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금지된 과일을 이해하기

의식 성장 2021. 6. 13. 19:37

<원문>

 

https://askrealjesus.com/the-way-of-christ-versus-the-way-of-anti-christ/

 

 

The story of the Garden of Eden talks about a forbidden fruit that Adam and Eve were not allowed to eat. The serpent deceived Eve into eating the fruit by telling her that it would make them as gods, knowing good and evil. Maitreya explains this in great depth in his book, but the essence of the teaching is that the “forbidden fruit” is linked to the process of defining your own role. It was not that this was actually “forbidden,” but because it was a very subtle and difficult initiation, it was reserved for the most advanced students. If a student took this initiation too early, it was very likely to become trapped in the role it had defined. It would then become susceptible to the belief that it could not get out of it by its own power.

【에덴의 정원의 이야기】는 【금지된 과일】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이브】가 먹도록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뱀은 【그녀에게 〔그것이 (그들을 선과 악을 아는 하나님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 의해서】 이브를 속여서 과일을 먹게 했습니다. 마이트레야는 【그의 책에서】 아주 깊이 설명하지만, 【가르침의 본질】은 【〔"금지된 과일"〕이 〔여러분 자신의 역할을 정의하는 과정〕과 연관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실제로 "금지된" 것】이 아니었지만, 【그것이 매우 미묘하고 어려운 입문】이었기 때문에, 그것은 【가장 상급의 학생들】을 위해 따로 두어졌습니다. 만약 학생이 이 입문을 너무 쉽게 받아들인다면, 그것이(학생) 『【〔그것이(학생) 정의한〕 역할】에 가두어질 가능성』이 정말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그것은(학생) 【그것이(학생) 〔its 자신의 힘으로〕 그것(역할)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믿음에 영향을 받기 쉬워질 것입니다.

Do you see why this is so? When you have the experience that you projected yourself into a predefined role, then it is easy to remember that you have an existence outside the role and can thus project yourself back out of the role. Yet when you create the role around you, then you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projecting yourself into it and you have no frame of reference. And thus,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realize that you have the ability to project yourself out of the role and back into pure awareness. Instead, you can begin to believe that you are not pure awareness, you ARE the role, the whole role and nothing but the role.

여러분은 이것이 그런 이유를 봅니까?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미리 정의된 역할〕로 투사한】 경험을 갖고 있을 때, 『여러분이 【〔역할 바깥에서〕 존재(existence)를 갖고 있고】 따라서 【여러분 자신을 〔역할 밖으로 다시〕 투사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쉽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여러분 주위에 역할】을 만들 때,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그것(역할)〕에 투사하는 경험】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준거 틀】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역할 밖으로 여러분 자신을 투사하고) 그리고 (순수한 인식으로 물러설)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더 어려워집니다. 대신에, 여러분은 『【여러분이 〔순수한 인식〕이 아니고】, 【여러분이 〔역할이고〕, 〔전체 역할이고〕 그리고 〔역할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라고〕】』 믿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It was the teacher’s role to prepare a student for taking the initiation of defining its own role, yet making sure the student could transcend it after it had had enough of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it. How did Maitreya do this? You might think that a teacher in a spiritual schoolroom would stand and lecture in front of the whole class, and Maitreya did indeed do this. You might think the teacher would give students one-on-one sessions, where he would give them personal feedback, and Maitreya did this also.

『【its 자신의 역할을 정의하는 입문을 받아들이고】, 【〔(그것이〈학생〉 그것을〈역할〉 통해서 세상을 충분히 경험한 이후) 학생이 그것을 초월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하는 것】에 대해』 학생을 준비시키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었습니다. 마이트레야가 어떻게 이것을 했을까요? 여러분은 【〔영적인 교실에 교사〕가 〔전체 학급 앞에〕 서서 그리고 강의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트레야】는 정말로 이것을 했습니다. 여러분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그가 그들에게 개인적인 피드백을 줄〕 1 대 1 세션을 열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트레야는 이것 또한 했습니다.

Yet here is how Maitreya really “taught” and why he is called the Great Initiator. Take a typical new student. The student decides to try on a particular role, and it then makes choices and performs actions through that role. If you take on the role of Hamlet, you might do what the character did, or you might decide to defend your life by first striking those planning to kill you. Yet how do you then learn from your actions? You learn by evaluating your actions, but here is the subtle point.

