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비교적 새로운 세계관

의식 성장 2021. 5. 6. 23:31

"악의 심리학"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상대성 이론(그리고 its 기본적인 공식, E=mc2)】이 실제로 우리에게 무엇을 말할까요? 아인슈타인 이전에, 과학자들은 【매우 구체적인 세계관】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을 이원론적인 견해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세상이 〔두 가지 근본적으로 다른 실체(substances) 혹은 요소 - 즉 물질에너지〕로 구성되었다고】 믿었습니다. ​물질은 【내부 부분이 없고 따라서 나눌 수 없는】 【〔축소된 당구공과 같은〕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었습니다. 에너지는 『【〔끊임없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 그리고 【〔거의 무한정〕 나누어지거나 바뀔 수 있는】』 파동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물리학자들은 【〔에너지와 물질〕이 〔하나가 다른 것으로 전환될 수 없을 정도로〕 근본적으로 매우 다르다고】 절대적으로 확신했습니다.

 

이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물 한 잔을 가져다가 그리고 이것에 약간의 소금을 부으세요. 여러분은 【잔의 바닥에 소금 입자】를 볼 수 있지만, 만약 여러분이 【물】을 젓는다면, 【소금 결정체】가 사라지고 그리고 여러분은 물만 봅니다. 이것은 【소금이 이제 물로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소금 결정체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 그것들이 물에 의해서 용해되었습니다) (미세한 소금 분자)가 물과 혼합된〕 화학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였던〕 소금 결정체】가 【〔보이지 않는〕 더 작은 부분】으로 분산되었습니다. 【소금의 분자】가 【물의 분자】와 섞였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눈】이 물만 봅니다.

 

만약 여러분이 【물을 냄비에 붓고 그리고 이것을 끓인다면】, 물은 증발할 것입니다 그리고 【소금 결정체】가 【냄비 바닥에】 다시 나타날 것입니다. 【물과 소금】은 섞일 수 있지만, 다른 것으로 전환될 수 없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소금이 물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한다면, 【아인슈타인 이론 이전의 어떤 과학자도】 『【여러분을 비웃고】 그리고 【여러분을 〔(〈그들이 납을 금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 중세 연금술사〕와 비교했을 것입니다】』. 아인슈타인 이후, 더 이상 멸시의 어떤 근거도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의 간단한 공식〕이 입증하는 것】은 【〔이원론적인 세계관〕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물질과 에너지】는 근본적으로 다른 요소가 아닙니다. 【〔등호의 한쪽에 에너지(E)〕 그리고 〔다른 쪽에 질량 혹은 물질(m)〕】을 놓는 것에 의해서, 아인슈타인은 【〔물질〕이 정말로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리고 역으로도. 【〔아인슈타인의 연구에서 나오는〕 더 깊은 이해】는 【〔모든 것〕이 〔에너지〕로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틀리지 않습니다. 물질은 『【〔파동처럼〕 더 이상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지만】, 【〔(정지된 형태의 진동), (에너지 장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포획된】 에너지의 한 형태』입니다.

 

【우리가 물질이라고 부르는 것】은 【〔우리의 감각적인 지각에 근거한〕 정신적인 구조물】입니다. 【우리의 감각】은 【바위의 에너지 장에 극히 빠른 진동】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고체로】 감지합니다. 【이것】을 【여러분의 눈이 〔(프로펠러 날)을 볼 수 없지만〕 〔("단단한" 원반)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빨리 회전하는) 비행기 프로펠러〕를 보는 것】과 비교해보세요. 바위는 단지 【〔끊임없이 진동하고 있는〕 에너지 장】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몸〕과 〔전체 지구 몸〕】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물질로 보는 것】은 정말로 【에너지의 바다】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가진 문제】는 바로 【이것이 〔우리의 감각적인 경험〕을 반박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과학자들조차〕 〔이론의 철학적인 함의〕에 저항하는 이유】입니다. 【이 함의들】은 【우리가 〔(우리의 감각에 근거한) 세계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정말로 이것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수천 년 동안 갖고 있었던〕 세계관】. 【이 감각에 기초한, 이원론적인 세계관】은 쓸모없습니다 - 그리고 이것은 【악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한 심오한 함의】를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