 집】을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단지 기존 집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부풀리고 있습니다. 주식은 【훨씬 더 심합니다】! 주식 증서 가치가 무엇일까요? 이것은(주식) 【이것이(주식) 인쇄된 종이】의 가치도 없습니다,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When you create this artificial economy, what do you do? Well, you suspend the very principle that drives economic growth, which is what Jesus described in his parable about the talents where the three servants receive different numbers of talents. When you multiply something by doing something that benefits the whole, there is a multiplication from the spiritual realm. This is how an economy can actually grow and continue to grow. There can be sustained growth in the economy without any boom and bust, without any inflation, when it is a natural economy but this requires there to be a multiplication factor and when that multiplication factor is suspended by greed, then there will come that point where the economy goes into a bust. There is a crash. It can be no other way.

여러분이 【이 인위적인 경제】를 만들 때, 【여러분이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여러분은 【경제 성장을 이끄는 바로 그 원리】를 유예합니다, 이것은 【예수가 재능에 대한 그의 우화(세 하인이 다른 수의 재능을 받는)에서 묘사했던 것】입니다. 여러분이 【전체(whole)에 유익한 어떤 것을 하는 것에 의해서】 어떤 것을 증가시킬 때, 【영적인 영역으로부터 증식】이 있습니다. 이것이 【경제가 실제로 〔성장하고 그리고 계속 성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것이(경제) 정상적인 경제일 때 【어떤 호항과 불황 없이, 어떤 인플레이션 없이】, 경제에 지속된 성장이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은 【증식 요인이 있는 것】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증식 요인이 탐욕에 의해서 유예될 때, 경제가 불황에 빠지는 지점】이 올 것입니다. 폭락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없습니다.

Even if you did not have the multiplication factor, these boom cycles must come to an end because they are artificial. It is a pyramid scheme. It is dependent on more and more people putting more and more money into it and that cannot be done when just a small minority gets money out of the cycle. How can there be more and more money coming in when there is nothing going out? It cannot happen. Even from a practical level, these will have a limited lifespan. But especially when you consider this multiplication factor, it is clear that they will go down. So what happened in the 1930s? Well, the economy went into such a deep downward trend that it became as self-reinforcing as the upward trend had been in the 1920s. Those who still had money did not dare to invest it, didn’t dare to start a new business because they didn’t think they could make it. They did not think they could make money when so many people had lost their jobs and were unemployed and in many cases, they could not.

비록 여러분이 【증식 요인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이 호황 주기가 【끝나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이 인위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피라미드 책략】입니다. 이것은 【이것 안으로 점점 더 많은 돈을 넣고 있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극소수만이 주기에서 돈을 벌 때】 될 수 없습니다. 【나가는 아무것도 없을 때】 어떻게 들어오는 점점 더 많은 돈이 있을 수 있습니까? 이것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현실적인 수준에서조차, 이것들은 제한된 수명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특히 여러분이 이 증식 요인을 생각할 때, 【그것들이 내려갈 것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래서 1930년대에 일어났던 것은? 음, 경제가 【이것이(경제) 〔상향 추세가 1920년대에 있었던 만큼〕 자기 강화하게 되었을 정도로】 그런 깊은 하향 추세에 빠졌습니다. 【여전히 돈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것에 투자할 용기가 없었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용기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신들이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매우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직장을 잃어버렸고 그리고 실직했을 때】 그들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에, 그들은 할 수 없었습니다.

What was it that really happened? The unnatural economy destroyed the natural economy. The boom-and-bust cycle destroyed the natural economy so that the recession became much worse than it otherwise would have been. Did this matter to the top elite? No, because they had all the money they needed to continue living their lavish lifestyle. They had the money to wait it out until they could have the next cycle of boom where the economy was again growing. But what really happened here? What happened was that the sense of community was destroyed and now you had the recession where it was each man for himself and there wasn’t that willingness to help each other at the same level as there had been before. Again, this took down the multiplication factor continuing through the 1930s.

【정말로 일어났던 것】이 무엇이었을까요? 비정상적인 경제는 【정상적인 경제】를 파괴했습니다. 호황과 불황 주기는 【불경기가 그렇지 않으면 이것이(불경기) 있었을 때보다 훨씬 더 나빠졌을 정도로】 정상적인 경제를 파괴했습니다. 이것이 【상위 엘리트에게】 문제가 되었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그들의 호화로운 생활을 계속하기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돈】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다음 호황 주기(경제가 다시 성장하고 있는)를 가질 수 있을 때까지】 이것이 끝나기를 기다릴 돈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정말로 일어났던 것】이 무엇일까요? 【일어났던 것】은 【공동체의 감각이 파괴되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여러분은 【각자의 몫이었던 불경기】를 겪었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있었던 것처럼】 동일한 수준에서 서로 돕는 기꺼이 하는 마음이 없었습니다. 다시, 이것이 【1930년대까지 지속적인 증식 요인】을 끌어내렸습니다.

