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 we move on from here?
우리가 어떻게 여기에서 이동할까요?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how-do-we-move-on-from-here/
Ascended Master Mother Mary through Kim Michaels, October 28, 2022.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2 Webinar for Ukraine.
2022년 10월 28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성모 마리아. 이 딕테이션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위한 웨비나 동안】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Mother Mary. As the representative for the Divine Mother on earth, I have decided to open this conference. Naturally, we of the ascended masters would have ideally wanted to address Ukraine under more peaceful circumstances.
나는 상승 마스터 성모 마리아입니다. 지구에 신성한 어머니의 대리인으로서, 나는 【이번 컨퍼런스를 열기로】 결정했습니다. 물론, 【우리 상승 마스터들】은 (이상적으로) 【더 평화적인 환경 아래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해 고심하기를】 원했을 것입니다.
Human vs. ascended state of consciousness
인간 의식 상태 대 상승한 의식 상태
One of the issues that we have had as ascended masters since we began to make our presence known on earth, is that many people who come in contact with our teachings, who hear about our existence, find it difficult to grasp how we look upon earth. I am not saying this to in any way find fault with human beings. I am simply saying that there are some misconceptions that have existed and still exist and I would like to address them.
『【〔우리가 (지구에서 알려진 우리의 존재를 알리기) 시작한 이후로〕 우리가 상승 마스터로서 갖고 있었던】 문제들 중의 하나』는 『【〔우리의 가르침과 접촉하는〕, 〔우리의 존재함에 대해 듣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어떻게 지구를 지켜보는지〕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입니다. 나는 【(어떤 식으로든) 〔인간에 대한 결점〕을 찾기 위해】 이것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존재한 그리고 여전히 존재하는) 약간의 오해〕가 있고】 그리고 【내가 〔그것들〕을 다루고 싶다고】』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When you ascend from earth, you reach a state of consciousness that is so different from what most people have on earth that it is very understandable and natural that people cannot fathom what happens in the ascension process. In fact, you might say that we as ascended masters, when we go through the process of ascending, we cannot fathom it either. At least we cannot fathom it with the mind. The ascension is not something you understand. It is something you experience as a totality and you experience this transformation, this shift where you shift from one sense of identity to a fundamentally different form of identity and in the process of doing so, you shed the former identity completely. The former identity dies, falls away into oblivion, non-existence, as if it had never existed.
여러분이 지구에서 상승할 때, 여러분은 『【〔사람들이 (상승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매우 정상적이고 당연할 정도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구에서 갖고 있는 것)과 매우 다른〕 의식 상태】』에 도달합니다. 사실은, 여러분은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 우리가 【상승하는 과정】을 거칠 때, 우리도 그것을 파악할 수 없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적어도) 우리는 (마음으로) 그것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 상승은 【〔여러분이 이해하는〕 어떤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상승) 【〔여러분이 전체로써 경험하는〕 어떤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하나의 정체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의 정체성〕으로 바뀌는】 이 변형, 이 변화』를 경험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여러분은 【이전의 정체성】을 완전히 벗습니다. 【이전의 정체성】은 【〔죽고〕, 〔(망각, 존재하지 않음)으로 사라집니다〕】, 마치 그것이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What does this mean for you who are on earth, who are still on earth? Well, it means that you tend to project your own state of consciousness upon us as ascended masters. This is something we have started to address more clearly than before in this dispensation. It is therefore natural that when people hear about ascended masters, they project an image upon us. There can be various facets of this image depending on people’s cultural background or their individual state, whereas over many lifetimes they might have built a certain world view, a certain image. But there are two aspects of it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here. One of them is that people tend to project that ascended masters have the same feelings that human beings have. This is very relevant obviously in the situation in Ukraine.
이것이 【〔지구에 있는〕, 〔여전히 지구에 있는〕 여러분에게】 무엇을 의미할까요? 음, 그것은 【여러분이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에게 (여러분 자신의 의식 상태)〕를 투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이번 시혜에서) 이전보다 더 분명히〕 다루기 시작한】 어떤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상승 마스터들】에 대해 들을 때, 그들이 【우리】에게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많은 생애 동안) 그들이 【〔특정한 세계관〕, 〔특정한 이미지〕】를 만들어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문화적인 배경〕 혹은 〔그들 개인의 상태〕에 따라】 【이 이미지의 여러 가지 측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여기에서 다루고 싶은〕 그것의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그것들 중의 하나】는 『사람들이 【〔상승 마스터들〕이 〔(인간이 갖고 있는) 동일한 느낌〕을 갖고 있다고】 투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확실히 우크라이나에 상황에】 매우 관련 있습니다.
When you as a human being in embodiment read the news about what is happening in Ukraine, especially not only the death of soldiers but the killing of civilians, the rape of women, the torture of civilians and other atrocious acts of inhumanity, then it is natural that you feel compassion, empathy, sympathy, various kinds of feelings and it is also natural that you project these feelings upon us as ascended masters. It is also natural that when you begin to suspect that we do not have those same feelings that you have, some people will reason or feel that we are cold, we are aloof, we are non-emotional, we do not care about people’s suffering on earth. It is understandable that some people feel this way. I recognize that over the decades some people have felt this way and I recognize that it is difficult for you to understand and grasp how we as ascended masters look at a situation where there is such intense human suffering as you see in Ukraine right now, and have seen since the invasion started in February.
【구체화 안에 인간으로서 여러분】이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뉴스 - 특히 〔군인들의 죽음〕뿐만 아니라, 〔(민간인들의 살해), (여성의 강간), (민간인들의 고문) 그리고 (다른 끔찍한 비인도적 행위)〕】를 읽을 때, 【여러분이 〔(연민), (공감), (동정), (여러 종류의 느낌)〕을 느끼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에게 〔이 느낌들〕을 투사하는 것】이 (또한) 당연합니다. 『여러분이 【우리가 〔(여러분이 갖고 있는) 그 동일한 느낌〕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심하기 시작할 때, 【일부 사람들】이 【〔우리가 냉정하고〕, 〔우리가 냉담하고〕, 〔우리가 감정적이지 않고〕, 〔우리가 지구에 사람들의 고통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추론하거나 느낄 것이라는 것』이 (또한) 당연합니다. 【〔일부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느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는 【(수십 년 동안) 〔일부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느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나는 {『여러분이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여러분이 〈지금 당장 우크라이나에서 보고〉, 그리고 〈침략이 2월에 시작된 이후로 본 것처럼〉) 그런 강렬한 인간 고통이 있는〕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Ministering to all lifestreams on earth
지구에 모든 생명 흐름을 보살피기
How do we look at this? How do we relate to this as ascended masters? Well, it depends quite a bit on our role in hierarchy. I as an ascended master who represents the Divine Mother, part of my role is to oversee what happens to lifestreams who have left the physical body, who have died. And as such, I am intimately involved with having literally millions of angels minister to these lifestreams as they leave the body behind. But first you need to recognize here that my role is to administer to all lifestreams who have passed from the screen of life and my role is to do this in a completely neutral manner. In other words, I minister to Ukrainian soldiers in the same way that I minister to Russian soldiers.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way we minister to these people, to these lifestreams. We have one concern, and that is to help them move on in their personal growth in the best possible way.
우리가 어떻게 이것을 볼까요?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어떻게 이것과 관련될까요? 음, 그것은 【계층에서 우리의 역할】에 (꽤 많이) 달려 있습니다. 【〔신성한 어머니를 대표하는〕 상승 마스터로서 나는】, 【나의 역할의 일부】는 『【〔(〈육체적인 몸을 떠난〉, 〈죽은〉) 생명 흐름들〕에게 일어나는 것】을 감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나는 『【수백만 명의 천사들】이 【〔그들이 몸을 두고 갈 때〕 이 생명 흐름들을 보살피게】 하는 것』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먼저) 여러분은 『【〔나의 역할〕이 〔(삶의 스크린에서 옮겨진) 모든 생명 흐름〕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고】 그리고 【〔나의 역할〕이 〔이것을 완전히 중립적인 방식으로 하는 것〕이라는 것】』을 여기에서 인식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나는 【〔내가 러시아 군인들을 보살피는〕 동일한 방식으로】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보살핍니다. 『【〔우리가 (이 사람들, 이 생명 흐름들)을 보살피는〕 방식에】 차별』이 없습니다. 우리는 【한 가지 관심사】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그들이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그들의 개인적인 성장에서 이동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how can we help them heal the wounds that they have received as a result of war, whether it be civilians or soldiers? How can we help them heal this in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bodies so that they have the best possible opportunity for moving on to their next embodiment? This is our only concern. There is no blame, there is no guilt, there is no saying: “You should not have done this, you should not have done that”. We simply look at a lifestream as it comes to us after having left the body and we see how we can help that lifestream. This, of course, goes for all lifestreams who pass from the screen of life, even if they pass from so-called natural causes. We are constantly, year-round, day after day, 24 hours a day, ministering to lifestreams who shed the physical body.
