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Experiencing yourself as you are (여러분 자신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기

의식 성장 2023. 4. 30. 23:19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experiencing-yourself-as-you-are/

 

Ascended Master Jesus Christ through Kim Michaels, April 8, 2023.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3 Easter webinar – Taking Christianity and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2023년 4월 8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예수 그리스도. 이 딕테이션은 【2023년 부활절 웨비나 동안 - 기독교와 여러분 자신을 십자가에서 끌어 내리기】 주어졌습니다.

I am the Ascended Master Jesus Christ.

나는 상승 마스터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As I have hinted at in my previous discourse, what really keeps you fixated on the cross is your own mind. Not, of course, the Conscious You, but the separate selves that you have created as you were reacting to conditions on earth or as you descended to the 48th level of consciousness or descended below it. We might say that an image of this would be that you are not crucified on a cross made of wooden beams. Instead, you are crucified on a cross made of thin steel wires. Each wire is thin and is flexible, but because they are all bundled together, the entire structure is quite rigid and stiff and can therefore hold you fixated. As you overcome one separate self at a time, rising up to the 48th and beyond the 48th and beyond the 96th, you are pulling some of these steel wires out of the cross. And therefore, after some time, the cross that you are hanging on becomes more flexible, more soft, less rigid. It becomes bendable and gives you some freedom of movement.

내가 【나의 이전 담론에서】 ... 을 넌지시 비친 것처럼, 【(실제로) 여러분을 〔십자기에 고정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은 【여러분 자신의 마음】입니다. 물론, Conscious You이 아니라, {『【여러분이 지구에 조건에 반응할 때】 혹은 【여러분이 〔48번째 의식 수준으로 내려오거나〕 혹은 〔그것 아래로 내려갔을 때〕】』 【〔여러분이 만든〕 분리된 자아】}. 우리는 『【이것에 대한 이미지】가 【여러분이 〔(나무로 만든 들보)로 만들어진 십자가 위에〕 못 박혀 있지 않다는 것】일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대신에, 여러분은 【얇은 철선으로 만들어진 십자가 위에】 못 박혀 있습니다, 【각각의 철사】는 【〔얇고〕 그리고 〔구부리기 쉽지만〕】, 그것들 모두 함께 묶여 있기 때문에, 【전체 구조】는 『【상당히 단단하고 뻣뻣하고】 (따라서) 【여러분이 고정되도록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48번째까지〕 그리고 〔48번째 너머로〕 그리고 〔96번째 너머로〕 올라가면서】 【한 번에 하나의 분리된 자아】를 극복할 때, 여러분은 【이 철사들 중의 일부】를 【십자가】에서 떼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얼마 후, 【〔여러분이 ...에 매달려 있는〕 십자가】가 더 구부리기 쉽고, 더 부드럽고, 덜 단단해집니다. 그것은 『【구부릴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여러분에게 〔약간의 움직임의 자유〕를 줍니다】』.

You can say that as you walk the path, you are gradually taking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And in a sense, you can say you will be on a cross until you reach the 144th level and overcome the last illusion.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you have to be fixated on the cross for the rest of your time in embodiment, for it is possible to step down from the cross at earlier stages. I am not saying you can do this at the 48th level or even at the 96th level, but as you go above the 96th level, you can certainly take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at any time. Even between the 48th and the 96th level, you can seek to consciously make a switch that will make your personal cross less rigid. In a sense, what we have attempted to give you with the teachings about the Conscious You is a method for taking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But this cannot be done intellectually. It can only be done experientially.

여러분은 『여러분이 【길】을 걸으면서, 여러분이 (서서히) 【여러분 자신】을 【십자가】에서 끌어내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144번째 의식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분이 십자가에 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여러분이 〔구체화에서 여러분의 나머지 시간 동안〕 십자가에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초기 단계에〕 십자가에서 내려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48번째 수준에서 혹은 (심지어) 96번째 수준에서〕 이것을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지 않지만, 여러분이 【96번째 수준】을 넘어서면서, 여러분은 (확실히) (언제라도) 【여러분 자신】을 【십자가】에서 끌어내릴 수 있습니다. 48번째 수준과 96번째 수준 사이에서도, 여러분은 {『【〔여러분 개인의 십자가가 덜 경직되게〕 만들】 전환』을 의식적으로 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가 【Conscious You에 대한 가르침으로】 여러분에게 주려고 시도했던 것』은 【〔십자가〕에서 〔여러분 자신〕을 끌어내리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지적으로 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오직) 경험적으로 될 수 있습니다.

Experiencing Christ on the path to self-mastery

자아 통달에 이르는 길에서 그리스도를 경험하기

Now I know that there are some students that have studied the teachings about the Conscious You, you have accepted these teachings and you understand and grasp them intellectually.​

But what is the essence of the teachings about the Conscious You? It is that the Conscious You is not the outer self, the separate selves. The Conscious You creates a self as a pair of colored glasses, it steps into the self and experiences the world through the glasses. But it does not become the self, which means that the Conscious You has the ability to step outside, if only in a glimpse, and experience itself from outside the separate selves. This is what I, in my previous discourse, said is the potential all people have that no matter how trapped you are in the duality consciousness, you can never lose the ability to recognize Christ.