하지만 (여기에) 『【〔마이트레야가 (실제로) "가르친"〕 방법】과 【〔그가 위대한 전수자(Initiator)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습니다. 전형적인 새로운 학생을 예로 보겠습니다. 학생은 【특정한 역할을 해보기로】 결정합니다, (그런 다음) 그것은(학생) 【〔선택하고〕 그리고 〔그 역할을 통해서 행동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햄릿의 역할】을 맡는다면, 여러분은 【캐릭터가 했던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여러분은 【〔여러분을 죽이려고 계획하는 사람들〕을 먼저 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의 생명을 지키기로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의 행동에서 배울까요? 여러분은 【여러분의 행동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서】 배우지만, 여기에 미묘한 점이 있습니다.

You cannot actually evaluate the actions taken through a given role while you are still seeing the world from inside that role. Because any action you performed while seeing the world from inside the role will seem justified, necessary or the only possible choice. So you learn only by evaluating your actions based on a frame of reference that is outside the role. This frame of reference is, of course, Maitreya. Instead of you looking at your actions from inside the role, Maitreya will give you the perspective of how he looks at your actions from outside the role. And he will also give you his Spirit of Kindness, so you know that even if you did something that was not the highest choice, you are still loved by the teacher and you can simply undo your past choices by making better choices.

여러분은 (실제로) 【여러분이 여전히 〔그 역할 안에서〕 세상을 보고 있는 동안】 【특정한 역할을 통해서 취해진 행동】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역할 안에서 세상을 보면서〕 여러분이 행한 어떠한 행동】도 【정당하고, 필요하고 혹은 가능한 유일한 선택】처럼 보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역할 바깥에 있는 준거 틀)에 근거해서〕 여러분의 행동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서만】 배웁니다. 【이 준거 틀】이 (물론) 【마이트레야】입니다. 【여러분이 역할 안에서 여러분의 행동을 보는 대신에】, 마이트레야는 여러분에게 【〔그가 (역할 바깥에서) 여러분의 행동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관점】을 줄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또한 여러분에게 【그의 친절의 영(Spirit)】을 줄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가장 높은 선택이 아닌) 어떤 것〕을 했더라도】, 【여러분이 여전히 교사에 의해서 사랑받고】 그리고 【여러분이 단지 〔더 나은 선택을 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의 과거 선택을 원상태로 돌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Yet how does Maitreya give you this frame of reference? He does not do so by telling you how he views your actions. In order to get Maitreya’s view of your actions, you have to make use of the Conscious You’s ability to project itself anywhere it can imagine. Thus, you must temporarily project yourself out of your current role and into oneness with Maitreya, and then you will be able to see your actions the way Maitreya sees them. You experience both his realism and his kindness.

하지만 마이트레야가 어떻게 여러분에게 【이 준거 틀】을 줄까요? 그는 【〔여러분에게 (그가 어떻게 여러분의 행동을 보는지) 말하는 것〕에 의해서】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행동에 대한 마이트레야의 견해】를 얻기 위해서, 여러분은 【자신을(itself)) 〔그것이(Conscious You) 상상할 수 있는 어디든〕 투사하는】 Conscious You의 능력을 이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일시적으로)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현재 역할 밖으로〕 그리고 〔마이트레야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여러분의 행동】을 【〔마이트레야가 그것들을 보는〕 방식】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의 현실성〕과 〔그의 친절〕】 (둘 다) 경험합니다.

Can you see the incredible wisdom of this approach—it eliminates the problem of communicating through words? Right now you are reading these words, and you clearly identify them as coming from outside your mind, outside your current role. Whether you believe I am the real Jesus or some other being, in either case you see me as outside yourself and thus you perceive my words through your mind instead of my mind. As a result, you can argue against or interpret my words based on the filter of your current role. Your view of my words will not be my view but how my words appear through the filter of your role. And this means you cannot use my words to escape your role.