다시 말해서, 우리가 어떻게 『그들이 【〔민간인이든지 혹은 군인이든지〕 전쟁의 결과로써 〔(그들이 받은) 상처〕를 치유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우리가 어떻게 {『그들이 【그들의 다음 구체화로 이동하기 위한 가능한 최선의 기회】를 갖도록』 『그들이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몸에 이것〕을 치유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이것이 【우리의 유일한 관심사】입니다. 비난은 없습니다, 죄책감도 없습니다, 『【: 〔"여러분이 이것을 해서는 안 되고〕, 〔여러분이 저것을 해서는 안 된다는"〕】 말도』 없습니다. 【그것이(생명 흐름) 〔몸을 떠난 후〕 우리에게 오는 대로】 우리는 단지 생명 흐름을 봅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그 생명 흐름〕을 도울 수 있는지】 봅니다. 물론, 이것은 【〔삶의 스크린에서 옮겨지는〕 모든 생명 흐름】에 해당됩니다, 비록 그들이 【소위 자연발생적인 원인】에서 옮겨지더라도. 우리는 【〔육체적인 몸을 벗은〕 생명 흐름】을 (끊임없이 - 연중 계속되는, 매일같이, 하루 종일) 보살피고 있습니다.
Naturally, what we do to them, how we can help them depends on their state of consciousness, their openness, their willingness to even receive help. Some are beyond help, our help, because they are so angry. They are so filled with hatred that they even reject the idea that there could be spiritual beings who could help them. And therefore, some of these lifestreams will descend into what we have called the astral plane and there they will be then magnetized to a group of lifestreams with the same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re is not much we can do for them from the ascended realm. It is a matter of how they respond to the environment they are in. We can of course monitor these lifestreams and if there is an opening, where they are willing to receive help, we are there to give it to them. But there are many lifestreams who are open to receiving help and those we, of course, seek to help in various ways.
물론, 【〔우리가 그들에게 하는 것〕, 〔(우리가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의식 상태〕, 〔그들의 열려 있음〕, 〔심지어 도움을 받는 그들의 기꺼이 하는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일부】는 【〔도움〕, 〔우리의 도움〕】을 넘어서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우 화가 났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심지어) 【〔(그들을 도울 수도 있는) 영적인 존재〕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거절할 정도로』 그들은 증오로 매우 가득 차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생명 흐름들 중의 일부】는 【우리가 아스트랄 차원이라고 불렀던 것】으로 내려갈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그들은 【동일한 의식 수준을 가진 집단의 생명 흐름】에게 매료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상승한 영역에서〕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어떻게 〔(그들이 ... 안에 있는) 환경〕에 반응하는지】의 문제』입니다. (물론) 우리는 【이 생명 흐름들】을 모니터 합니다 그리고 만약 【〔그들이 기꺼이 도움을 받는〕 기회】가 있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그것을 주기 위해】 거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도움을 받는 것)에 열려 있는〕 많은 생명 흐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 우리는 (물론) 【여러모로 도우려고】 추구합니다.
You see here that the way we help these lifestreams who have passed is very much like you would say, a doctor on the battlefield who receives wounded soldiers and must make an evaluation on how to best treat that particular soldier. Sometimes even having to make the evaluation that this particular person is beyond help and therefore focusing on others that can be helped, triage as it is called. Although this, of course, does not mean that we have the same consciousness as doctors on the battlefield who are still in embodiment, because they still have human feelings that they often need to suppress in order to perform their jobs, but nevertheless we of course have transcended these human feelings.
여러분은 여기에서 {【〔우리가 (〈통과한〉 이 생명 흐름들)을 돕는〕 방법】이 『여러분이 【〔부상을 입은 군인을 받고〕 그리고 〔(그 특정한 군인을 가장 잘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평가해야 하는〕】 전장에 의사라고 말할 것』과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봅니다. (때때로) 심지어 【〔(이 특정한 사람)이 도움을 넘어서 있다고〕 평가해야 하는 것】 (따라서) 【〔(도움받을 수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집중하는 것】, 【그것이 불리는 것처럼 부상자 분류】. 물론, 이것이 『우리가 【〔(여전히 구체화 안에 있는) 전장에 의사〕와 동일한 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긴 하지만, 왜냐하면 그들은 여전히 【〔(그들의 일을 하기 위해서) 그들이 보통 억눌러야 하는〕 인간 감정】을 갖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물론) 【이 인간 감정들】을 초월했습니다.
Divine empathy vs. human empathy
신성한 공감 대 인간의 공감
Now, what about the people who are still alive, but who have been exposed to this trauma, these acts of torture, violence, losing their homes, losing family members, all of these truly shocking events that people are exposed to in a war situation whether it be Ukraine or Syria or Iran right now or other nations around the world, many nations in Africa? What about the living? What do we feel about the living? Well, it is not that we in the ascended realm do not have feelings, but we do not have human feelings as most human beings have them on earth. There are, of course, human beings who have raised their consciousness to higher levels of consciousness, the Christ consciousness, the Buddhic consciousness, as we have called it even though some call it different levels such as enlightenment.
자, ▶{여전히 살아 있지만}, {『【사람들이 〔전쟁 상황에서 - 우크라이나든 혹은 시리아든 혹은 지금 당장 이란이든 혹은 세계 도처에 다른 국가든, 아프리카에 많은 국가든〕 노출되는】 이 트라우마, 이 고문, 폭력의 행동들, 그들의 집을 잃는 것, 가족 구성원을 잃는 것, 정말로 이 모든 충격적인 사건들』에 노출되었던}◀ 사람들은 어떻습니까? 【살아 있는 사람들】은 어떻습니까? 우리가 【살아 있는 사람들】에 대해 무엇을 느낄까요? 음, 【〔상승한 영역에서 우리〕가 감정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아니라, 우리는 【〔대부분의 인간〕이 지구에서 그것들을 갖고 있는 것처럼】 【인간 감정】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비록 일부가 (그것을 깨달음과 같은 다른 수준)이라고 부르더라도〕 우리가 그것을 불렀던 것처럼】 【〔더 높은 의식 수준〕, 〔그리스도 의식〕, 〔붓다 의식〕】으로 【그들의 의식】을 올린』 인간}이 있습니다.
Nevertheless, this does not mean that we do not have feelings related to people’s suffering, but they are not human feelings. You cannot even take the words that are used to categorize and label human feelings and apply them to us. It will give you a distorted image. You may say: “Well do you not feel empathy?” Well, we feel a divine empathy but not a human empathy. Why is this? Because we have no fear. Many feelings, human feelings spring from fear. You may say: “Well empathy is not fear based” but for many people it actually is. There is a strong element of fear in empathy, pity, sympathy, but beyond that there is an element of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Now, here is, where most people on earth would be unable to grasp what I will say, but I say it because I know that there are people who can grasp it and of course you who are ascended master students, I hope that you can grasp it first of all.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우리가 〔사람들의 고통과 관련된 감정〕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인간 감정】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인간 감정을 범주에 넣고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말〕을 가져다가】 그리고 【〔그것들〕을 〔우리〕에게 적용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에게 【왜곡된 이미지】를 줄 것입니다.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음 당신은 【공감】을 느끼지 않습니까?" 음, 우리는 【신성한 공감】을 느끼지만, 【인간 공감】을 느끼지 않습니다. 이것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우리는 【두려움】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많은 감정〕, 〔인간 감정〕】은 【두려움】으로부터 일어납니다.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음 【공감】은 두려움에 기초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실제로 그렇습니다. 【〔공감, 연민, 동정에〕 강한 두려움의 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밖에) 【〔"이것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라는 요소】가 있습니다. 자, 이것이 【〔지구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가 말하게 되는 것〕을 파악할 수 없을 경우】이지만, 나는 그것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을 파악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물론) 【〔상승 마스터 학생들인〕 여러분】, 나는 【여러분이 (가장 먼저) 그것을 파악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How to move on?
이동하는 방법?
It is clear that when we look at a situation like the war in Ukraine, we have a vision of how humankind could have progressed, and how Russia as a nation and how Ukraine as a nation, could have progressed without this war. It is clear that this would have been a higher vision than the actual situation, far less suffering, far less death, far less devastation. There is no question that we have a sense of what ideally could have happened, but we do not have the sense of right and wrong, of what should have happened and what should not have happened. This is something that many people will find it impossible to grasp, but you who are our direct students, if you study the very extensive teachings we have given about duality and non-duality, you will be able to begin to grasp this. Many of you already grasp it.