(자) 나는 『【〔(Conscious You에 대한 가르침)을 공부한〕 일부 학생】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 가르침들】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들】을 지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합니다.​ 그러나 【〔Conscious You에 대한 가르침〕의 본질】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Conscious You〕이 〔외적인 자아, 분리된 자아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Conscious You】은 【한 쌍의 색안경으로써 자아】를 만듭니다, 그것은(Conscious You) 『【〔자아〕에 발을 디디고】 그리고 【〔안경을 통해서〕 세상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그것은(Conscious You) 【자아】가 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Conscious You이 【〔(일별만으로도) 밖으로 나가서〕, 그리고 〔분리된 자아 바깥에서 자신(itself)을 경험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내가 {『【여러분이 아무리 〔이원성 의식〕에 갇혀 있더라도, 여러분이 결코 〔그리스도를 인식하는 능력〕을 잃어버릴 수 없는】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잠재력】』이라고} (나의 이전 담론에서) 말한 것◀입니다.

Now when I say this, I of course use a specific terminology common to the Christian religion. But really, how do you then recognize Christ when you are still in this state of illusion in the consciousness of death? Only by the Conscious You stepping outside of your normal state of consciousness, your normal sense of self. Your separate selves are created out of the consciousness of separation, which is the consciousness of Antichrist.

(자) 내가 【이것】을 말할 때, (물론) 나는 【기독교에 공통된 구체적인 전문 용어】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여러분이 (여전히) 〔죽음의 의식 안에 이 환상의 상태에〕 있을 때】 여러분이 어떻게 【그리스도】를 인식할까요? 『Conscious You이 【〔여러분의 보통의 의식 상태〕, 〔여러분의 보통의 자아감〕】 밖으로 나가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의 분리된 자아】는 【분리 의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것은(분리 의식) 【반그리스도 의식】입니다.

Well, Antichrist cannot recognize Christ. Antichrist can see Christ as a mental image, as a concept. And this is why if you have the experience that you recognize Christ, and then as Peter did, you superimpose a mental image upon Christ, this is done through the separate selves. In other words, the Conscious You can step outside of your separate selves, experience Christ, but you can only stay there for a moment, then you go back into the separate selves, and now you start superimposing the images and beliefs of the separate selves upon the experience you had from outside the separate selves. And this is why people can go back and forth, experience Christ, superimpose an image, experience Christ again, superimpose another image, and it can keep going like that for a long time. In fact, you can do this until you reach the 96th level, and if you do not pass the initiation at the 96th level, where you let go of your graven images, then you will continue to impose an image, and you will make that image more and more sophisticated until you go towards the lower levels of consciousness, where you are absolutely convinced that your image is an absolute truth.

음, 【반그리스도】는 【그리스도】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반그리스도】는 【그리스도】를 【〔정신적인 이미지로〕,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리스도를 인식하는】 경험을 한다면, 베드로가 한 것처럼, 여러분이 【그리스도】에게 【정신적인 이미지】를 겹쳐 놓는』 이유}입니다, 이것은 【분리된 자아를 통해서】 행해집니다. 다시 말해서, 【Conscious You】은 『【〔여러분의 분리된 자아〕 밖으로 나가서】, 【〔그리스도〕를 경험할 수 있지만】』, 여러분은 【한동안】 거기에 머물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분리된 자아】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이제) 여러분은 【〔여러분이 (분리된 자아 바깥에서) 했던〕 경험】에 【〔분리된 자아〕의 이미지와 믿음】을 겹쳐 놓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 〔(그리스도를 경험하고), (이미지를 겹쳐 놓고), (다시 그리스도를 경험하고), (다른 이미지를 겹쳐 놓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오랫동안) 그렇게 계속될 수 있습니다. 사실은, 【여러분이 〔96번째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분은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우상)을 놓는〕 96번째 수준에 입문】을 통과하지 못한다면, 여러분은 【이미지】를 계속 겹쳐 놓을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이미지)가 (절대적인 진리)라고〕 절대적으로 확신하는】 더 낮은 의식 수준』 쪽으로 갈 때까지} 여러분은 【그 이미지를 더욱더 정교하게】 만들 것입니다.

Even between the 48th and the 96th level, you are going back and forth. You have some glimpses, and then you superimpose an image. Of course, many people below the 48th level can have an experience of Christ, but as soon as they go back into their normal state of awareness, they superimpose an image that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have another experience. Now, what can be more difficult to grasp here is that even when you are above the 48th level, even if you know about ascended masters, even if you have these teachings about the Conscious You, it is still possible to understand these teachings intellectually, but you have not actually had the conscious experience of being outside your normal state of mind.

48번째 수준과 96번째 수준 사이에서도, 여러분은 왔다 갔다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약간의 일별】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이미지】를 겹쳐 놓습니다. 물론, 【48번째 수준 아래에 많은 사람들】이 【그리스도에 대한 경험】을 갖고 있을 수 있지만, 그들이 【그들의 보통의 인식 상태】로 돌아오자마자, 그들은 『【〔그들이 다른 경험을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이미지』를 겹쳐 놓습니다. 자, 【여기에서 파악하기 더 어려울 수 있는 것】은 『여러분이 【48번째 수준 위에】 있을 때에도, 비록 여러분이 【상승 마스터】에 대해 알고 있더라도, 비록 여러분이 【Conscious You에 대한 이 가르침들】을 갖고 있더라도, 【(지적으로) 〔이 가르침들〕을 이해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지만, 여러분이 실제로 【〔여러분의 보통의 마음 상태 바깥에 있는 것〕에 대한 의식적인 경험】을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This can be a bit tricky to understand, and this is where words have some limitations. Can you rise to the 48th level without having an encounter with Christ? You can say you cannot. You must experience that there is something beyond your present opinions, your present view of the world, and you must be willing to change your view of the world in order to rise to the 48th level. But you may not have a conscious experience or grasp of what that means. In other words, you can also say that the encounter with Christ is so brief that it does not quite register in the conscious mind. You register there was some shift, you saw something you did not see before, but you are not really aware of yourself as the Conscious You that has stepped outside your four lower bodies, your normal state of mind.