What turned it around? Unfortunately, what turned it around was World War II, where Americans had an external enemy that caused them to be united in fighting that enemy. This restored some of that community spirit, the willingness to sacrifice for the greater good, and that restarted or accelerated the spiritual acceleration factor so that the economy again started growing. This, unfortunately, was at an enormous human cost that had to be paid by those who were killed in the war, those who were hurt by the war and so on. What is it that then happened after the war? Well, there was a sense of community spirit that carried over into the decades after the war. There was this sense of a growing middle class who believed in the country, who believed in the system and who believed in the economy. They dared to invest and they dared to spend money, and the economy became a self-reinforcing upward cycle, mostly again because of this multiplication factor that people had.

【이것을 호전시켰던 것】이 무엇일까요? 불행하게도, 이것을 호전시켰던 것은 【2차 세계 대전〔미국인들이 (그들이 적과 싸움에 있어서 결속되도록 야기했던 외부의 적)을 갖고 있었던〕】이었습니다. 이것이 【일부 공동체 정신, 더 큰 선을 위해 희생하는 기꺼이 하는 마음】을 회복시켰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경제가 다시 성장하기 시작할 정도로】 영적인 가속 요인을 다시 시작하거나 가속했습니다. 불행하게도, 이것은 【전쟁으로 죽임을 당했던 사람들, 전쟁에 의해서 다치게 된 사람들, 기타 등등】에 의해서 지불되어야 했던 막대한 인간 비용을 지불했습니다. 그렇다면 【전쟁 이후 일어났던 것】이 무엇일까요? 음, 【전쟁 이후 수십 년까지 미치게 했던 공동체 정신의 감각】이 있었습니다. 【국가를 믿었고, 제도를 믿었고 그리고 경제를 믿었던】 【커지는 중산층의 이 감각】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투자할 용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돈을 소비할 용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로 사람들이 갖고 있었던 이 증식 요인 때문에】, 경제가 다시 자기 강화하는 상향 주기가 되었습니다.

But then from 1975 and forward, it was not just one thing, it was many things that the top elite managed to get through at the political level, that again started to restrict that multiplication factor. That is why the economy has stagnated, economic growth has stagnated, and again, this is partly driven by the people who are acting as individuals who have the competitive mindset, who want to be ahead of others, who want to have a privileged position and then prevent other people from challenging it. How can you, when you have attained a privileged position, prevent other people from challenging your position? Only when you restrict free competition, well, if you restrict free competition, you will also restrict the multiplication factor because when you restrict innovation, you restrict the willingness to serve people better, then the established businesses, and so on. You cannot maintain that cycle.

하지만 1975년부터 이후, 이것은 단지 한 가지가 아니었습니다, 【상위 엘리트가 가까스로 정치적인 수준에 닿았던】 많은 것들이 있었습니다, 그것이 【다시】 그 증식 요인을 제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경제가 침체되었고, 경제 성장이 침체되었던 이유】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이것은 부분적으로 【경쟁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고,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기를 원하고, 〔특권을 가진 지위를 갖고〕 그런 다음 〔다른 사람들이 이것에 도전하는 것을 막기를〕 원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추진됩니다. ​여러분은(여러분이 특권을 가진 지위에 도달했을 때)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지위에 도전하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습니까? 여러분이 【자유 경쟁】을 제한할 때만, 음, 만약 여러분이 【자유 경쟁】을 제한한다면, 여러분은 또한 【증식 요인】을 제한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혁신】을 제한할 때, 여러분은 【사람들에게 더 나은 것을 제공하려는 기꺼이 하는 마음】, 그런 다음 【확실히 자리를 잡은 기업】, 그리고 【기타 등등】을 제한합니다. 여러분은 【그 주기】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Once those people who want to attain a privileged position by using freedom, and then want to maintain the privileged position by restricting freedom once they get into power, then the multiplication factor goes down. And what you have seen now is simply this taken to an extreme that really is absurd. It is absurd to look at how much money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wealth of the top 0.1% of--you can’t say the American people, because they certainly don't see themselves as part of the American people and they don't act like it.

【자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특권을 가진 지위에 도달하기를 원하는 이 사람들이】, 그런 다음 【그들이 권력을 잡았을 때 〔자유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특권을 가진 지위를 유지하기를 원할 때】, 증식 요인이 중단됩니다(goes down). 그리고 여러분이 지금 본 것은 단지 【정말 터무니없는 극단으로 가져가진 이것】입니다. 【얼마나 많은 돈이 〔여러분이 (미국 사람들이라고 말할 수 없는), 왜냐하면 그들은 확실히 (미국 사람들의 일부로 그들 자신을 보지 않고) 그리고 그들이 (이처럼 행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상위 0.1%의 부(wealth)에 집중되었는지】를 보는 것은 어처구니없습니다.