{우리가 【우크라이나에 전쟁과 같은 상황】을 볼 때, 우리가 『【인류가 어떻게 진전했을 수 있는지】, 그리고 【〔국가로서 러시아〕가 어떻게 〔이 전쟁 없이〕 진전했을 수 있는지】, 【〔국가로서 우크라이나〕가 어떻게 〔이 전쟁 없이〕 진전했을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갖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것이 【〔실제 상황보다 더 높은 비전〕, 〔훨씬 더 적은 고통〕, 〔훨씬 더 적은 죽음〕, 〔훨씬 더 적은 파괴〕】였을 것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가 〔(이상적으로 일어났을 수도 있는 것)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우리는 『【옳고 그름】의, 【〔일어나야 하는 것〕과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의 감각』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될〕 어떤 것】이지만, 【〔우리의 직접적인 학생들인〕 여러분】, 만약 여러분이 【〔우리가 (이원성과 비이원성)에 대해 준〕 매우 폭넓은 가르침】을 공부한다면, 여러분은 【이것을 파악하기】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은 (이미) 그것을 파악합니다.
When we look at a situation like this, we do not have that sense of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this is not just—someone is to blame”. We look at the situation and we say, this has now happened in the physical. We can of course see that there were signs in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realms that led to the physical war. But nevertheless, until something breaks through in the physical,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that things could be avoided, that things could change, that certain people could change their minds, th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could shift so that a particular event does not have to become physical. But once it has crossed into the physical realm, there is in our minds, no evaluation of: “Oh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It is there, it is a physical reality and we therefore look at, how can we move forward from here?
우리가 【이와 같은 상황】을 볼 때, 우리는 【"이것은 일어나지 않았어야 했고, 이것은 적절하지 않고 -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그 감각』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상황】을 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이 (지금) 물리적으로 일어났다고】 말합니다. (물론) 우리는 『【〔물리적인 전쟁으로 이어지는〕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영역에 징후】가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것이 물리적으로 돌파할 때까지, {『【상황이 피해질 수도 있는】, 【상황이 바뀔 수도 있는】, 【〔특정한 사람들〕이 〔그들의 마음〕을 바꿀 수도 있는】, 【〔(특정한 사건)이 물리적이 될 필요가 없도록〕 집단의식이 바뀔 수도 있는】』 가능성}이 항상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물리적인 영역】으로 건너갔을 때, 【〔: "(오) 이것은 일어나지 않았어야 했다"〕라는 평가】는 (우리의 마음속에) 없습니다. 그것은 거기에 있습니다, 그것은 【물리적인 현실】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여기에서 전진할 수 있는지】 봅니다.
Different perspectives on human affairs
인간사에 대한 다른 관점
Now, there is a tendency for human beings to look at such situations and become very focused on the physical situation being completely wrong: “This should not have happened, this kind of suffering should not happen, there should not be a war in Europe again after what we went through with the Second World War, this should never be able to happen again”. And while these feelings are understandable, the question is: does it help you move on as an individual, does it help nations move on? We who are ascended masters, of course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when you are in embodiment.
자, 『인간이 【〔그런 상황을 보고〕 그리고 〔(물리적인 상황이 완전히 잘못되었다는 것)에 매우 집중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일어나서는 안 되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고통】이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2차 세계 대전을 거친 이후】 【유럽에 전쟁】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결코 다시 일어날 수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감정들】이 이해할 수 있긴 하지만, 【문제】는 【: 그것이 〔여러분이 개인으로서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그것이 〔국가가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가?】입니다. 【〔상승 마스터들인〕 우리】는 (물론) 【〔여러분이 구체화 안에 있을 때〕와 다른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You might consider that there was a time when nobody in embodiment on earth had ever flown in an airplane. You might consider that most of you have experienced flying in an airplane looking down upon the earth far below. But have you ever considered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you have when you are looking down from an airplane? Or when you are standing on earth in a forest where all you can see are the trees around you, you cannot even see the sky for the trees? Well, that gives you some sense of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people in embodiment and ascended masters, only our perspective is even more different. We also of course have a long-term historical perspective.
여러분은 【〔(지구에 구체화 안에 아무도) 결코 비행기를 타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는 것】을 숙고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중의 대부분】이 【〔훨씬 아래에 지구를 내려다보면서〕 비행기를 타는 것】을 경험했다는 것』을 숙고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러분이 〔비행기〕에서 내려다보고 있을 때】 【〔(여러분이 갖고 있는) 관점〕에 차이】』를 숙고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여러분이 볼 수 있는) 모든 것〕이 〔여러분 주위에 나무들〕인】 숲에서』 지구 위에 서 있을 때, 여러분은 【나무들 때문에】 하늘을 볼 수도 없습니다? 음, 그것이 여러분에게 【〔(구체화 안에 사람들)과 (상승 마스터들) 사이에 관점에서 차이〕라는 어떤 감각】을 줍니다, 【단지 우리의 관점】은 훨씬 더 다릅니다. 우리도 (물론) 【장기적인 역사적인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There is a tendency for human beings to focus on the immediate situation and it is understandable but nevertheless the question is: is it constructive? Is it the highest possible situation? We look back at the whole history of humankind and we can see the immense amounts of suffering that has been created over that very long history. You, of course, especially if you are personally involved with a situation like the war, you look at the immediate situation, the suffering that is caused now. And as a result of that you are more easily pulled into focusing on, as I said, what should not have happened and who is to blame. We look at the situation and say: “Well there have been numerous other situations that cause suffering. The world has moved on, humanity has moved on, individuals have moved on. How can we now take this situation and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help people and the world move on?” We are always focused on moving on.
【인간이 〔당면한 상황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 그것이 건설적인가?】입니다. 그것이 【가능한 가장 높은 상황】인가? 우리는 【인류의 전체 역사】를 되돌아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매우 오랜 역사 동안) 만들어졌던〕 엄청난 양의 고통】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특히 만약 여러분이 (개인적으로) 【전쟁과 같은 상황】에 관련되어 있다면, 여러분은 『【당면한 상황】, 【〔지금 야기되는〕 고통】』을 봅니다. 그리고 (그것의 결과로써) 여러분은 (내가 말한 것처럼) 【〔일어나서는 안 되었다는 것〕과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에 집중하는 것】에 (더 쉽게) 끌어당겨집니다. 우리는 【〔상황을 보고〕 그리고 〔말합니다〕】: "(음) 【〔고통을 야기하는〕 많은 다른 상황】이 있었습니다. 【세계】는 이동했습니다, 【인류】는 이동했습니다, 【개인들】은 이동했습니다. 우리가 (지금) 어떻게 『【이 상황을 가져다가】 그리고 【(가능한 가장 큰 정도로) 〔(사람들과 세계)가 이동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우리는 항상 【이동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Do you perhaps begin to grasp what I am saying? You could say that most people are not really aware or conscious about world events in their daily lives. Most people are focused on their daily lives, their immediate situation, whatever that is. Once in a while an event happens in the world that disturbs their sense of equilibrium. They are shocked by this and now what they do is they focus all their attention on it. They acquire tunnel vision and they are focused on this situation. Again, I am not blaming, it is understandable, I am simply pointing out the mechanism. What we can compare this to is that in their normal daily lives, people are living next to a river but they do not notice. They do not notice that the river is constantly flowing, they are just focused on their own lives. Then suddenly there is this disturbance in the river and now they focus on this disturbance. And in so doing they actually take a still image of the river, the disturbance in the river and they fix, they fixate their minds on this still image. Whereas we as ascended masters are constantly focused on the river as an ongoing stream. And even though there may be a disturbance, a turbulence in the river, we are still focused on the ongoing movement of the river. How do we move things on?
여러분은 (아마도) 【내가 말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기 시작합니까? 여러분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로 【그들의 매일의 삶에서】 【세계적인 사건들】에 대해 알고 있거나 의식하지 못한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매일의 삶〕, 〔(그것이 어떤 것이든) 그들의 당면한 상황〕】에 집중합니다. (가끔) 【〔그들의 평형감을 방해하는〕 사건】이 세계에서 일어납니다. 그들은 【이것에 의해서】 충격받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이 하는 것】은 【그들이 그것에 그들의 모든 주의를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좁은 시야】를 얻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 상황】에 집중합니다. 다시, 나는 탓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는 【메커니즘】을 가리키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가 〔이것〕을 〔... 〕과 비교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보통의 매일의 삶에서, 【사람들】이 강가에 살고 있지만, 【그들】이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강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삶】에 집중할 뿐입니다. 그런 다음 (갑자기) 【강에 이 소란】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이 소란】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실제로) 【〔강의 정지 화면〕, 〔강의 소란〕】을 찍고 그리고 그들은 【이 정지 화면에 그들의 마음】을 고정시킵니다. (반면에)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는 【계속 진행 중인 흐름으로써 강】에 (끊임없이) 집중합니다. 그리고 【강에 소란, 난류】가 있을 수도 있더라도, 우리는 (계속해서) 【강의 계속 진행 중인 움직임】에 집중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일을 진전시킬까요?
What happens after the war?
전쟁 이후에 무엇이 일어날까요?