이것은 이해하기 조금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말)이 (어떤 제약)을 갖고 있는〕 경우】입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와 마주치지 않고】 【48번째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여러분이 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현재 의견), (여러분의 현재 세계관)〕 너머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경험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48번째 수준〕까지 올라가기 위해서】 【여러분의 세계관】을 기꺼이 바꾸어야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식적인 경험 혹은 이해】를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또한) 『【그리스도와 마주침】이 【그것이 정말 의식적인 마음에 기록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잠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약간의 변화〕가 있었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이전에 보지 못한) 어떤 것〕을 보았다는 것】』을 알아채지만, 여러분은 (정말로)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네하위체, 여러분의 보통의 마음 상태) 밖으로 나간〕 Conscious You】으로 알지 못합니다.

Studying the Conscious You from a distance

멀리서 Conscious You을 연구하는 것

You can understand intellectually that we have explained that the Conscious You is pure awareness. You can understand intellectually what it means to step outside of your normal sense of self because you also understand intellectually that you have these selves that color your perception. But it is a different experience when you consciously realize that you have stepped outside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And be careful to consider what that means. What is it that happens when you study a spiritual teaching and you formulate a mental image based on the teaching?

여러분은 『우리가 【〔Conscious You〕이 〔순수한 인식〕이라고】 설명한 것』을 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보통의 자아감 밖으로 나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이 【〔(여러분의 지각)을 채색하는〕 이 자아들】을 갖고 있다는 것』을 지적으로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밖으로 나갔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때』 그것은 【다른 경험】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것】을 주의 깊게 숙고하세요. {『여러분이 【영적인 가르침】을 공부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가르침에 근거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때』 일어나는 것}이 무엇일까요?

Well, whenever you formulate a mental image of anything, and it can be a spiritual teaching, or it can be a rock or a mountain in the distance, you are looking at it from a distance. You are an object, you are a subject perceiving an object that you see as distinct from yourself. When you get the teaching we have given through this messenger, that you have all these separate selves that color your perception, but that you also have a Conscious You that is not the separate selves, that the core of your identity is the Conscious You, that the Conscious You can step outside of the selves, what can you do? Well, you can formulate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mental image of this. What is it that happens here? Well, you are experiencing yourself as a subject who is studying an object, and the object becomes or is the Conscious You. You as a subject are studying the Conscious You as an object, you are understanding it, you are formulating a mental image of it. But what does this mean?

음, 여러분이 【어떠한 것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낼 때마다 - 그리고 그것은 【영적인 가르침】일 수 있습니다, 혹은 그것은 【〔바위〕 혹은 〔먼 곳에 산〕】일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은 【멀리서】 그것을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객체】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과 별개의 것으로 보는〕 객체】를 인지하는 주체』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모두가 〔(여러분의 지각을 채색하는) 이 분리된 자아들〕을 갖고 있지만】, 【여러분은 (또한) 〔(분리된 자아가 아닌) Conscious You〕을 갖고 있고】, 【〔여러분의 정체성의 핵심〕이 〔Conscious You〕이고】, 【〔Conscious You〕이 〔자아들〕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우리가 이 메신저를 통해서 준〕 가르침】}을 얻을 때, 여러분이 【무엇】을 할까요? 음, 여러분은 【〔이것에 대한〕 지적인 이해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객체를 연구하고 있는〕 주체】로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객체】는 【Conscious You】이 되거나 혹은 입니다. 【주체로서 여러분】은 【Conscious You】을 【객체】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It means you are looking at the Conscious You from a distance. You are studying an object. We tell you that the Conscious You can step outside of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but what can you do? You can use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to create a mental image of what it means to step outside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You can formulate a mental image of what it is like to be outside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You can hear us say that the Conscious You is pure awareness, but to you this is just a concept, so you formulate a mental image of what pure awareness means, and you might try to use this concept of pure awareness to experience pure awareness. But you see, this cannot be done. This cannot be done. Why? Because the Conscious You is not an object that you, the subject, can study. As long as you think the Conscious You is an object remote from yourself that you are studying from a distance, you cannot experience the Conscious You. You cannot step outside of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because in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you see yourself as a subject studying objects or ideas.

그것은 【여러분이 (멀리서) 〔Conscious You〕을 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은 【객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Conscious You〕이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밖으로 나갈 수 있다고】 말하지만, 여러분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밖으로 나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바깥에 있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Conscious You)이 (순수한 인식)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지만, (여러분에게) 이것은 【개념】일 뿐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순수한 인식)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순수한 인식을 경험하기 위해】 【〔순수한 인식에 대한 이 개념〕을 이용하려고】 노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왜? 왜냐하면 【Conscious You】은 『【〔여러분(주체)〕이 연구할 수 있는】 객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Conscious You】이 【〔여러분이 멀리서 연구하고 있는〕 여러분 자신과 멀리 떨어진 객체】라고』 생각하는 한, 여러분은 【Conscious You】을 경험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밖으로 나갈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에서)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객체〕 혹은 〔생각(ideas)〕을 연구하는 주체】로 보기 때문입니다.

