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심리학"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전체주의 사회에서도, 엘리트가 【물리적인 힘만으로는】 많은 주민을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단지 【숫자에서 차이 때문에】 될 수 없습니다. 【엘리트가 주민을 통제하는 유일한 방법】은 『주민이 【〔그들 자신의 힘에 대한 경계를 정의하는〕 제한된 세계관】을 믿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람들이 【그들이 〔현재의 상황을 바꾸고 그리고 엘리트로부터 그들 자신을 자유롭게 할〕 방법이 없다고】 믿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에 사람들】은 【그들이 지금까지 가장 수준 높은 문명에 살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중세 유럽에 사람들】은 【〔만약 그들이 가톨릭 교리(〈성직자들〉, 〈귀족 계급〉과 〈이것이 지지하는 왕〉의 권력 구조)에 의문을 제기한다면〕 그들이 지옥으로 갈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나치 독일의 국민들】은 『【히틀러가 〔그들을 약속된 땅으로〕 이끌 것이라고】 믿거나 【그들이 〔그에게 항의하여 들고일어날 힘〕을 갖고 있지 않다고】 믿었습니다』. 전체주의 사회는 【사람들이 〔삶에 대해 제한된 견해를 받아들이도록〕 하게 하는 것】에 근거합니다, 이것이 그들이 【현재의 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이 없다고】 믿도록 만듭니다.
【우리가 〔대안이 없다고〕 믿기 때문에】 우리는 제약을 받아들입니다. 【우리가 〔삶에 대해 제한된 이해, 제한된 관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대안도 보지 못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현재 세계관), (우리의 현재 정신적인 상자)를 넘어서는〕 질문을 하는 것에 의해서】 그 제한된 이해를 극복합니다. 우리가 【더 높은 이해】를 갖고 있을 때, 우리는 【〔삶에 대한 우리의 제한된 방식에 대한 대안〕이 (정말로) 있다는 것】을 봅니다. 우리가 대안을 볼 때, 우리는 더 이상 【우리의 이전의 제약】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우리가 〔더 나은 삶〕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 더 나은 삶】을 원할 것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더 잘】 알고 있다면, 그들은 【더 잘】 할 것입니다.
【중세 봉건 사회】는 【엘리트주의 사회의 교과서적인 예(examples)】입니다. 【〔(왕), (귀족 계급) 그리고 (가톨릭 성직자들)〕로 구성되는 매우 작은 파워엘리트】가 인구의 98%를 통제했습니다. 【가톨릭교회가 〔주민이 (삶에 대한 그들의 방식에 대한 어떤 대안)도 보지 못하는〕 그런 정도까지 정보를 숨겼기 때문에】 그들은 수 세기 동안 이것을 했습니다. 【이 은폐의 한 가지 측면】은 【〔더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에 대해 이야기한〕 그리스 철학자들의 책】을 불태우는 것이었습니다. 【이 저작물들】은 【스페인에 이슬람 정착민들에 의해서】 보존되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그것들이 『【유럽 사회에 다시 도입되었고】 그리고 【〔르네상스〕, 〔과학 혁명〕과 〔민주주의 이상의 출현〕으로 이어졌습니다】』.
【주민만】 【봉건 사회의 제약】을 받아들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어떤 대안도】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대안에 대한 지식】이 널리 받아들여졌을 때, 【임계질량】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그리고 (결국)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것이 바로 【〔소수의 공격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악과 갈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야기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 메커니즘입니다.
수천 년 동안, 우리는 【〔(우리의 개인적인 관계)와 (우리의 사회)〕가 〔(갈등)과 (권력 놀이)에 의해서〕 지배되는 것】을 받아들였습니다. 【간단한 이유】는 【우리가 현실적인 대안을 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평화로운 세상을 야기할 현실적인 방법】을 보았다면, 【그들이 민주주의를 원했던 것처럼】 다수가 이것을 원했을 것입니다.
【우리가 〔갈등의 원인〕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는 【갈등에 대한 어떤 대안도】 보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우리가 충분히 〔창조적인 질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질문을 하고〕 그리고 〔그것들을 공개 토론으로 가져오고〕, 그렇게 함으로써 〔(〈임계질량이 도달할 때〉 사회에 변화를 야기할) 대중의 인식에 변화를 야기하는〕】 새로운 운동을 누가 시작할 수 있을까요?
『【〔삶에 대한 공격적이지 않은 접근법〕을 갖고 있고】 그리고 【소극적인 관중인 역할에서 기꺼이 나오는〔대신에 공개 토론에서 (적극적이지만, 비폭력적인 역할을 맡으려고) 선택하는〕】』 그 사람들입니다.
이것이 【역사 변화에 대한 혁명적인 견해】이긴 하지만, 【〔사회에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대해 훨씬 더 깊은 이해】가 있습니다. 이것을 보는 것에 의해서, 우리는 또한 【〔악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더 나은 토대】를 놓을 것입니다.
'발췌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신념 체계 사이에 전쟁 중인 아이들입니다 (0) | 2021.05.04 |
---|---|
사회에 세(three) 주된 집단 (0) | 2021.05.04 |
정신에 변화 (0) | 2021.05.04 |
민주주의가 가장 혁명적인 개념인 이유 (0) | 2021.05.04 |
혁명적인 역사관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