It is clear that as difficult as the situation is in Ukraine right now, it will not last forever. It will not last indefinitely. It will not even last that much longer. There will come a point afterwards, where the fighting stops and the question is now: “How do we move on from here”? Well, this is what we as ascended masters are focused on. We do this in many, many different ways by working with people in embodiment. Part of it is, as much as people are open, we work on healing their psychology. We work on binding and consuming the dark forces that are attempting to pull them into a never-ending spiral of anger and blame. And in this respect your calls are immensely helpful in authorizing us to bind such forces. We also work with people who are open to new ideas.
【상황이 지금 당장 우크라이나에서 어려운 만큼, 그것이 영원히 계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것은 무한정 계속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그렇게 오래】 계속되지 않을 것입니다. 나중에 {『【싸움이 멈추고】 그리고 【문제가 (이제) 〔: "우리가 어떻게 여기에서 이동할까?"〕인】』 지점}이 올 것입니다. 음, 이것이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집중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구체화 안에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에 의해서】 【많고, 많은 다른 방법으로】 이것을 합니다. 【그것의 일부】는 사람들이 열려 있는 만큼, 우리는 【그들의 심리를 치유하는 것】에 애씁니다. 우리는 『【〔(〈그들〉을 〈분노와 비난의 끝이 없는 나선〉으로 끌어당기려고) 시도하고 있는〕 어둠의 힘】을 결박하고 전소시키는 것』에 애씁니다. 그리고 (이 점에서는) 【여러분의 요청】이 【〔우리가 그런 힘을 결박하도록 권한을 부여함〕에 있어서】 (엄청나게)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들에 열려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일합니다.
Right now, for example, we are, of course, working with many, many people in Ukraine, in Russia, in Belarus, in other nations around the world to bring into their minds the ideas that can help this situation move forward and bring the world at large and all the parties directly involved, closer to the golden age. There was a question at the last conference about whether the golden age was still possible given this situation, and what were the chances of the golden age moving forward? And Saint Germain said the chances are 100%. Because the golden age is the ongoingness of the river and no matter what turbulence happens in the river, it is just turbulence and the river moves on. We understand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is perspective when you are in embodiment. But those of you who can grasp it, who are willing to open your minds to grasping it, well you can certainly receive a different perspective that can help you shift the way you look at and relate to the current situation. This is of course part of what we will address at this conference.
지금 당장, 예를 들어, 물론, 우리는 {『【〔이 상황이 나아가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그들의 마음】으로 가져오고』 그리고 『【〔전체적으로 세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을 【황금시대에 더 가까이】 데려오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러시아에〕, 〔벨라루스에〕, 〔세계 도처에 다른 국가들에〕 많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황금시대가 여전히 가능한지】, 그리고 【〔황금시대를 진전시킬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해 가장 최근의 컨퍼런스에서 질문}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성 저메인】이 【〔가능성〕이 100%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황금시대】가 【강의 진행 중임】이고 그리고 비록 난류가 강에서 일어나더라도, 그것은 【난류】일뿐이고 그리고 【강】은 이동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구체화 안에 있을 때〕 이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그러나 【〔그것을 파악할 수 있는〕, 〔그것을 파악하는 것에 여러분의 마음을 기꺼이 여는〕 여러분들】, (음) 여러분은 확실히 『【여러분이 〔(여러분이 〈현재의 상황〉을 보고 그리고 과 관련되는) 방법을 바꾸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우리가 이번 컨퍼런스에서 다룰 것〕 중의 일부】입니다.
The law of free will and the war in Ukraine
자유의지의 법칙과 우크라이나에 전쟁
Now, the other aspect that many people project upon us as ascended masters, is that people tend to be into what we have called “magical thinking”. This is partly something that has been carried on, created, reinforced by traditional religions. There is this belief that there is this supernatural force that can come in and change things on earth. And many people over the millennia have believed in various god-like figures that supposedly had these supernatural abilities to intervene in human affairs and set things right. Now, we have given many, many teachings about this. We are not magicians who can pull a rabbit out of a hat and suddenly set things right. And the reason for this is, first of all, that the absolute law for a planet like earth is free will. And you may say: “Well how is it the free will of the Ukrainians that they were attacked by Russia?” So I will explain this and it is very simple.
자, 【〔많은 사람들이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에게 투사하는〕 다른 측면】은 【사람들이 〔우리가 ("마법적인 사고")라고 불렀던 것〕에 관심이 많은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전통적인 종교에 의해서〕 전해졌고, 만들어졌고, 강화되었던】 어떤 것』입니다. 『【〔(들어와서) 그리고 (지구에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이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는】 이 믿음』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천 년 동안 많은 사람들】은 『【〔(인간사에 개입해서) 그리고 (상황을 바로잡는)〕 이 초자연적인 능력들을 갖고 있는】 여러 신과 같은 인물』을 믿었습니다. 자, 우리는 【이것에 대해 많고, 많은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우리는 『【〔모자에서 토끼를 꺼내고〕 그리고 〔(갑자기) 상황을 바로잡을 수 있는〕】 마술사들』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의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 먼저) 【〔지구와 같은 행성의 절대적인 법칙〕이 〔자유의지〕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음) 【그들이 러시아에 의해서 공격당한 것】이 (어떻게) 【우크라이나인들의 자유의지】입니까?" (그래서) 나는 【이것】을 설명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We have said many times, we have given many teachings on this, that earth is a planet with a very low level of collective consciousness. This can be seen in how people treat each other. What that means is that the vast majority of people on earth can learn in only one way, and that is what we have called the School of Hard Knocks. We have described that there are two ways to learn.
There is the School of Hard Knocks where you have physical events that are very difficult to ignore and therefore, they so to speak, force you to change your consciousness. Now you may say: “Is not this a violation of the law of free will?” It is not, because the physical events that happen to you are connected to your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e choices that you made in past lifetimes, even the choice of groups, large groups of people, even humanity as a whole.
우리는 【지구가 〔매우 낮은 집단의식을 가진 행성〕이라고】 여러 번 말했습니다, 우리는 『【지구가 〔매우 낮은 집단의식을 가진 행성〕이라는】 이것에 대해 많은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를 대하는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지구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 가지 방식으로만〕 배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고난의 학교라고 불렀던 것】입니다. 우리는 【〔배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러분이 〔(무시하기 매우 어려운) 물리적인 사건〕을 갖고 있고】 따라서 【그것들이 (말하자면) 〔여러분이 여러분의 의식을 바꾸도록〕 강요하는】』 고난의 학교}가 있습니다. (자)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자유의지의 법칙의 위반】이 아닙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에게 일어나는〕 물리적인 사건】은 『【여러분의 의식 상태】와 【〔(여러분이 과거 생애들에 한) 선택들〕, 〔심지어 (집단), (큰 집단의 사람들), (심지어 전체로써 인류)의 선택〕】』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We have explained that the law of free will gives you the right to have any experience you want for as long as you want it but not forever, not indefinitely. There is a certain progression, there is even a certain progression on the entire planet, where more and more people have risen above the need to learn from the School of Hard Knocks at least in a direct way and they have become open to learning in the other ways that you can learn, which is primarily observing yourself and seeking some kind of inspiration from a source outside your own mind. This can be things on earth, teachings on earth. It can be spiritual and religious teachings, it can be directly from the ascended masters, not necessarily as an outer teaching, but as an intuitive impulse inside your own mind. Many people are open to such impulses even though they have not heard of ascended masters.
우리는 {『【자유의지의 법칙】이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그것을 원하는 한〕 〔(여러분이 원하는) 어떠한 경험〕을 할 권리】를 주지만』, 영원히는 아니고, 무한정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적어도 직접적인 방법으로〕 고난의 학교에서 배울 필요성】을 초월했고』 그리고 『그들이 【〔(여러분이 배울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배우는 것】에 열리게 된』} 특정한 진행◀이 있습니다, 심지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적어도 직접적인 방법으로 고난의 학교에서 배울 필요성】을 초월했고』 그리고 『그들이 【〔(여러분이 배울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배우는 것】에 열리게 된』}전체 행성에 특정한 진행◀이 있습니다, 그것은 『【주로 〔여러분 자신〕을 관찰하는 것】 그리고 【〔여러분 자신의 마음 바깥에 근원〕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영감〕을 얻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구에 것〕, 〔지구에 가르침〕】일 수 있습니다. 그것은 【영적이고 종교적인 가르침】일 수 있습니다, 그것은 【상승 마스터】로부터 (직접) 올 수 있습니다, 【반드시 외부의 가르침으로써】는 아니지만, 【여러분 자신의 마음속에 직관적인 자극】으로써. 【그들이 〔상승 마스터〕에 대해 듣지 못했더라도】 【많은 사람들】은 【그런 자극】에 열려 있습니다.