My beloved, this can change in two ways: It can change by another bust that leads to an enormous downturn in the economy that will have enormous negative effects on the general population. It also will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top (1%) because they have created such a system now, that if it tumbles they will not be able to maintain the wealth like they did to a large degree in the 1930s. They simply will also lose, most of them. It will have enormous negative ramifications. This can lead to such a crisis situation that there is a violent revolution or uprising by the people. There could be a war scenario where America could get involved with foreign wars to such a degree that it becomes also very, very devastating and expensive. And this is one scenario. It is not an unrealistic scenario. I, of course, hold the vision that this will not come to pass, that the American people will have a shift, go through a shift where they will be willing to say: “We want to change.” And, therefore, there will be such an upwelling of determination on the part of the people, a majority of the people, that a critical mass of people become united by this one goal: to change the top-heavy, elitist economy. This can happen. But even this has more than one scenario. The ideal scenario is, of course, that the people will become united by a higher vision of how the economy could really function, as a natural economy that benefits everyone. But unfortunately, there is another scenario that also has a high probability and it is that the people will not be united by a higher vision. They will only be united by anger against what they come to see as a common enemy.

나의 사랑하는 이여, 이것은 【두 가지 방식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 대중에 엄청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제에서 엄청난 하강으로 이어지는】 【다른 불황】에 의해서 바뀔 수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상위 (1%)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지금 【만약 이것이 빠르게 하락한다면 그들이 1930년대에 크게 그랬던 것처럼 부(wealth)를 유지할 수 없는】 그런 제도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단지 잃어버릴 것입니다, 그들 대부분. 이것이 【엄청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들에 의한 폭력적인 혁명 혹은 폭동이 있는】 【그런 위기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이 또한 【매우, 매우 파괴적이고 그리고 돈이 많이 들게 되는 그런 정도까지】 외국 전쟁에 휘감길 수 있는 【전쟁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하나의 시나리오】입니다. 이것은 【비현실적인 시나리오】가 아닙니다. 물론, 나는 【이것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미국인들이 〔그들이 기꺼이 말하는("우리는 바뀌기를 원한다")〕 변화를 가지고, 변화를 겪을 것이라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따라서, 【임계 질량의 사람들이 〔이 하나의 목표(: 상부 비중 과잉의 엘리트 경제를 바꾸자)〕에 의해서 단결하게 되는】 일부 사람들, 다수의 사람들에 그런 결정의 용승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조차 하나의 시나리오보다 더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사람들이 〔모두에게 유익한 정상적인 경제로서 경제가 정말로 기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더 높은 비전에 의해서 단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또한 【높은 개연성을 갖고 있는 다른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람들이 〔더 높은 비전에 의해서〕 단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단지 【그들이 공통의 적으로 보게 되는 것에 대한 〔분노에 의해서〕】 단결할 것입니다.

Now, as Mother Mary said, the top 0.1%, most of them are fallen beings. Just a few are completely taken over by the fallen beings. They have created their positions and maintain them by dividing the people. There is always an inherent risk in doing this because there can come that shift, especially in today's media age with the internet, where the majority of the people come to see that the enemy is not another group of people, but the enemy is the power elite. The enemy is the elite that has divided the people into all of these warring groups. If the people are united by this vision and united by enough anger, then that can also lead to a not peaceful transition, but at least not as negative as if there is a crash in the economy first, where they demand change. This is, of course, not the highest. It is clearly a dualistic change. But as we have said before, sometimes there can be a situation where the higher vision simply is not possible because not enough people can grasp it. So they must be allowed to outlive their consciousness.

자, 성모 마리아가 말한 것처럼, 【상위 0.1%, 그들 대부분】은 추락한 존재들입니다. 소수만이 【추락한 존재들에 의해서】 완전히 장악되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지위를 만들었고 그리고 사람들을 나누는 것에 의해서 그것들을 유지합니다】. 【이것을 함에 있어서】 항상 내재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특히 오늘날의 인터넷을 가진 매체(media) 시대에, 【다수의 사람들이 〔적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아니라〕, 〔적이 파워엘리트라는〕 것을 보게 되는】 【그런 변화】가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은 【사람들을 이 모든 전쟁 중인 집단으로 나눈 엘리트】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이 비전에 의해서 단결하고 그리고 충분한 분노에 의해서 단결한다면】, 이것은 또한 【평화적이지 않지만, 적어도 〔그들이 변화를 요구하는 경제에서〕 먼저 폭락이 있는 만큼 부정적이지 않은】 이행(transition)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최상이 아닙니다. 이것은 분명히 【이원론적인 변화】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충분한 사람들이 이것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더 높은 비전이 단지 가능하지 않는】 【상황】이 가끔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의 의식을 극복하도록(outlive)】 허용되어야 합니다.