여러분은 【이 접근법의 믿을 수 없는 지혜】를 볼 수 있습니까 - 그것은 말(words)을 통해서 소통하는 문제를 제거합니다? (지금) 여러분은 이 말(words)을 읽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분명히 그것들을 【〔여러분의 마음 바깥에서〕, 〔여러분의 현재 역할 바깥에서〕 오는 것으로】 식별합니다. 여러분이 【내가 〔진짜 예수〕 혹은 〔어떤 다른 존재〕라고】 믿든지, (여하간에) 여러분은 나를 여러분 자신 바깥으로 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내 마음 대신에】 【여러분의 마음을 통해서】 내 말을 인지합니다. 결과적으로, 여러분은 【여러분의 현재 역할의 필터에 근거해서】 내 말을 논박하거나 해석할 수 있습니다. 【내 말에 대한 여러분의 견해】는 【내 견해가 아니라】, 【〔내 말이 여러분의 역할의 필터를 통해서 나타나는 방법〕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역할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 말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ow can you come to grasp the fullness of my teaching? You can never get it through words; you can get it only when the Conscious You projects itself into oneness with me, so that you directly see the teaching as I see it. Then, you have overcome the barrier of words—that are always subject to interpretation. You have also gained a frame of reference from outside your current role, which then allows you to gradually dis-identify yourself from the role. The only true way to learn from a spiritual teacher is to look beyond the teacher’s outer teaching and use it as a springboard for tuning in to his Presence, until the Conscious You can project itself into oneness with the teacher.

여러분이 어떻게 【나의 가르침을 완전히】 파악하게 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결코 【말을 통해서】 그것을 얻을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내가 그것을 보는 대로〕 직접적으로 가르침을 볼 정도로】 【〔Conscious You〕이 자신을(itself) 나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할 때만】』 그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말의 장애】를 극복했습니다 - 그것은(말) 항상 해석의 대상입니다.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의 현재 역할 바깥에서】 준거 틀을 얻었습니다, 그것이 (그런 다음) 【여러분이 점진적으로 〔여러분 자신을 역할과 동일시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영적인 교사에게서 배우는 유일한 참된 방법】은 『【교사의 외적인 가르침 너머를 보고】 그리고 【〔Conscious You〕이 자신을(itself) 〔교사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할 수 있을 때까지】 【그것을 〔그의 현존(Presence)에 조율하기 위한 발판〕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So a new student would be trained by Maitreya until it had proven that it could project itself into any predefined role and then still be able to project itself out of that role and into oneness with Maitreya. The reason why the student projected itself into oneness with Maitreya was that due to the density of this sphere, it was difficult for new students to project themselves into oneness with their I AM Presences. Thus, they would start out by seeking oneness with a teacher that was more tangible to them. Yet the real goal was that a student eventually would be able to go into any role and then still project itself into oneness with the Presence.

(그래서) 『그것이(학생) 【그것이(학생) 〔자신을(itself) 어떠한 미리 정의된 역할 안으로 투사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여전히 자신을(itself) (〈그 역할 바깥으로〉 그리고 〈마이트레야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할 때까지』 새로운 학생은 마이트레야에 의해서 교육받을 것입니다. 【〔학생이 자신을(itself) 마이트레야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한〕 이유】는 【이 구체의 밀도 때문에, 〔새로운 학생들〕이 〔그들 자신을 (그들의 I AM Presences와 하나됨 안으로) 투사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에게 더 분명히 보이는) 교사〕와 하나됨을 추구하는 것에 의해서】 시작합니다. 하지만 【진짜 목표】는 『학생이 결국 【〔어떠한 역할〕에 들어갈 수 있고】 그런 다음 【여전히 〔자신을(itself) 현존(Presence)과 하나됨 안으로〕 투사하는 것】』이었습니다.

At that point – when the student could always get its frame of reference from inside itself by projecting itself into oneness with the Presence – the student had become spiritually self-sufficient. And at that point, the student was ready for the initiation of defining its own role.

그 시점에 - 학생이 항상 【자신을(itself) 현존과 하나됨 안으로 투사하는 것에 의해서】 【자신(itself) 안에서 its 준거 틀】을 얻을 수 있을 때 - 학생은 영적으로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시점에, 학생은 【its 자신의 역할을 정의하는 입문】에 준비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