The pull o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집단의식을 끌어당김
What is happening is that there is a raising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as a result of this, a pull is being created by those people who are raising their consciousness. That pull affects those at the lowest levels of consciousness who have not really raised their consciousness as much as other people on the planet. They have not perhaps even started raising their consciousness, certainly not consciously. This means that as these people continue to stay in that lower state of consciousness, where they are, for example, willing to use force and violence against others, well, there is a complex movement created, where these people are having a faster return of what they are projecting out. And this causes these people to take actions that will more clearly demonstrate the shortcomings of their state of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where they believe violence is justified, will now be pulled into taking actions that are violent but that will also end up demonstrating the shortcomings of their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at violence can only lead to more violence and cannot actually lead to what these people want.
【일어나고 있는 것】은 『【〔집단의식의 올라감〕이 있고】 그리고 【이것의 결과로써, 〔끌어당김〕이 〔(〈그들의 의식을 올리고 있는〉 그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끌어당김】은 【〔실제로 (행성에 다른 사람들만큼) 그들의 의식을 올리지 않은〕 가장 낮은 의식 수준들에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들은 (아마) 【그들의 의식을 올리기】 시작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확실히 의식적으로는 아닙니다. 이것은 ▶{이 사람들이 『【그들이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에게 힘과 폭력〕을 기꺼이 사용하는】 그 더 낮은 의식 상태』에 계속 머물면서}, 음, {『【〔이 사람들〕이 〔(그들이 투사하고 있는 것)의 더 빠른 돌아옴〕을 갖고 있는】 만들어진 복잡한 움직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이 사람들】이 【〔(그들의 의식 상태의 결점)을 더 분명히 보여줄〕 행동을 취하도록】 야기합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이 〈폭력이 정당하다고〉 믿는) 의식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이제) 【〔(폭력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끌어당겨지겠지만, 그것이 (또한) 결국 【그들의 의식 상태의 결점】을 보여주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폭력】은 『【〔더 많은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이고】 그리고 【(실제로) 〔이 사람들이 원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
Inner contradictions
내부의 모순
What you see here is, essentially, we have talked about duality, where there are always two polarities. Now, you may say that in a dualistic struggle there are those who are fully committed to one duality such as communism and those who are fully committed to the opposite polarity such as capitalism. But what you need to recognize is that those who are in this dualistic struggle, in the epic consciousness, they have two polarities in their own minds. In other words, they have deep contradictions in their own minds so they are divided, they are houses divided against themselves and as the rest of the people on earth raise their consciousness those houses cannot stand. That means that the empires they have built must crumble, but they must crumble in such a way that the people come to see the inconsistency in their own beliefs, in the viewpoints that they hold.
【여러분이 여기에서 보는 것】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항상 두 개의 극성이 있는〕 이원성】에 대해 말한 것』입니다. 자, 여러분은 『(이원론적인 투쟁에서) 【〔(공산주의와 같은 하나의 이원성)에 완전히 전념하는〕 사람들】과 【〔(자본주의와 같은 반대되는 극성)에 완전히 전념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인식해야 하는 것】은 『【〔(이 이원론적인 투쟁 안에), (서사시적인 의식 안에) 있는〕 사람들】, 그들이 【그들 자신의 마음속에서 두 가지 극성】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그들 자신의 마음속에 깊은 모순】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분열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에 맞서 분열된 집】입니다 그리고 【지구에 나머지 사람들】이 【그들의 의식】을 올리면서, 【그 집들】은 서 있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건설한〕 제국】이 허물어져야 하지만』, 『그것들이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믿음에〕, 〔(그들이 갖고 있는) 관점에〕 모순을 보게 되는】 그런 방식으로 허물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You can take a typical example of this from history. Nazi Germany had an ideology that presented the German people as the master race, the highest evolved group of people on earth. But what they did not see was that at the same time they had a very high level of brutality and willingness to use force and kill other people. What caused the German people to change after the Second World War? Well, the outer aspects of this was that they lost the war and therefore could not really maintain their view that they were the master race because how could the master race lose? The other was the exposure of the Holocaust and the very high level of inhumanity that this was an expression of. How could you actually be the most evolved race on earth and at the same time be willing to do this kind of brutality and inhumanity?
여러분은 【역사에서 이것의 전형적인 예】를 볼 수 있습니다. 【나치 독일】은 『【〔독일인들〕을 〔(지배자 민족), (지구에서 가장 높이 진화된 집단의 사람들)〕로 제시하는】 이념』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보지 못했던 것】은 『(동시에) 그들이 【〔매우 높은 수준의 잔인성〕과 〔(〈힘을 사용하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죽이는〉) 기꺼이 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인들이 바뀌도록 야기했던 것】이 무엇이었을까요? 음, 【이것의 외적인 측면】은 {그들이 『전쟁에 졌고』 따라서 『【〔그들이 (지배자 민족)이라는〕 그들의 견해】를 유지할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지배자 민족】이 어떻게 패할 수 있습니까? 【다른 것】은 『【이것이 〔...의 표현〕일 정도로】 홀로코스트의 알려짐과 매우 높은 수준의 비인간적인 행위』였습니다. 여러분이 (실제로) 어떻게 『【지구에서 가장 진화된 인종이고】 그리고 【(동시에) 〔이러한 종류의 잔인성과 비인간적 행위〕를 기꺼이 할 수 있습니까?】』.
What you see here is very simple, that the German people by outer events were forced to acknowledge that they were holding two incompatible viewpoints. First of all, their own superiority and then their own inhumanity, their own lack of humanity demonstrated by their actions that were undeniable, at least for most of them. By being willing to snap out of this denial, this, what we can call spiritual blindness, where you do not see the incompatibilities in your own mind, the German people have been able to move forward. And you might say that there are still neo-Nazis in Germany, but a situation like Hitler could not happen again in Germany today or in the future. The German people have moved forward but how did they do it? The School of Hard Hnocks—where their own actions led to consequences that forced them to confront the incompatibilities in their worldview, their self-image, seeing themselves as superior while in being willing to commit some of the greatest acts of brutality in recent history.
【여러분이 여기에서 보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외부 사건에 의해서〕 독일인들】이 『【그들이 〔두 가지 양립할 수 없는 관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요받았습니다. 다른 무엇보다 먼저, 【그들 자신의 우월성】 (그다음에) 【그들 자신의 비인간적인 행위】, 【〔(〈적어도 그들 중의 대부분에게〉 부인할 수 없는) 그들의 행동〕에 의해서 보인 그들 자신의 인간애의 결핍】.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의 마음속에서 양립할 수 없음〕을 보지 못하는】 이 부정, 이것, 우리가 영적인 맹목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에서 기꺼이 벗어나는 것에 의해서, 【독일인들】은 전진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독일에 신나치주의자들〕이 여전히 있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히틀러와 같은 상황】은 【〔오늘날 혹은 미래에〕 독일에서】 다시 일어날 수 없습니다. 【독일인들】은 전진했지만, 그들이 어떻게 그것을 했을까요? 고난의 학교 - 【그들 자신의 행동】이 {『그들이 【〔(〈최근의 역사에서 가장 엄청난 만행 중의 일부〉를 기꺼이 저지르면서) 그들 자신을 우월한 것으로 보면서〕 〔(그들의 세계관, 그들의 자아상에서) 양립할 수 없음〕에 직면하도록】 강요했던』 결과}로 이어졌던.
So how do people learn on earth? Well, many people learn in this way only, through these hard knocks. This of course is exactly the situation of the Russian people today. As I said earlier in the year, Ukraine as a nation has taken on this task of demonstrating the inhumanity of the Russian people and the Russian government and it is for anyone willing to see, being demonstrated in Ukraine every day. Where does that leave Ukraine? Why was it Ukraine that became the target of this? Well, partly because the Ukrainians as a people have some of that same consciousness. They have not freed themselves from the Soviet mindset as much as some of the other nations that were under the Soviet Union or the Warsaw Pact. What you see here is again this, that the Ukrainians are in the same situation of being forced to look at themselves: “Are we holding certain incompatible views in our worldview? Do we have two polarities that are completely opposite but we somehow have managed to ignore this, the contradictions, the incompatibilities?”
(그러면) 사람들이 어떻게 지구에서 배울까요? 음, 【많은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배웁니다, 오직 이 고난들을 통해서. (물론) 이것이 정확히 【오늘날 러시아인들의 상황】입니다. 내가 올해 초에 일찍이 말한 것처럼, 【국가로써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인들과 러시아 정부)의 비인간적 행위〕를 보여주는 이 일】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매일 우크라이나에서 보이는 것】을 보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것이 우크라이나를 어디에 둘까요? 【이것의 대상이 된 것】이 왜 우크라이나였을까요? 음, (부분적으로) 【사람들로서 우크라이나인들】이 【그 동일한 의식 중의 일부】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소비에트 연방 혹은 바르샤바 조약 아래에) 있었던〕 일부 다른 국가들 만큼 】 【소비에트 사고방식】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자유롭게 하지 못했습니다. 【여러분이 여기에서 보는 것】은 (다시) 『【〔우크라이나인들〕이 〔그들 자신을 보도록 강요받는 동일한 상황〕 안에 있는】 이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세계관에 특정한 양립할 수 없는 견해】를 갖고 있는가? 우리가 『【완전히 반대되는 것이지만, 우리가 〔이것 - 모순, 양립할 수 없음〕을 (어떻게든) 가까스로 무시한】 두 가지 극성』을 갖고 있는가?"