Right now there are too many Americans who are into this divisive state of mind, where they do not want to look at themselves. They want to point to another group of people as the enemy. If they become united and point to the power leaders, the enemy, this could also lead to change, not the highest form of change but certainly it can lead to change. It will, of course, not in the long run solve the problems because only a higher vision will solve the problems, because this will not really overcome division. The people can be united against a common enemy, as they were in their fight against the Nazis and the Japanese, but this did not mean that all division in the American society had now been overcome, as you can clearly see today. Even if the people are united against the elite, this will not, of course, overcome all forms of division, but there will be the stage set for another conflict further down the road. Nevertheless the scenario must be allowed to outplay itself.

지금 당장 【그들이 그들 스스로 보기를 원하지 않는】 【이 분열을 초래하는 마음 상태】를 좋아하는 너무 많은 미국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른 집단의 사람들을 적으로】 지목하기를 원합니다. 만약 그들이 【단결되고 그리고 권력 리더(power leaders), 적을 가리킨다면】, 이것이 또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상의 형태의 변화가 아니지만 확실히 이것은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장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입니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정말로】 분열을 극복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공통의 적에 맞서】 단결될 수 있습니다【그들이 〔나치 당원들〕과 〔일본인들〕에 맞서 그들의 싸움 안에 있었던 것처럼】, 그러나 이것이 【미국 사회에 모든 분열이 이제 극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습니다【여러분이 오늘날 〔분명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비록 사람들이 【엘리트에 맞서】 단결될지라도, 물론, 이것이 【모든 형태의 분열】을 극복하지 못하겠지만, 【앞으로】 다른 갈등의 무대가 마련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나리오가 자체를 상연하도록(outplay) 허용되어야 합니다.

You have already seen the beginning of what can happen with these demonstrations against police brutality. You see from this there is an anger in the people. Many, many people have accumulated anger, and a large part of this anger comes from the fact that they know, even if they do not consciously acknowledge this, that they cannot maintain their middle class standard of living. That something has happened so they are losing income, they are losing wealth, their standard of living is being steadily eroded. They don’t know what to do about it. They don’t know what the cause is. So they have the anger, and when they see a way to take this anger out, well, then you see these riots and demonstrations.

여러분은 이미 【경찰 야만성에 반대하는 이 시위들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의 시작을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에서】 【사람들 안에 분노가 있다는 것】을 봅니다. 많고, 많은 사람들은 【분노】를 축적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이 분노는 그들이 【그들이 〔그들의 중산층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비록 그들이 〔이것을 의식적으로〕 인정하지 못할지라도】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그 어떤 것】이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소득을 잃고 있습니다】, 그들이 【부를 잃고 있습니다】, 그들의 생활 수준이 【꾸준히 무너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것에 대해 무엇을 할지】 알지 못합니다. 그들은 【원인이 무엇인지】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분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이 분노를 내놓는 방법】을 볼 때, 음, 여러분이 【이 폭동과 시위】를 봅니다.

Now again, there is, of course, no question that police brutality has gone too far, and it is both valid and within the democratic rights that people protest against this peacefully. But because of the anger you can see that it is often difficult to keep those protests peaceful. You can also see that the police are enveloped in what we have called a collective entity of anger against the people. That is why you see this police brutality that keeps going. Even after the first demonstrations there were still shootings, completely unnecessary shootings. How can it be necessary to shoot a person in the back seven times? You can only say that police officer’s mind was overtaken by a collective entity, but there was no rational thought in this person's mind. And despite all of the protests that have been taking place, it still happened.

자 다시, 물론, 【경찰 야만성이 도를 넘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평화적으로 이것에 대해 항의하는 것】은 【타당하고 그리고 민주적인 권리 안에 있습니다】. 그러나 【분노 때문에】 여러분은 【이 항의를 평화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보통〕 어렵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경찰이 〔우리가 국민에 대한 분노의 집단적인 실체(entity)라고 불렀던 것〕에 뒤덮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계속해서 이 경찰 야만성을 보는 이유】입니다. 심지어 【첫 번째 시위 이후】 여전히 총격이 있었습니다, 완전히 불필요한 총격. 【뒤에서 일곱 번 사람을 쏘는 것】이 어떻게 필요할 수 있습니까? 여러분은 【경찰관의 마음이 집단적인 실체(entity)에 의해서 장악되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이 사람의 마음에 합리적인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일어나고 있었던 모든 항의】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여전히】 일어났습니다.

