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상승 마스터 학생들과 그리스도임

의식 성장 2022. 10. 12. 15:22

-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예수 그리스도 -

"여러분의 영적인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중에서 발췌

 

You now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is a certain mechanism that comes into play with ascended master students. From the time we have been talking about ascended masters, and especially the path to Christhood, we have been talking to students who were in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than the average population. Our students have not been in a coma, they have not been in this inertia where they were unwilling to grow. This does not mean, my beloved, that in order to recognize an outer ascended master teaching, you have to be at a high level of consciousness. You have to be at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than the average, but it does not mean you are anywhere close to the fullness of Christhood. Again, students will look at the concept of Christhood through the filter of their present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y will understand what they can understand. Then, they will create images and project those images upon it.

여러분은 (이제) 【〔상승 마스터 학생들에게 작동하기 시작하는〕 특정한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우리가 【〔상승 마스터들〕, 그리고 특히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길〕】에 대해 계속 이야기하고 있는』 때부터}, 우리는 【〔(보통의 주민보다 더 높은 의식 수준에) 있었던〕 학생들】에게 계속 말을 걸고 있습니다. 【우리의 학생들】은 【혼수상태에】 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성장하기를 꺼리는〕 이 타성】에 있지 않습니다. 나의 사랑하는 이여, 이것은 『【외적인 상승 마스터 가르침】을 인정하기 위해서, 여러분이 【높은 의식 수준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보통 사람들보다 더 높은 의식 수준에】 있어야 하지만, 그것은 【여러분이 그리스도임의 충만함에 가까운 어디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시, 학생들은 【〔그들의 현재 의식 수준의 필터〕를 통해서】 【그리스도임의 개념】을 볼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이미지를 만들고】 그리고 【〔그 이미지들〕을 〔그것〕에 투사할 것입니다】』.

One of the images created by many, many students over the decades is that Christ consciousness is some state of perfection. This, of course, is partly brought about because the Catholic church, as I have explained many times, raised me up to be the only Son of God, to have been perfect from the beginning and therefore be up there on the pedestal beyond the reach of other human beings. Many ascended master students have taken over this concept, clearly created by the fallen beings, and have projected it upon the state of Christhood. They think that Christhood is an either-or thing. Either you do not have Christhood, or you have it—and if you have it, you are perfect.

【〔수십 년 동안 많고, 많은 학생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미지들 중의 하나】는 【〔그리스도 의식〕이 〔어떤 완벽함의 상태〕라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부분적으로) {가톨릭교회가 (내가 여러 번 설명한 것처럼) 『【하나님의 유일한 아들이고】, 【처음부터 완벽했고】 따라서 【다른 인간의 닿음 너머 저기 받침대 위에 있도록】』 나를 올렸기 때문에} 야기되었습니다. 【많은 상승 마스터 학생들】은 『【〔(명백히 추락한 존재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 개념〕을 이어받아서】, 그리고 【〔그것〕을 〔그리스도임의 상태〕에 투사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임〕이 〔양자택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임】을 갖고 있지 않거나, 혹은 여러분은 그것을(그리스도임) 갖고 있습니다 - 만약 여러분이 【그것(그리스도임)】을 갖고 있다면, 여러분은 완벽합니다.

What is truly non-constructive about this idea is that the image of perfection that is most common on earth is that perfection means something that does not have to change. Why would something that is perfect have to change? This means that perfection is a state of still-stand and that is why I tell you: Perfection seen from this perspective has nothing to do whatsoever with Christhood. Christhood is ongoing self-transcendence, ever-moving self-transcendence. It can never stand still. The Christ-mind never stands still and that is why it cannot be compatible with the current concept of perfection. Now, you can have another concept of perfection that is a dynamic perfection where you are perfect in the sense that you are constantly willing to look at yourself and transcend your state of consciousness. This is how you can, as Paul expressed it, “Be made perfect in Christ.”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Christhood never can be, never will be still-stand. There is no absolute state of Christhood.

【이 개념과 관련하여 정말로 건설적이지 않은 것】은 『【〔지구에서 가장 흔한〕 완벽함의 이미지】가 【완벽함이 〔(바뀔 필요가 없는) 어떤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완벽한〕 어떤 것】이 왜 바뀌어야 하겠습니까? 이것은 【〔완벽함〕이 〔정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내가 여러분에게 말하는〕 이유】입니다: 【이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완벽함】은 【그리스도임】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그리스도임】은 【〔계속 진행 중인 자기 초월〕, 〔항상 움직이는 자기 초월〕】입니다. 그것은(그리스도임) 결코 가만히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 마음】은 결코 가만히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그리스도 마음) 〔지금의 완벽함의 개념〕과 양립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자,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이 끊임없이 기꺼이 (여러분 자신을 보고) 그리고 (여러분의 의식 상태를 초월하는)〕 의미에서 완벽한】 역동적인 완벽함인』 다른 완벽함의 개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울이 그것을 표현한 것처럼) 【〔여러분이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해질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임은 〔결코 가만히 있을 수 없고〕, 〔결코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그리스도임의 상태】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