Being willing to look at yourself
여러분 자신을 기꺼이 보기
The question here is, of course for both Ukraine, for Belarus and Russia: how many people will be willing to consider this? How many people will be willing to see this and transcend both of these dualistic polarities—see the incompatibility, let it go? And this is quite frankly the real mechanism, in fact almost the only mechanism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se nations, the amount of people that are willing to confront the incompatibilities in their viewpoints and therefore move forward. We have certainly a vision that Ukraine will do this. That Ukraine will show an example of a nation who will be able to, willing to, look at itself and move forward. We will comment on this in various ways but keep this mechanism in mind because i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what has been happening in world history and what is happening today.
【여기에서 문제】는 (물론) 【〔우크라이나에게〕, 〔벨라루스와 러시아에게〕 (둘 다)】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이것을 숙고할 것인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이것을 보고〕 그리고 〔(이 이원론적인 극성들 둘 다)를 초월할 것인가〕】 - 양립할 수 없음을 보고, 그것을 놓는?
그리고 이것이 (솔직히 말하면) 【진짜 메커니즘】입니다, 사실은 【〔이 국가들의 미래를 결정할〕 거의 유일한 메커니즘】, 『【기꺼이 〔(그들의 관점에 양립할 수 없음)에 직면하고〕 따라서 〔전진하는〕】 사람들의 숫자』. 우리는 (확실히){ 『【〔우크라이나〕가 이것을 할 것이고】, 【우크라이나가 〔(자신을 보고 그리고 전진할 수 있을), (기꺼이 자신을 보고 그리고 전진할) 국가의 예〕를 보여줄 것이라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모로) 【이것】에 대해 견해를 밝히겠지만, 【이 메커니즘】을 명심하세요 (왜냐하면) 그것이 【〔세계 역사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는 것〕과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People in the School of Hard Knocks always hold viewpoints that are mutually incompatible, that are inconsistent. And this is what keeps them trapped in a particular situation, that it seems impossible to change the equation. And only as they get over this unwillingness to look at themselves, will the equation in their nation shift and there will be progress. This is the only way that progress happens for countries who are at this state of being so trapped in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e School of Hard Knocks. There are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o have risen above this state but there are also many who have not. In a sense you could say that what you are seeing in this age is the struggle where those countries who have not risen above the incompatibilities are doing everything they can to hold on to that state of denial.
【고난의 학교에 사람들】은 (항상)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되는)〕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을 〔(〈방정식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특정한 상황〕에 계속 가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직) 그들이 【그들 자신을 보는 이 꺼림】을 극복하면서, 【그들의 국가에 방정식】이 바뀔 것입니다 그리고 【진전】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와 〈고난의 학교〉에 매우 갇혀 있는 이 상태)에 있는〕 국가들의 진전】이 일어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이 상태)를 초월한〕 세계 도처에 많은 국가들】이 있지만, 【〔초월하지 못한〕 많은 국가들】도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 시대에 보고 있는 것】이 【〔(양립할 수 없음을 초월하지 못한) 그 국가들〕이 〔그 부정의 상태를 고수하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고 있는】 투쟁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Antidemocratic “alliance”
반민주적인 "동맹"
You can see in Putin’s speeches, including his latest speech given just yesterday, that he is trying to create a new world order where Russia can continue to exist as he sees Russia. In other words, the Russia that Putin has created in his mind can continue to exist and perhaps even strengthen its position. And he thinks it can form an alliance with other nations who are at that same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y can then create this “coherent block” that will be able to challenge the West as he calls it. But what he does not grasp is, that the West is not the enemy that he wants it to be because the West has largely transcended his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refore, the real opponents to his state of consciousness are the other countries that are at that same level.
여러분은 『그가 【〔러시아가 (그가 러시아를 보는 대로) 계속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바로 어제 주어진 그의 가장 최근의 연설〕을 포함하여】 【푸틴의 연설】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푸틴이 그의 마음속에서 만든〕 러시아】가 【〔계속 존재하고〕 그리고 〔(아마) its 지위를 강화할 수 있는〕】. 그리고 그는 {『그것이 【〔그 동일한 의식 수준에 있는〕 다른 국가】와 동맹을 형성할 수 있고』 그런 다음 『그들이 【〔(그가 그것을 부르는 것처럼) 서구에 도전할 수 있을〕 이 "응집성의 블록"】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가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서구가 〔그가 그것이 있기를 원하는〕 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서구】가 【그의 의식 수준】을 크게 초월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의 의식 상태에 대한 진짜 적수】는 【〔그 동일한 수준에 있는〕 다른 국가들】입니다.
He may think that he has a friendship with China, but that friendship is not a friendship, it is only based on China evaluating what is in China’s best interest and the moment something is not in China’s best interest, he cannot count on them at all and it is the same with other states at this level of consciousness. They only look out for themselves. And why is this? Because what have we told you about duality? When you go into one dualistic polarity, you are really saying to the cosmic mirror that you want the experience that you are right, you are superior, and there is an opponent who is wrong, who is inferior to you. This means that you must attract to yourself an opponent. But what opponent can you attract to yourself? Only an opponent who is at that same state of consciousness of duality? Well, in order to become a democratic nation, you have to transcend at least some of that level of consciousness. So who is your real opponent? It is the other nations that are just like yourself, and that you think you can form an alliance with to challenge the West, who has transcended your level of consciousness.
그는 【그가 〔중국과 친선〕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친선】은 【친선】이 아닙니다, 그것은 【중국이 〔중국의 최선의 이익 안에 있는 것〕을 평가하는 것】에 근거할 뿐입니다 그리고 【〔(어떤 것)이 (중국의 최선의 이익 안에) 있지 않은〕 순간】, 그는 그들을 전혀 믿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 의식 수준에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을 보살필 뿐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여러분에게 【이원성】에 대해 뭐라고 말했습니까? 여러분이 【하나의 이원론적인 극단】에 들어갈 때, 여러분은 (실제로) 『【여러분이 〔(여러분이 옳고), (여러분이 우월하다는)〕 경험을 원하고】, 그리고 【〔(〈틀린〉, 〈여러분보다 열등한〉) 적수〕가 있다고】』 우주 거울에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적수〕를 여러분 자신에게 끌어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어떤 적수】를 여러분 자신에게 끌어들일 수 있을까요? 【〔(이원성의 그 동일한 의식 상태에) 있는〕 적수】만? 음, 민주 국가가 되기 위해서, 여러분은 (적어도) 【그 의식 수준 중의 일부】를 초월해야 합니다. (그러면) 누가 【여러분의 진짜 적수】일까요? 그것은 {『【단지 여러분 자신과 비슷한】,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의식 수준을 초월한 서구〉에 도전하기 위해) ... 와 동맹을 결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국가들}입니다.
The accelerated return of karma
가속된 카르마의 돌아옴
Now, of course, you can say at the physical level, Russia could attack the West and attack NATO. Of course, they could do so. But considering the limited success that the Russian armed forces have had in Ukraine, what would happen if they actually attacked NATO? Well, what would happen is the same that has happened in Ukraine, what has happened to the Russian military effort in Ukraine. You may say the Ukrainians have fought back better than anyone had expected. This is true. This is partly because they have not quite transcended that level of consciousness. You may say the West has supplied weapons, and therefore the West has involved itself in the conflict. And does that not mean that the West also has a certain level of dualistic consciousness? But does it? Because what happens is, when you attack someone who has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than you have, your karmic return is much more immediate and actually accelerated. The higher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people you attack, the more accelerated your karmic return will be.
자, 물론, 여러분은 【물리적인 수준에서, 러시아가 〔(서구를 공격하고) 그리고 (나토를 공격할 수도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들은 그렇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의 군대)가 우크라이나에서 거둔〕 제한된 성공】을 고려하면, 【만약 그들이 실제로 나토를 공격한다면】 무엇이 일어날까요? 음, 【일어날 것】은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동일한 것】,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군대 활동에 일어났던 것】』입니다. 여러분은 【〔우크라이나인들〕이 〔누구나 예상했던 것보다〕 더 잘 강력히 맞섰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사실입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그들이 【그 의식 수준】을 완전히 초월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서구〕가 〔무기〕를 제공했고】, 따라서 【〔서구〕가 분쟁에 직접 참여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서구가 (또한) 〔특정한 수준의 이원론적인 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까요? 그러나 그럴까요? 왜냐하면 『여러분이 【〔(〈여러분이 갖고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의식 수준)을 갖고 있는〕 누군가】를 공격할 때, 일어나는 것』은 【〔여러분의 카르마 돌아옴〕이 〔(훨씬 더 즉각적이고) 그리고 (실제로 가속화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더 높은 의식 수준의 사람들을 공격할수록, 【여러분의 카르마 돌아옴】이 더 가속화될 것입니다.