There is no rational explanation for this other than the accumulated anger, and it is just a matter of time when this reaches this level where the government will not be able to stop it. They can put in the National Guard, they can put in Special Forces, they still will not be able to stop it, I guarantee you. If they attempt to stop it by force, well,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some dictatorship that America claims to be far above? You see the dilemma that America is in, which is why Mother Mary said: “Right now America is ungovernable.” How do you maintain law and order if too many people are rioting? How can you do it and still maintain some kind of democratic principles? My beloved, it cannot be done. It is an impossible situation. Is there a way out?

【축적된 분노보다】 이것에 대한 다른 합리적인 설명은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정부가 이것을 멈출 수 없는 이 수준에 도달하는 것】은 단지 시간문제입니다. 그들은 【주방위군】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특수 부대】를 투입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이것을 멈출 수 없을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보장합니다. 만약 그들이 【힘으로】 이것을 멈추려고 시도한다면, 음, 【미국】과 【미국이 훨씬 위에 있다고 주장하는 일부 독재 국가】 사이에 차이가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미국이 있는 딜레마】를 봅니다, 이것이 【성모 마리아가 말한 이유】입니다: "지금 미국은 통치할 수 없습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면】 여러분이 어떻게 법과 질서를 유지합니까? 여러분이 어떻게 【이것을 하고 그리고 계속해서 어떤 종류의 민주적인 원칙을 유지할 수 있습니까】? 나의 사랑하는 이여,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출구가 있을까요?

Well, certainly there is a way out. There is more than one way out. But it is a shift in the minds of the American people, where they begin to look at what divides them and they begin to connect to this basic humanity that we have talked about so many times. What is it you have in a true community? You have that sense of humanity. It can be a community like the first settlers in America, who were very poor, who were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in a hostile environment that they did not know, and they were united by their need to even survive. But still there was that recognition of the basic humanity: “We are in this together. We can only survive by helping each other. We cannot survive by fighting each other or competing with each other.” So this can be something that can emerge, where there are people who look at the riots, look at the government's response and say: “Now wait a minute. This has gone too far. Can’t you see that this has gone too far? We need to stop this. This is not what America is all about. This is not what a democracy is all about and this is definitely not the way to move America towards a better future.”

음, 확실히 【출구가 있습니다】. 출구가 【하나보다 더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미국인들의 마음 안에서 변화】입니다【그들이 〔그들을 나누는 것〕을 보기 시작하고 그리고 그들이 〔우리가 매우 여러 번 말한 이 기본적인 인간애〕에 연결되기 시작하는】. 【여러분이 참된 공동체에서 갖고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그 공동체의 감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에 최초 정착민〔매우 가난했고, 그들이 알지 못했던 적대적인 환경에서 매우 어려운 상황 안에 있었고, 그리고 그들이 심지어 생존하기 위한 그들의 필요에 의해서 단결되었던〕과 같은 공동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기본적인 인간애의 인정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함께】 이 안에 있다. 우리는 【서로 돕는 것에 의해서만】 생존할 수 있다. 우리는 【〔서로 싸우거나〕 〔서로 경쟁하는〕 것에 의해서】 생존할 수 없다". 그래서 이것이 【생겨날 수 있는 어떤 것】일 수 있습니다『【폭동을 보고, 정부의 대응을 보고 그리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 "자 잠깐 기다리세요. 이것은 【도를 넘었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이 도를 넘었다는 것】을 볼 수 없습니까? 우리는 【이것을 멈추어야 합니다】. 이것이 【미국의 전부가 아닙니다】. 이것이 【민주국가의 전부가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은 확실히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미국을 이동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If enough people will form a counterweight for this, then there can be a shift. There can be a shift away from division, where people begin to unite and say: “We simply cannot allow this downward spiral to run amok. We need to stop it, and we need to stop it now.” There is a real potential that this can happen. As Mother Mary said, many, many people in America are aware of these things.

It will not be news for them if they read this dictation, because they have these ideas already in their minds. Of course, they got them from us because they were tuned into us, even though they have never heard of ascended masters and don’t need to. But they are there. It can happen. The potential is there.

만약 충분한 사람들이 【이것에 대해 균형을 이룬다면】,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분열로부터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사람들이 〔단결해서 그리고 말하기〕 시작하는: "우리는 그야말로 〔이 하향 나선이 미친 듯이 날뛰도록〕 허용할 수 없다. 우리는 〔이것을 멈추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이것을 멈추어야 한다"】. 【이것이 일어날 수 있는 진정한 잠재력】이 있습니다. 성모 마리아가 말한 것처럼, 【미국에 많고, 많은 사람들】은 이것들을 알고 있습니다. 【만약 그들이 이 딕테이션을 읽는다면】 이것은 그들에게 새롭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마음속에】 이미 이 개념들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들이 우리에게 조율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에게서 그것들을 얻었습니다, 비록 그들이 【상승 마스터에 대해】 결코 듣지 못했을지라도 그리고 들을 필요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거기에 있습니다. 이것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잠재력이 있습니다.