Experiencing yourself as the Conscious You

여러분 자신을 Conscious You으로 경험하기

What is it that needs to happen in order for the Conscious You to step outside your normal state of awareness? Well, you have to have what some of my early followers and other mystics have called Gnosis. What is Gnosis? It is that the separation, the barrier between subject and object, breaks down. What have I just said? You are studying our teaching about the Conscious You.

But who is studying the teaching? Who is deciding I will study this abstract teaching? It is the Conscious You. Now it may be looking at the teaching through the filter of one or several of these separate selves, but it is the Conscious You. In a sense we can say that the Conscious You is studying itself. But as long as the Conscious You is studying itself, it cannot experience itself. What needs to happen is that this illusion that you are a subject studying an object has to break down. You have to switch out of it so that instead of the Conscious You looking at itself from a distance, there is no longer any distance.

『【Conscious You이 〔여러분의 보통의 인식 상태〕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 일어나야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여러분은 【〔(나의 초기 추종자들 중의 일부)와 (다른 신비주의자들)〕이 〔영지〕라고 불렀던 것】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영지】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분리), (주체와 객체 사이에 장벽)〕이 무너지는 것】입니다. 내가 방금 뭐라고 말했습니까? 여러분은 【Conscious You에 대한 우리의 가르침】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가르침】을 연구하고 있을까요? 누가 【내가 〔이 추상적인 가르침〕을 연구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있을까요? 그것은 【Conscious You】입니다. (자) 그것은(Conscious You) 【〔이 분리된 자아들 중의 하나 혹은 몇 개의 필터〕를 통해서】 【가르침】을 보고 있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Conscious You】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Conscious You〕이 자신을(itself) 연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onscious You】이 자신을(itself) 연구하고 있는 한, 그것은(Conscious You) 자신을(itself) 경험할 수 없습니다. 【일어나야 하는 것】은 『【〔여러분이 (객체를 연구하는 주체)라는〕 이 환상】이 부서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Conscious You이 멀리서 자신을(itself) 보는 대신에, (더 이상) 【어떠한 거리】도 없을 정도로』 여러분은 그것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You are experiencing yourself as the Conscious You, not as a concept, not as a mental image, not as some intellectual understanding. There are various meditation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over time going all the way back to ancient times for helping people achieve this. The koans known from Buddhism is one way to confuse the outer mind so you switch out of it and experience something els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this. They all have a certain validity, a certain use, but there is not one method that is a guaranteed automatic way for you to step outside of this.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Conscious You】으로 경험하고 있습니다, 【개념】으로가 아니라, 【정신적인 이미지】로가 아니라, 【어떤 지적인 이해】로가 아니라. 『【〔사람들이 이것을 성취하는 것〕을 돕기 위한】 【〔시종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이 흐르면서 개발되었던) 다양한 명상 방법〕】』이 있습니다. 【불교로부터 알려진 선문답】은 【외적인 마음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그것에서 벗어나서〕 그리고 〔다른 어떤 것을 경험합니다〕】. 【이것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들 모두 【〔특정한 유효성〕, 〔특정한 용도〕】를 갖고 있지만, 『【〔여러분이 이것 밖으로 나갈 보장된 자동적인 방법〕인】 한 가지 방법』은 없습니다.

Neutralizing your analytical mind

여러분의 분석적인 마음을 무력화하기

I will give you, and we have given you methods over time, but I will give you a simple one. We have given you the image that you live in a material world, above it is the spiritual realm, but even the spiritual realm is not one whole, there is a progression of different vibrations leading through the previous spheres that have now ascended all the way up to the Creator. We have given you the image that your world of form started with your Creator.

나는 여러분에게 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분에게 방법을 주었지만, 나는 여러분에게 【간단한 한 가지】를 주겠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물질세계에) 살고 있고〕, 〔(그것 위에) 영적인 영역이 있다는〕】 이미지를 주었지만, 【영적인 영역】도 (전적으로) 하나가 아닙니다, 『【〔지금 상승한〕 이전 구체들】을 통해서 【(시종) 창조주】까지 이어지는 다른 진동의 연속』이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형태의 세계〕가 〔여러분의 창조주〕와 함께 출발했다는】 이미지』를 주었습니다.

But now consider a simple question. Where did your Creator come from? Well, we have given you some images there that the Creator evolved in another world of form and at (that) that world of form even came out of something called the Allness. But consider this, what came before your Creator? Where did your Creator come from? What was before? What created God? Well, another God, but what created the first God? Where was the first God? Where did the first God come from?

그러나 (이제) 【간단한 질문】을 숙고해 보세요. 【여러분의 창조주】가 어디에서 왔을까요? 음, 우리는 여러분에게 {『【〔창조주〕가 〔다른 형태의 세계에서〕 진화했고】 그리고 【〔그 형태의 세계〕도 전체성이라고 불리는 어떤 것〕에서 왔다는】』 약간의 이미지}를 주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숙고해 보세요, 【여러분의 창조주 이전에】 무엇이 있었을까요? 【여러분의 창조주】가 어디에서 왔을까요? 이전에 무엇이 있었을까요? 무엇이 【하나님】을 창조했을까요? 음, 다른 하나님이지만, 무엇이 【첫 번째 하나님】을 창조했을까요? 【첫 번째 하나님】이 어디에 있었을까요? 【첫 번째 하나님】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And just think about this question with your analytical mind and you will see that there comes a point where the analytical mind is paralyzed, it stops, it does not know what to do. Because the analytical mind, the linear mind, is very attached to this idea that everything must have had a beginning. If the Creator created your world, what created the Creator? If there is creation,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that created the first creation, but what would that something be? It is sort of a cosmic version of the old question, what came first, the chicken or the egg? And you can even use this metaphor, where did the first chicken come from? Well, it must have come out of an egg because that is where chickens come from. But wait a minute, before the first chicken, there were no chickens. Who laid the first egg? Well a chicken, but there were no chickens because this was the first egg. Where did that come from? And you can create these kinds of paradoxes and by contemplating them, you might be able to switch out of this linear mindset that keeps you trapped in thinking about something as an object, thereby seeing yourself as a subject.