Now you understand what I am explaining to you here is a very delicate consideration. You would say that ideally, if someone has transcended the dualistic level of consciousness, it should not be possible for them to be attacked by someone in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Many people have reasoned this way. Many spiritual people have reasoned this way. The flaw in that line of reasoning is that Jesus was still imprisoned, tortured and crucified by the dualistic authorities, even though he had transcended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In the physical octave on a planet like earth, there is no spiritual force who can prevent people from making free will choices, or whatever, however free they are, to attack others. This is going back to the magical thinking of the supernatural force that can prevent you from being attacked. This cannot happen on a planet like earth.
(이제) 여러분은 『【내가 여기에서 여러분에게 설명하고 있는 것】이 【매우 섬세한 고려 사항】이라는 것』을 이해합니다. 여러분은 『이상적으로, 만약 【누군가】가 【이원론적인 의식 수준】을 초월한다면, 【그들이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에 있는 누군가)에 의해서〕 공격받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할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추론했습니다. 【많은 영적인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추론했습니다. 【그 추론 방식의 결점】은 {『비록 그가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를 초월했더라도』, 『예수가 여전히 【이원론적인 당국에 의해서】 투옥되고, 고문당하고 그리고 십자가에 매달아 죽임을 당했다는 것』}입니다. 지구와 같은 행성에 물리적인 옥타브에서, 『【사람들이 〔자유의지 선택을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영적인 힘』이 없습니다, 혹은 어떤 것이든, 그들이 아무리 하고 싶은 대로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는 것. 이것은 『【〔여러분이 공격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초자연적인 힘과 관련된 마법적인 사고】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 일어날 수 없습니다.
Free will must be allowed to outplay itself,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a nation in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can attack a nation that has transcended the 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But when they do so, the karmic return will be much more immediate and it will be accelerated and that is why you see here, that even though you may say that the Ukrainians have fought back and that the West has given them weapons, the reality is that the armed forces of Russia have destroyed themselves. They have sent out a karmic impulse and what they have sent out has been reflected back to them, and this is what has caused the chaotic situation you see in Ukraine.
【자유의지】는 【자체를 외부 연출하도록】 허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에 있는 국가】가 【〔이원론적인 의식 상태를 초월한〕 국가】를 공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게 할 때, 【카르마 돌아옴】이 훨씬 더 즉각적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우크라이나인들이 강력히 맞섰고〕 그리고 〔서구가 그들에게 무기를 제공했다고〕】 말할 수도 있더라도, 【현실】이 【〔러시아의 군대〕가 자멸했다는 것】이라는 것』을 여기에서 보는} 이유◀입니다. 그들은 【카르마 자극】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보낸 것】이 그들에게 다시 반사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우크라이나에서 보는〕 혼돈 상태인 상황】을 야기했던 것』입니다.
The shift of the equation in Russia
러시아에 방정식의 변화
Going back to what I said about how ascended masters look at a situation, well you now have, at least, some feeling for how, some sense of how we approach a situation. We are looking at this situation and saying: “When Putin decided to invade Ukraine, he stopped the cycle where we as ascended masters were trying to help the Russian people gradually raise their consciousness.
He simply stopped that cycle and he took an irreversible decision that ended that cycle.” This means what? This means that the Russian people can only shift their consciousness through the School of Hard Knocks and they now have to become hard enough for them to overcome this denial, this unwillingness to look at the incompatibilities in their view of themselves. You have a dynamic that is not exactly the same as the Germans in the 1930s, but you still have many Russians who want to see Russia as a great nation. But when you look at the atrocities committed by this great nation in Ukraine against civilians, women and children, where is the compatibility there? How can a great nation do something like this?
【내가 〔(상승 마스터들)이 어떻게 상황을 보는지〕에 대해 말한 것】으로 돌아가서, (음) 여러분은 (이제) (적어도) 『【〔(우리가 상황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약간의 느낌】, 【〔(우리가 상황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약간의 감각】』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상황을 보고〕 그리고 〔말하고 있습니다〕】: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침략하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러시아인들이 (서서히 그들의 의식을 올리도록) 도우려고〕 노력하고 있는】 주기』를 중단시켰습니다. 그는 단지 【그 주기】를 중단시켰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 주기를 끝낸〕 되돌릴 수 없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것은 ▶{【러시아인들】이 【고난의 학교를 통해서만】 【그들의 의식】을 바꿀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은 (이제) 『그들이 【〔이 부정〕, 〔(그들 자신에 대한 그들의 견해에 양립할 수 없음)을 보는 이 꺼림〕】을 극복하기 위해』 충분히 힘들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은 【〔(1930년대에 독일인들과 정확히 똑같은 것)이 아닌〕 역학】을 갖고 있지만, 여러분은 여전히 【〔(러시아를 위대한 국가로 보기를) 원하는〕 많은 러시아인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이 위대한 국가에 의해서) 【〔민간인들〕, 〔여성들〕과 〔아이들〕에 대하여】 【우크라이나에서 저질러진 잔혹 행위】를 볼 때, 【양립 가능성】이 어디에 있습니까? 【위대한 국가】가 어떻게 【이와 같은 어떤 것】을 할 수 있습니까?
I know most Russians have not realized it because they have been prevented from knowing, but this is, as you can see if you understand what I am saying here, that this is the only possible outcome—that the Russian people are confronted with this incompatibility in their worldview. And how is this going to happen? Well, how did it happen with the Germans? Exactly how this plays out is, of course, something that cannot be predicted. Even I, as an ascendant master, cannot predict it exactly, but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only thing that can now shift the equation in Russia and bring Russia on a positive track towards the golden age. Naturally, Saint Germain is not sitting up here saying: “Now we have to punish the Russians.”
나는 『【그들이 알 수 없도록 방해받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러시아인들〕이 〔그것〕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 만약 여러분이 【내가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것】을 이해한다면, 여러분이 볼 수 있는 것처럼 - 이것은 【이것이 가능한 유일한 결과라는 것】입니다 - 【러시아인들】이 【그들의 세계관에 이 양립할 수 없음】에 직면하는 것.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일어날까요? 음, 그것이 【독일인들】에게 어떻게 일어났을까요? 정확히 【〔이것이 유발하는〕 방법】은 (물론) 【〔예측될 수 없는〕 어떤 것】입니다. 【상승 마스터로서 나조차】 그것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지만, {이것이 『【〔(이제) 러시아에 방정식을 바꾸고〕 그리고 〔(황금시대를 향한 긍정적인 트랙에) 러시아를 데려올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물론, 【성 저메인】은 말하면서 여기 위에 앉아 있지 않습니다: "(자) 우리는 러시아인들을 처벌해야 합니다".
The new reality for Ukraine
우크라이나의 새로운 현실
He is only looking at: “How can we move Russia forward towards the golden age”? And of course, the same with Belarus and Ukraine and as I have explained, this depends on people’s willingness to look at the incompatibilities in their worldview because it is this incompatibility that prevents people from grasping Saint Germain’s vision for the golden age for that nation.
그는 보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황금시대 쪽으로 러시아를 전진시킬 수 있을까?" 그리고 물론,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내가 설명한 것처럼, 이것은 【그들의 세계관에 양립할 수 없음을 보는 사람들의 기꺼이 하는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그 국가의 황금시대를 위한 성 저메인의 비전)을 파악하는 것〕을 막는 것】이 【이 양립할 수 없음】이기 때문입니다.
How is the golden age in Ukraine going to manifest? There have to be people in Ukraine who can tune in to Saint Germain’s vision even if they have no idea of who Saint Germain is, but they can receive some idea, one person receives one idea, another receives another idea, and they all start coming together and saying: “What can we do now? Now that our situation has forever been changed by this war, how can we move forward? How can we do now what we were not able or willing to do before the war because our perspective has shifted? What is the new reality of Ukraine as a nation? And how can we move forward as a nation?“ The same, of course, for Belarus, for Russia, for any other nation for that matter.
【우크라이나에 황금시대】가 (어떻게) 나타날까요? 【비록 그들이 〔성 저메인이 누구인지〕 전혀 모르더라도】 【〔성 저메인의 비전에 조율할 수 있는〕 우크라이나에 사람들】이 있어야 하지만, 그들은 【약간의 아이디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하나의 아이디어】를 받습니다, 【다른 사람】은 【다른 아이디어】를 받습니다, 그리고 그들 모두 【〔합치고〕 그리고 〔말하기〕】 시작합니다: "우리가 이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우리의 상황】이 【이 전쟁에 의해서】 (영원히)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전진할 수 있는가? 우리가 (이제) 어떻게 『【우리의 관점이 바뀌었기 때문에】 【〔전쟁 이전에〕 우리가 할 수 없었거나 기꺼이 하지 않았던 것】』을 할 수 있는가? 【국가로서 우크라이나의 새로운 현실】이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가 국가로서 어떻게 전진할 수 있는가?" 물론, 【벨라루스도】, 【러시아도】, 【〔그 문제라면〕 어떠한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입니다.