Now the question that I present to you who are direct students is: “Will you be the forerunners for this happening? Will you be those people who can tip the balance in that direction?” If so, you must yourselves overcome this division. You must overcome the divisive mindset where some of you, in fact too many of you, have been pulled into the entire mindset, the epic mindset: “This party is right. The other party is completely wrong. This president is the only one who can save America. That President will take it to hell.” All of this mindset. If you want to be forerunners for a positive shift towards the golden age, you need to take a look at yourselves, and you need to look at why you have been pulled into this mindset. You need to recognize that it is a fear-based mindset. It is the epic mindset that we have given so many teachings about. You may have studied these teachings, you may think you understand them intellectually, but you have still been pulled in by these selves you have from past lives, in many cases going back to your cosmic birth trauma. They are fear-based selves. There is some kind of fear you have that made you vulnerable to being pulled into this entire mindset of scapegoating, seeing other people as the problem.

자 【내가 직접적인 학생들인 여러분에게 제시하는 질문】은 【"여러분이 이것이 일어나기 위한 선구자가 될 것인가? 여러분이 그 방향으로 국면을 바꿀 수 있는 이 사람들이 될 것인가?"】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이】 이 분열을 극복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분열을 초래하는 사고방식【여러분 중의 일부〔사실은 (너무 많은 여러분)〕가 〔전체 사고방식〕, 〔서사시적인 사고방식〕 안으로 끌어당겨졌던: "이 정당이 옳다. 다른 정당은 완전히 틀렸다. 이 대통령이 〔미국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대통령〕이다. 저 대통령은 이것을(미국) 지옥으로 데려갈 것이다"】을 극복해야 합니다. 이 모든 사고방식. 만약 여러분이 【황금시대를 향한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선구자】가 되고 싶다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 사고방식 안으로 끌어당겨졌던 이유】를 보아야 합니다. 여러분은 【이것이 두려움에 기초한 사고방식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매우 많은 가르침을 주었던 서사시적인 사고방식】입니다. 여러분은 【이 가르침】을 공부했을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것들을 지적으로 이해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여러분은 여전히 【여러분이 과거 삶에서〔많은 경우에 여러분의 우주 출생 트라우마로 거슬러 올라가는〕 갖고 있는 이 자아들에 의해서】 끌어당겨졌습니다. 그것들은 【두려움에 기초한 자아들】입니다. 【여러분이 전가(scapegoating)〔다른 사람들을 문제로 보는 것〕의 이 전체 사고방식 안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에 취약하게 만든】 【여러분이 갖고 있는 어떤 종류의 두려움】이 있습니다.

You can only be forerunners if you use the tools and teachings we have given you to pull yourself out of this, to overcome these fear-based selves. My beloved, the solution is not that you change other people or change the country. The solution is that you change yourself. You have selves that are projecting that an outer change must happen. You will not be free of those selves until you realize that it is not a matter of fighting for that outer change to happen, feeding your energy into it day in and day out by reading these conspiracy theories or websites that are based by fear and anger. It is a matter of seeing that this comes from a self and letting that self die. Only then will you be free. And if you are not free, my beloved, how can you be in tune with the mind of Saint Germain? For I certainly am free. Some of you think that fighting this epic battle, where you are feeding your energy day in and day out into these collective entities, that this is being in attunement with the mind of Saint Germain. I tell you it is not. How can you know? If you are willing to be honest, you will see that this mindset takes away your mental freedom, your emotional freedom, your identity-level freedom. You are not free. Therefore you cannot be in attunement with me, for I am free, in fact, I AM freedom.

【만약 여러분이 〔이것 밖으로 여러분 자신을 끌어당기기 위해, 이 두려움에 기초한 자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여러분에게 준 도구와 가르침을 사용한다면】 여러분은 선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나의 사랑하는 이여, 해결책은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을 바꾸거나 국가를 바꾸는 것】이 아닙니다. 해결책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바꾸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외적인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고 투사하고 있는〕 자아들】을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것이 【일어날 그 외적인 변화를 위해 싸우고, 〔두려움과 분노에 근거한 이 음모론 혹은 웹사이트를 읽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의 에너지를 날이면 날마다 이것 안으로 공급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여러분은 이 자아들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은 【이것이 자아에서 비롯되는 것을 보고 그리고 그 자아가 죽게 하는】 문제입니다. 그때서야 여러분은 자유로울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자유롭지 않다면】, 나의 사랑하는 이여, 여러분이 어떻게 【성 저메인의 마음과 조율 안에】 있을 수 있습니까? 나는 확실히 자유롭기 때문에, 여러분 중의 일부는 【이 서사시적인 전투를 벌이는 것〔여러분이 (여러분의 에너지를 날이면 날마다) 이 집단적인 실체(entities) 안으로 공급하고 있는〕】이 【이것이 성 저메인의 마음과 조율 안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이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만약 여러분이 【기꺼이 정직하다면】, 여러분은 【이 사고방식이 〔여러분의 정신적인 자유, 여러분의 감정적인 자유, 여러분의 정체성 수준의 자유〕를 없앤다는 것】을 볼 것입니다. 여러분은 【자유롭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나와 조율 안에 있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사실은, 【나는 자유입니다】.