그리고 (단지) 【여러분의 분석적인 마음으로】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여러분은 {【〔(분석적인 마음)이 마비되고〕, 〔그것이(분석적인 마음) 멈추고〕, 〔그것이(분석적인 마음) 무엇을 할지 알지 못하는〕】 지점이 온다는 것}을 볼 것입니다. 왜냐하면 【〔분석적인 마음〕, 〔선형적인 마음〕】은 『【〔모든 것〕이 〔시작〕이 있어야 한다는】 이 생각』에 매우 애착을 갖기 때문입니다. 만약 【창조주】가 【여러분의 세계】를 창조했다면, 무엇이 【창조주】를 창조했는가? 만약 【창조물】이 있다면, 【〔(첫 번째 창조물)을 창조한〕 어떤 것】이 있어야 하지만, 【그 어떤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일종의) 【오래된 질문의 우주 버전】입니다, 무엇이 먼저 왔는가, 닭인가 혹은 달걀인가? 그리고 여러분은 【이 비유】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닭】이 어디에서 왔는가? 음, 그것은 【달걀】에서 왔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닭이 ...에서 오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만있자, 첫 번째 닭 이전에, 【닭】이 없었습니다. 누가 【첫 번째 달걀】을 낳았는가? (음) 닭이지만, 【이것이 〔첫 번째 달걀〕이었기 때문에】 【닭】이 없었습니다. 그것이 어디에서 왔는가? 그리고 여러분은 【이러한 종류의 역설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심사숙고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객체로써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분을 자신을 주체로 보는 것〕에 갇히도록】 유지시키는』 이 선형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Taking Conscious You down from the cross

십자가에서 Conscious You을 끌어내리기

We might say, what is it that keeps you on your personal cross? Well, who is the you that is on your personal cross? Is it the Conscious You? No, the Conscious You is pure awareness. The Conscious You has no form. How are you going to take something formless and find a hand that you can hammer a nail through or a leg that you can hammer a nail through? How will you do that to something formless? The formless cannot be on the cross. IIt can only be the selves that are on the cross. And until you reach the 144th level, you will have selves and they will be on the cross. But it does not mean that Conscious You has to be on the cross until you reach the 144th level.

말하자면, 【〔여러분 개인의 십자가에〕 여러분을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인가? 음, 【〔여러분 개인의 십자가에 있는〕 여러분】이 누구인가? 그것이 【Conscious You】인가? 아닙니다, 【Conscious You】은 【순수한 인식】입니다. 【Conscious You】은 【형태】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어떻게 {『【형태 없는 어떤 것】을 가져다가』 그리고 『【〔여러분이 ... 을 관통하여 못을 칠 수 있는〕 손】 혹은 【〔여러분이 ... 을 관통하여 못을 칠 수 있는〕 다리】를 찾을 수 있습니까?』}. 여러분이 어떻게 【형태 없는 어떤 것에】 그것을 하겠습니까? 【형태 없는 것】은 십자가에 있을 수 없습니다. 【십자가에 있는 것】은 【자아】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144번째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분은 【자아들】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십자가에】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여러분이 〔144번째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Conscious You】이 십자가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But in order to avoid experiencing itself as being on the cross, you have to stop seeing yourself as a subject studying objects. The Conscious You cannot actually study itself as an object. It can only see itself as an object for study through a separate self. And that is why as long as you are looking through that separate self, you cannot experience yourself as the conscious self. You cannot step outside the self. What can help you? Well, all of the teachings we have given on the separate selves and the Conscious You will help you. You can say that as you walk the path, there will come this point where the Conscious You is no longer so identified with these selves that you can begin to step outside of the selves and experience, glimpses in the beginning, of pure awareness that can then become more frequent until you can have this underlying sense that you know you are not the selves, you are not identified with the selves. You can see that in your container self, in your four lower bodies, you still have selves and you cannot resolve them all at once. You focus on one at a time.

그러나 【자신을(itself) 〔십자가에 있는 것〕으로 경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객체를 연구하는 주체】로 【여러분 자신】을 보는 것』을 멈추어야 합니다. 【Conscious You】은 실제로 【자신(itself)】을 【객체】로 연구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Conscious You) 【자신(itself)】을 【분리된 자아를 통한 연구의 대상】으로 볼 수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이 【그 분리된 자아를 통해서】 보고 있는 한,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conscious self】로 경험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여러분은 【자아】 밖으로 나갈 수 없습니다. 무엇이 【여러분】을 도울 수 있을까요? 음, 『【우리가 〔(분리된 자아)와 (Conscious You)〕에 대해 준】 모든 가르침』이 【여러분】을 도울 것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길을 걸을 때, ▶여러분이 {『자아들 밖으로 나가서』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분리된 자아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고), (여러분이 〈자아들〉과 동일시되지 않는)〕 이 근본적인 감각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더 자주 일어나게 될 수 있는〕 순수한 인식】에 대한 맨 처음에 일별을 경험하기』}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Conscious You】이 더 이상 【이 자아들】과 매우 동일시되지 않는』 이 지점}이 올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용기 자아(container self) 안에, 여러분의 네하위체 안에, 여러분이 여전히 【자아들】을 갖고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한 번에 하나에】 집중합니다.