Nothing can remain the same
아무것도 동일하게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What are the European nations doing right now? If you could see what is happening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European nations, you will see how they are reevaluating their worldview, especially their view of Russia, their view of energy and the energy situation. They are looking at: “How can we change this?” They are not thinking about : “How can we punish the Russians? How can we defeat Russia? How can we wipe Russia from the map?” They are looking at: “How can we move forward now that we can see that we cannot count on Russia for our energy supply? And that we, for that matter, cannot really count on Russia as a nation we can deal with, the same way we deal with each other”. Again, the progress that will happen there is a matter of these people’s willingness to look at the incompatibilities in their viewpoints as we have talked about at our previous conference on democracy and Christhood, how the democratic nations need to reevaluate how they deal with nations that are not democratic and that are in fact attacking democracy as an institution, as a process.
유럽 국가들이 (지금 당장)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만약 여러분이 【유럽 국가들의 집단의식에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여러분은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세계관 - 특히 러시아에 대한 그들의 견해, 에너지와 에너지 상황에 대한 그들의 견해〕을 재평가하고 있는지】 볼 것입니다. 그들은 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이것을 바꿀 수 있는가?" 그들은 ...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러시아인들을 처벌할 수 있는가? 우리가 어떻게 러시아를 물리칠 수 있는가? 우리가 어떻게 지도에서 러시아를 지울 수 있는가?" 그들은 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가 〔우리의 에너지 공급을 위해〕 러시아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전진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문제라면, 우리는 실제로 【〔(우리가 상대할 수 있는) 국가〕, 〔(우리가 서로 상대하는) 동일한 방식〕으로써】 러시아를 믿을 수 없습니다". 다시, 【〔거기에서 일어날〕 진전】은 ▶{우리가 『【〔민주주의〕와 〔그리스도임〕】에 대한 우리의 이전의 컨퍼런스에서』 『【민주 국가들】이 어떻게 【〔그들이 (〈민주적이지 않고〉 그리고 〈사실은 제도로써, 과정으로써 민주주의를 공격하고 있는〉) 국가들을 상대하는〕 방법】을 재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한 것처럼} 【그들의 세계관에 양립할 수 없음을 보는 이 사람들의 기꺼이 하는 마음의 문제】◀입니다.
With this, I have given you what I wanted to give you in this installment, other masters will, of course, have more to say about the situation. But in a way you could say that I have encapsulated, described the essence of the situation. We have a certain spiritual empathy with the people who are suffering. Our empathy is, of course, extended to the people in Ukraine, the soldiers of Ukraine, but equally to the people and soldiers of Russia. We are not nationalistic.
We do not discriminate based on nationality, race, religion, or any other of the human characteristics that human beings use to discriminate against each other. We only look at: “How can we help everyone? How can we raise up everyone?” And it is simply a matter of sometimes we must allow the School of Hard Knocks to work so that people get the knocks that are hard enough to awaken them to the need to change, to change themselves and the way they look at life.
이것으로, 나는 여러분에게 【내가 〔이번 회차에〕 여러분에게 주고 싶었던 것】을 주었습니다, 【다른 마스터들】이 (물론) 【상황에 대해 말할 더 많은 것】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는) 여러분은 【내가 〔상황의 본질〕을 요약하고, 설명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특정한 영적인 공감】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의 공감】은 (물론) 【〔우크라이나에 사람들〕, 〔우크라이나의 군인들〕】까지 확대되지만, (똑같이) 【러시아의 사람들과 군인들】에까지 확대됩니다. 우리는 국수주의적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국적〕, 〔인종〕, 〔종교〕, 혹은 〔(인간이 〈서로 차별 대우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떠한 다른 인간 특징〕에 근거해서】 차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단지 봅니다: "우리가 어떻게 모두를 도울 수 있는가? 우리가 어떻게 모두를 일으킬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은 (단지) ▶{『사람들이 【〔(바뀔), (〈그들 자신〉과 〈그들이 삶을 보는 방법〉을 바꿀) 필요성〕에 그들을 깨우기에 충분히 힘든】 불행을 겪을 수 있도록』 【(때때로) 우리가 〔고난의 학교가 일하도록〕 허용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This is where we sometimes, as ascended masters must step back and allow free will in the School of Hard Knocks to outplay itself, even though the situation is not what we ideally envisioned and saw as possible. With the invasion of Ukraine, the entire situation of Russia has fundamentally changed. Russia cannot remain the same after this. The Russian government and leadership may try to prevent change, the Russian people may resist change, but this was an irreversible step and Russia cannot remain the same. It may take time, but Russia cannot remain the same. Neither can Ukraine, neither can Belarus, neither can Europe, neither can the United States, neither can China or Iran.
이것이 ▶{『비록 상황이 【우리가 〔이상적으로 상상하고〕 그리고 〔가능한 것으로 본 것〕】이 아니더라도』 『【상승 마스터로서 우리】가 (때때로) 【〔한 걸음 물러나서〕 그리고 〔(고난의 학교로 자유의지)가 (자체를 외부 연출하도록) 허용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우크라이나의 침략으로, 【러시아의 전체 상황】이 (근본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러시아】는 【이 이후에】 동일하게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러시아 정부와 지도부】가 【변화를 막으려고】 노력할 수도 있고, 【러시아인들】이 【변화】에 저항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되돌릴 수 없는 조치】였습니다 그리고 【러시아】는 동일하게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러시아】는 동일하게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우크라이나도 마찬가지입니다, 벨라루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국 혹은 이란도 마찬가지입니다.
Why have these protests started in Iran at this time? Well, are there Iranian drones being used in Ukraine? Do you not see the karmic return on the government that allowed this to happen? Again, you see this outplayed around the world, time and time again. In fact, one must say, how can anyone look at world events and deny the law of karma? This is surely an incompatibility that must be dealt with at some point.
【이 시위들】이 (왜) 【이때에】 이란에서 시작되었을까요? 음, 【이란의 드론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고 있을까요? 여러분은 【〔이것이 일어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정부에 대한 카르마 돌아옴】을 보지 못합니까? 다시, 여러분은 이것이 【(되풀이해서) 세계 도처에서 외부 연출되는 것】을 봅니다. 사실은, 누군가가 말할 것입니다, 누가 (어떻게) 【〔(세계의 사건들)을 보고〕 그리고 〔(카르마의 법칙)을 부정할 수 있습니까〕】? 이것은 (확실히) 【〔어느 시점에 처리되어야 하는〕 양립할 수 없음】입니다.
With this, I want to extend my gratitude for you coming together for this conference, you who have organized it, part of the translation and the original initiative to do this. You understand that we often do not instruct the messenger to take an initiative when we see that there are students who can take an initiative. For we are not seeking to create a movement centered around one person. Why not? Well, if you want to see the weakness of such a system, look to Russia. Why would we in the golden age, recreate such a matrix?
이것으로, 나는 【여러분이 이번 컨퍼런스를 위해 모인 것에 대해 나의 감사】를 나타내고 싶습니다, 【〔그것을 준비한〕 여러분】, 번역 부분과 이것을 하는 원래 계획. 여러분은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을 볼 때】 우리가 보통 【메신저에게 주도하라고】 지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한 사람이 중심이 되는 운동〕을 만들려고】 추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 아닐까요? 음, 만약 여러분이 【〔그런 체제의 약점〕을 보기를】 원한다면, 【러시아】를 보세요. 우리가 (왜) 황금시대에 【그런 매트릭스】를 재창조하겠습니까?
With this, I seal you in my love. I hope that those of you in Ukraine can feel the empathy, the divine empathy that has radiated this release. Even though my words may seem sobering and chilling, the love is still there, as it is, of course, for people of Russia, Belarus and all around the world.
이것으로, 나는 나의 사랑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나는 『【우크라이나에 여러분들】이 【〔공감〕, 〔(이 발표가 방출한) 신성한 공감〕】을 느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나의 말】이 【정신이 번쩍 들게 하고 냉정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더라도, 현 상황에서는, 물론, 【〔(러시아, 벨라루스 그리고 세계 도처에 모든 곳)의 사람들〕에 대한 사랑】이 여전히 거기에 있습니다.
The Divine Mother I AM.
나는 신성한 어머니입니다.
Copyright © 2022 Kim Michaels
'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어 (2022년 10월 29일) (0) | 2022.11.29 |
---|---|
관인 (2022년 10월 28일) (0) | 2022.11.28 |
고타마 붓다 (2022년 10월 10일) (0) | 2022.11.21 |
파드마삼바바 (2022년 10월 10일) (0) | 2022.11.20 |
아스트레아 (2022년 10월 10일) (0)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