Now, my beloved, we have said this before. I do not know how much more clearly we can say it. But I do know that the law will not allow us to continue to say this indefinitely. There comes a point where we must leave those students behind who will not hear the message, and, of course, we will. We respect free will. We will leave you behind. As you have seen, we have left students behind over and over again. Or rather, they have left themselves behind by choosing not to transcend themselves. We are the ascended masters, but how did we become ascended? By transcending ourselves and I can assure you, as we have said many times, there is continued self-transcendence in the ascended realm. You can go back to the 1930s and read the dictations that were valid dictations at the time, given by Saint Germain through Guy Ballard. You can be inspired by them. There is still much of value there. But if you believe that the Saint Germain that I am today is the same as the Saint Germain that spoke through Guy Ballard in the 1930s, then you have not locked in to my ever-transcending presence. For I have transcended myself millions of times since the 1930s.

자, 나의 사랑하는 이여, 우리는 이전에 이것을 말했습니다. 나는 【우리가 이것을 얼마나 더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나는 【법칙이 우리가 이것을 무한정 계속 말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메시지를 듣지 않을 이 학생들】을 두고 가야 하는 지점이 옵니다, 그리고, 물론, 우리는 그럴 것입니다. 우리는 【자유의지】를 존중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을 두고 갈 것입니다】. 우리가 본 것처럼, 우리는 【반복해서】 학생들을 두고 갔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그들은 【그들 자신을 초월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그들 자신을 두고 갔습니다. 우리는 상승 마스터들이지만, 우리가 어떻게 상승하게 되었을까요? 【우리 자신을 초월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나는 여러분에게 장담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여러 번 말한 것처럼, 【상승한 영역에 지속적인 자기 초월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그리고 〔가이 발라드를 통해서 성 저메인에 의해서 주어진〕 그 당시에 유효한 딕테이션이었던 딕테이션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들에 의해서】 영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거기에 여전히 많은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오늘날 나인 성 저메인이 1930년대 가이 발라드를 통해서 이야기했던 성 저메인과 동일하다고】 믿는다면, 여러분은 【나의 항상 초월하는 현존(presence)】에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1930년대 이후 수백만 번】 나 자신을 초월했기 때문입니다.

How many times have you transcended yourself since you were in embodiment in the 1930s? How many times are you willing to transcend yourself for the rest of this embodiment? When I transcend myself, if you are not transcending yourself, you cannot keep up with me. You cannot keep your connection with me. It is not that I am leaving you behind, that I am rejecting you. It is that you are rejecting me. For I cannot and I will not stagnate so that you can maintain your present level of identity and have an excuse for not transcending it. That would be against the law, the cosmic law, for an ascended master to do so. We cannot stagnate because a group of students decides to stagnate. We cannot be the same today, and we cannot say the same today, as we did during those years of the Summit Lighthouse, where we gave many valid dictations that still have value. But they are not given from the level of consciousness that we are at today. And if we gave teachings today from that level of consciousness, we would not be the ascended masters. We would be the false hierarchy imposters, who are imitating what was given back then. They cannot imitate what we are today because they cannot transcend themselves. But they can imitate a past image, a past level of consciousness to some degree, at least enough to fool some people who cannot read vibration and were not transcending themselves and therefore cannot see the need for the teaching to transcend itself.

【여러분이 1930년대에 구체화(embodiment) 안에 있었던 이후】 여러분이 얼마나 여러 번 여러분 자신을 초월했을까요? 【이 구체화(embodiment)의 나머지 동안】 여러분이 얼마나 여러 번 여러분 자신을 기꺼이 초월할까요? 내가 【나 자신】을 초월할 때,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초월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나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나와 여러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내가 여러분을 두고 가고 있고, 내가 여러분을 거절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나를 거절하고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재 정체성 수준을 유지하고 그리고 이것을 초월하지 않기 위한 변명을 가질 수 있도록〕】 나는 침체될 수 없고 나는 침체되지 않을 것입니다. 【상승 마스터가 그렇게 하는 것】은 법칙, 우주 법칙에 반할 것입니다. 우리는 【한 집단의 학생들이 침체되기로 결정하기 때문에】 침체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오늘】 똑같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오늘】 똑같이 말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서밋 라이트하우스의 그 시절 동안】 했던 것처럼【우리가 〔여전히 가치가 있는 많은 유효한 딕테이션〕을 주었던】. 그러나 그것들은 【우리가 오늘날에 있는 의식 수준에서】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그 의식 수준에서】 오늘날 가르침을 준다면, 우리는 상승 마스터들이 아닐 것입니다. 우리는 【그 당시 주어진 것을 모방하고 있는 거짓 계층 사기꾼】일 것입니다. 그들은 【우리가 오늘날 있는 것】을 모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 자신을 초월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어느 정도【적어도 〔진동을 읽을 수 없고 그리고 그들 자신을 초월하고 있지 않고 따라서 자신을(itself) 초월하는 가르침의 필요성을 볼 수 없는〕 일부 사람들을 속이기에 충분한​】 과거 이미지, 과거 의식 수준을 모방할 수 있습니다.