You are at a certain level of the path, say the 108th level. You focus on the self at that level, overcome it and rise to the 109th where you look at the next self and so forth. But you can overcome the identification where you see yourself, experience yourself as the Conscious You and you realize these selves are not who you are. You are not identified with them. You still have them, you understand, but you are not identified with them. It is as if you are wearing colored glasses over your eyes and they are coloring everything you see. But now you take the glasses off with your hand and you hold them at a distance. The glasses are still there. They are coloring what you see, but they are not coloring everything you see because you see that there is something outside the glasses that are not colored by the glasses.

여러분은 【길의 특정한 수준에 - (말하자면) 108번째 수준】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 수준에 자아〕에 집중하고】, 【〔그것〕을 극복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다음 자아를 보는) 109번째〕로 올라갑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보는) 동일시〕를 극복하고】 【〔여러분 자신〕을 〔Conscious You〕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 자아들〕이 〔여러분(who you are)〕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합니다. 여러분은 【그것들】과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전히) 【그것들】을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해하지만, 여러분은 【그것들】과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마치 【여러분이 〔여러분의 눈에 색안경〕을 끼고 있고】 그리고 【그것들이 〔(여러분이 보는) 모든 것〕을 채색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이제) 여러분은 【여러분의 손으로】 안경을 벗기고 그리고 여러분은 【거리를 두고】 그것들을 잡고 있습니다. 【안경】은 여전히 있습니다. 그것들이 【여러분이 보는 것】을 채색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여러분이 보는〕 모든 것】을 채색하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안경에 의해서 채색되지 않은〕 안경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보기 때문입니다.

This is what will naturally happen as you walk the path and rise above the 96th level. But what can you do in the meantime? Well, you can come to a conscious decision ultimately, but in the beginning an understanding. And it is the understanding, it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but let me refer to one of my statements. “What is that to thee? Follow thou me.” You can decide that it is important to you to follow Christ or to follow the spiritual path or to follow your higher self or your ascended teachers, whomever you see as your teacher. It is more important to follow the teacher than anything else.

이것은 『(물론) 【여러분이 〔길을 걷고〕 그리고 〔96번째 수준을 넘어서면서〕】 일어날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동안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음, 여러분은 (궁극적으로) 의식적인 결정으로 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 이해. 그리고 그것은 【이해】입니다, 그것은 【다른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나의 진술 중의 하나】를 언급하겠습니다.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리스도〕를 따르거나】 혹은 【〔영적인 길〕을 따르거나】 혹은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혹은 〔여러분의 상승한 교사 - (여러분이 여러분의 교사로 보는) 누구든〕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고}, {【다른 무엇보다 교사를 따른 것】이 중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습니다.

The ego: the ultimate control freak

에고: 궁극적인 통제광

But what is it you then have to start looking at? You have to start looking at what is the essence of the separate selves? What is the essence of what we used to call the ego? It is that it wants to control everything. The selves below the 48th level, what most people and most spiritual teachings call the ego, are control freaks. The ego is the ultimate control freak. It creates a mental image of seeing itself as a subject, studying, for example, a spiritual teaching, and now it needs to elevate this to some ultimate status: This is an absolute truth, this is the highest spiritual teaching on the planet, whatever it may be. And this is done for one reason only, control. The ego needs to feel it is in control. We have talked about the duality consciousness. It can feel control by elevating one dualistic polarity to the status of infallibility, thereby denying the validity of the opposite polarity. But there is always tension. Your ego is in constant tension because it always wants to be in control, it has to be right.

그러나 【여러분이 보기 시작해야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분리된 자아의 본질〕이 무엇인지?】 보기 시작해야 합니다. 【〔우리가 에고라고 부르곤 했던 것〕의 본질】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그것이 〔모든 것을 통제하기를〕 원한다는 것】입니다. ​『【48번째 수준 아래에 자아들】, 【〔(대부분의 사람들)과 (대부분의 영적인 가르침)〕이 〔에고〕라고 부르는 것】』은 【통제광】입니다. 【에고】는 【궁극적인 통제광】입니다. 그것은(에고) 『【〔자신(itself)을 주체로 보고〕, 〔(예를 들어) 영적인 가르침을 공부하는 것〕】의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제) 그것은(에고) 【이것】을 【어떤 궁극적인 지위】로 높여야 합니다: 이것은 【절대적인 진리】입니다, 이것은 【행성에서 가장 높은 영적인 가르침】입니다, 그것이 무엇이든. 그리고 이것은 【오직 한 가지 이유로】 행해집니다, 통제. 에고는 【그것이(에고) 통제한다고】 느껴야 합니다. 우리는 【이원성 의식】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것은(에고) {『【〔하나의 이원론적인 극성〕을 〔무오류의 지위〕로 높이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반대 극성의 타당성〕을 부정하는 것】』에 의해서} 통제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긴장 상태】가 항상 있습니다. 【여러분의 에고】는 【끊임없는 긴장 상태 안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여러분의 에고) 항상 【통제하기를】 원하고, 그것이(여러분의 에고) 옳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What is most important to you?

여러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And you can come to see this consciously. You can come to recognize that you have this need to be in control, to feel that you are right. And then you can, as you contemplate this compared to our teachings, you can come to the point where you can make that decision: What is most important to me? To be right or to follow Christ? To be right among men, to be right in my own mind or to follow Christ? Is it more important to me to be righ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my separate selves and the ego or to discover what is the higher view of Christ?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을 (의식적으로) 보게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통제할 이 필요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이 【우리의 가르침과 비교해서】 이것을 심사숙고하면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 결정을 할 수 있는〕 지점】으로 올 수 있습니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옳은 것】 혹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 【사람들 가운데에서 옳은 것】, 【나 자신의 마음속에서 옳은 것】 혹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 【〔나의 분리된 자아의 정의에 따라〕 옳은 것】이 나에게 중요한가 (그렇지 않으면) 【〔(그리스도에 대한 더 높은 견해)가 무엇인지〕 발견하는 것】이 나에게 중요한가?

And of course, the primary way for you to see this control aspect of the ego is to look at what the Buddha called attachments. Are you attached to your opinions, your beliefs? You have a concept in Zen Buddhism, I clutch my ideas. Well, this is what the scribes and the Pharisees did. This is what Peter did. This is why he could recognize me, but he could never really follow me because he always had to be right in his mind. And there are Gospels, the Gospel of Mary Magdalene, for example, where you see that he was often in conflict with the other disciples because he had this need to feel he was right. If you see this pattern in yourself, then you know you have this, you have not overcome this self for whom control is so important. And you can then start working on it using the tools we have for exposing selves. You can make calls on it, and you can eventually come to a point where you can decide that this is no longer as important as following Christ.

그리고 물론, 【여러분이 에고의 이 통제 측면을 보는 주된 방법】은 【〔붓다가 애착이라고 불렀던 것〕을 보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의견〕, 〔여러분의 믿음〕】에 애착을 느낍니까? 여러분은 선불교에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 나는 【나의 생각】을 움켜잡습니다. 음, 이것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베드로〕가 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그가 〔나〕를 인식할 수 있었지만】, 【그가 결코 정말로 〔나〕를 따를 수 없었던】』 이유}입니다 (왜냐하면) 그는 항상 그의 마음속에서 옳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그가 (〈그가 옳다고〉 느끼는 이 필요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가 자주 〔다른 제자들〕과 충돌했다는 것】을 보는』 복음 - 예를 들어 막달라 마리아의 복음 -}이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 안에 이 패턴】을 본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것〕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여러분은 【〔통제가 매우 중요한〕 이 자아】를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우리가 〈자아를 노출시키기 위해〉 갖고 있는) 도구〕를 사용하면서】 【그것】에 대해 애쓰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에 대해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결국) {『여러분이 【이것이 더 이상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 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는』 지점}으로 올 수 있습니다.

What is that to thee? Follow thou me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

Now, you can see when you look at the situation over these past three years, you can see that there are people who had followed the spiritual paths for many years. They had followed ascended masters for many years. They had even followed the teachings we have given through this messenger for many years. But then suddenly comes a situation where they become very, very attached to being right about a specific condition in the world. It could be the United States election. It could be wearing a mask or getting vaccinated. It could be the war in Ukraine. It could be any number of other things. But you see that even a person who has followed the path for quite some time can suddenly find itself being very, very attached to being right about a particular issue in the world.

자, 【여러분이 〔이 지난 3년 동안 상황〕을 볼 때】 여러분은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 해 동안) 영적인 길을 따랐던〕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여러 해 동안】 상승 마스터를 따랐습니다. 그들은 (심지어) 【〔우리가 (여러 해 동안 이 메신저를 통해서) 준〕 가르침】을 따랐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그들이 〔세상에 특정한 조건에 대해 옳은 것〕에 매우, 매우 애착을 느끼게 되는】 상황』이 옵니다. 그것은 【미국 선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혹은 〔백신을 접종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우크라이나에 전쟁】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많은 다른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상당히 오랫동안 길을 따랐던〕 사람들】도 (갑자기) 【〔(세상에 특정한 주제에 대해 옳은 것)에 매우, 매우 애착을 느끼는〕 자신(itself)】을 발견한다는 것』을 봅니다.

And you can even see it to the point where these people launch a campaign to prove other people wrong. Even some prove the messenger wrong, or even some that step back and say: “Oh, Kim got it wrong on this issue. We know better. We are his older brothers holding the balance for him until he sees what we see.” But what they forget is that I am standing there, I, the Ascended Master Jesus Christ, I am standing there saying: “What is that to thee? Follow thou me.” Is it really more important for you to be right about this condition in the world than to follow Christ? And some of these students will say: "but I am following Christ; That is why I have this opinion".

그리고 여러분은 『【〔이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틀렸음을 입증하는) 캠페인〕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그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는 【메신저가 틀렸음을】 입증합니다, (혹은) 심지어 일부는 【〔한 걸음 물러나서〕 그리고 〔말합니다〕】: "오, 【킴】이 이 주제에 대해 잘못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더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가 〔우리가 보는 것〕을 볼 때까지】 【그를 위해 균형을 잡고 있는 그의 형】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잊는 것】은 【내가 거기에 서 있다는 것】입니다, 나 상승 마스터 예수 그리스도, 내가 【〔: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라고 말하면서】 거기에 서 있습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보다〕 여러분이 세상에 이 조건에 대해 옳은 것】이 (정말로) 더 중요합니까? 그리고 【이 학생들 중의 일부】는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리스도】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것이 【〔내가 이 의견을 갖고 있는〕 이유】입니다".