There are ascended master students, or rather there are people who call themselves ascended master students, who are in the same mindset that I started speaking about. They have reached a certain position where they feel they are ahead of others, and now they want to stay ahead of others by holding other people back. You have seen this in every organization we have sponsored. A certain group of people, often among the first to come into the organization, or those who had sacrificed a lot to gain a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suddenly did not want new students to come in and raise their consciousness to a higher level. So they try to in various ways keep these new students down, keep them in their place, so that they could still be the elite.

【상승 마스터 학생들이 있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그들 자신을 상승 마스터 학생이라고 부르고, 내가 말하기 시작한 동일한 사고방식 안에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특정한 위치【그들이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 있다고〕 느끼고, 그리고 이제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제지하는 것에 의해서〕 다른 사람들보다 계속 앞서기를 원하는】에 도달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후원한 모든 조직에서】 이것을 보았습니다. 【특정한 집단의 사람들】, 흔히 조직에 먼저 온 사람들 가운데, 혹은 【조직에서 지위를 얻기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한 사람들은】, 갑자기 새로운 학생이 【들어와서 그리고 더 높은 수준으로 그들의 의식을 올리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이 계속해서 엘리트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 새로운 학생들을 억제하고, 그들의 위치에 그들을 유지시키려고】 노력합니다.

This is not an acceptable state of consciousness in an ascended master organization, and it is why we have stopped several organizations, stopped sponsoring them, because we could no longer sponsor these students in their mindset. So we must move on. We must be completely at peace, and we are completely at peace, with the fact that some students will not move on with us. This was a hard lesson to learn for this messenger, who wanted to help everybody and wanted to be able to help everybody, and thought he should be able to help everybody, and thought that if he could not help everybody,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him. But by working on his cosmic birth trauma, and some selves that he had brought with him from a natural planet, he has been willing and able to transcend it and recognize that he too must be completely at peace when some students leave. And when they then turn around and accuse him of no longer being a messenger and no longer having contact with the real masters, and the same old song and dance that we have heard so many times over the last hundred years.

이것은 【상승 마스터 조직에서 용인되는 의식 상태】가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몇몇 조직을 중단했고, 그들을 후원하는 것을 중단했던】 이유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들의 사고방식에서】 이 학생들을 더 이상 후원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동해야 합니다. 우리는 【일부 학생들이 우리와 함께 이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과 함께 완전히 평화로워야 합니다. 이것은 【모두를 돕기를 원했고 그리고 모두를 도울 수 있기를 원했던, 그리고 그가 모두를 도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그리고 만약 그가 모두를 도울 수 없다면, 그에게 잘못된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했던】 이 메신저가 배우기 어려운 교훈이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우주 출생 트라우마】, 그리고 【〔그가 정상적인 행성에서 그와 함께 가져왔던〕 일부 자아】에 대해 작업하는 것에 의해서, 그는 【이것을 기꺼이 초월했고 초월할 수 있었고 그리고 〔그 또한 일부 학생이 남을 때 완전히 평화롭게 있어야 한다는 것〕을 기꺼이 인정했고 인정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다음 그들이 『【돌아서서】 그리고 【더 이상 메신저가 아니고 그리고 더 이상 〔진짜 마스터들〕과 〔우리가 지난 수백 년 동안 매우 여러 번 들었던 동일한 오래된 노래와 춤〕과 접촉하지 않는 것에 대해 그를 비난할 때】』.

My beloved, this is what I wanted to give you for now. It is a big mouthful. It bears studying many times, not with the mind, not with the intellect, but with the heart. But it can set you free so that you can be those forerunners for that shift that will bring America closer to the Golden Age of Saint Germain.

나의 사랑하는 이여, 이것이 【내가 우선은 여러분에게 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한 입 가득 찼습니다. 이것은 【여러 번 공부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음으로가 아니라, 지적 능력으로가 아니라, 【가슴으로】. 그러나 【여러분이 〔미국을 성 저메인의 황금시대에 더 가까이 데려가는 그 변화를 위한〕 이 선구자들이 될 수 있도록】 이것이 여러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0 by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