Get thee behind me, Satan

사탄아, 내 뒤로 물러나라

And that is where they are wrong. And I need to use the strong word wrong, because you are wrong. You are in fact in the Peter consciousness. And you deserve to hear the same words that I said to Peter: “Get thee behind me, Satan.” Because you are trying to pull me into agreeing with your worldly opinions. Well, my beloved, there is absolutely no worldly opinion or condition that is an absolute truth. There is absolutely no worldly opinion or condition that is more important than you following Christ. And what is it that Christ wants? Well, what did I say in my previous discourse when I talked about the Christians? And some of you were sitting there hearing this and thinking: “Yeah, the Christians do not see this, but we of course, understand it.” But some of you do not understand it. You have not grasped it. Christ always comes to disturb you. Christ always comes to disturb your sense of being in control because that is the only way you can grow. As long as your ego thinks it is in control and you have the highest possible view of something in the world, you cannot grow. You are not walking the path of Christ. Because what is the path of Christ? It is to free yourself from all of the opinions of the world, all of the opinions of men. The scribes and the Pharisees thought they knew everything, and I had nothing to teach them or help them with, because their egos had this obsessive compulsive need to be in control. They could refute anything I said because their egos had the overarching view: “I cannot be wrong. It does not matter what anybody says, I cannot be wrong.” And this is fine.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틀린 곳】입니다. 그리고 나는 【틀렸다는 강한 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틀렸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사실은) 【베드로 의식 안에】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내가 베드로에게 말한〕 같은 말】을 들을 만합니다: "사탄아, 내 뒤로 물러나라". 왜냐하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세속적인 의견에 동의하도록】 【나를 끌어들이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음, 나의 사랑하는 이여, 【〔절대적인 진리인〕 세속적인 의견 혹은 조건】은 결코 없습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보다〕 더 중요한】 세속적인 의견 혹은 조건』은 결코 없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내가 기독교인들에 대해 말했을 때】 내가 (나의 이전 담론에서) 뭐라고 말했습니까? 그리고 【여러분 중의 일부】는 【〔이것을 듣고〕 그리고 〔생각하면서〕】 거기에 앉아 있었습니다: "예,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보지 못하지만, (물론) 우리는 【그것】을 이해합니다". 그러나 【여러분 중의 일부】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리스도】는 (항상) 【여러분을 방해하기 위해】 옵니다. 【그리스도】는 (항상) 【〔여러분의 통제하는 감각〕을 방해하기 위해】 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이 성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에고】가 『【그것이(여러분의 에고) 통제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세상에 어떤 것)에 대해 가능한 가장 높은 견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한, 여러분은 성장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길】을 걷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길】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세상의 모든 의견〕, 〔사람의 모든 의견〕】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그들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들에게 가르치거나〕 혹은 〔...를 이용하여 그들을 도울〕】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에고】가 【통제하는 이 강박적인 욕구】를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내가 말한〕 무엇이든】 반박할 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에고】가 【대단히 중요한 견해】를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틀릴 수 없습니다. 【누군가가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나는 틀릴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괜찮습니다.

You may see yourself as an ascended master student, and you may be absolutely convinced that “I am right about Trump, I am right about Russia, I am right about vaccines.” But my beloved, I can only react in one way. He who denies me before men, him must I deny before the Father. You are not ready to enter the kingdom. Why not? Because you are attached to some opinion on earth. But in the kingdom of God, none of the opinions on earth matter. What have we said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How do you ascend? By overcoming all attachments to anything on earth. It all has to go. All of the ghosts have to go until you can give up that last ghost. And when you are standing there at the 144th level, you have to look back at earth. In fact, you have to do this at every level above the 96th level especially. You have to look at earth and say: “Is there anything I am attached to? Is there anything that is unfinished? Anything that I want to experience? Anything I want to do? Anything I want to prove right?”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상승 마스터 학생】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나는 트럼프에 대해 옳고】, 【나는 러시아에 대해 옳고】, 【나는 백신에 대해 옳다고"】』 절대적으로 확신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의 사랑하는 이여, 나는 【한 가지 방식으로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 앞에서 나를 부정하는〕 그】, 나는 【아버지 앞에서】 그를 부정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왕국〕에 들어갈】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왜 아닐까요? 왜냐하면 여러분은 【지구에 어떤 의견】에 애착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왕국에, 【지구에 의견 중의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반복해서) 뭐라고 말했습니까? 여러분이 어떻게 상승할까요? 【〔지구에 어떠한 것에 대한 모든 애착〕을 극복하는 것】에 의해서. 【그 모든 것】이 사라져야 합니다. 【여러분이 〔그 마지막 환영〕을 포기할 수 있을 때까지】 【모든 환영】이 사라져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144번째 수준에】 서 있을 때, 여러분은 【지구】를 되돌아보아야 합니다. 사실은, 여러분은 【(특히) 96번째 수준 위에 모든 수준에서】 이것을 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지구를 보고〕 그리고 〔말해야 합니다〕】: "【〔내가 ...에 애착을 느끼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완결되지 않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내가 경험하고 싶은〕 어떠한 것】? 【〔내가 하고 싶은〕 어떠한 것】? 【〔내가 옳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은〕 어떠한 것】?

And if there is, you are not ready to take the next step and you are certainly not ready to ascend. What did I say in my previous discourse? When I, who was at a very high level of consciousness back then 2000 years ago, towards the end of my mission, when I was hanging on the cross, I still had a ghost that I had to give up. By the fact that you are in a physical body, you still have something to give up. And how can you give up that to which you are attached? Why did I say: “He who seeks to save his life shall lose it?” Well, he who seeks to save his opinions, his viewpoints, his sense of being right, more right than Christ, will lose his life because you cannot enter and you will stay in a consciousness of death and you cannot enter the kingdom of life. You cannot be reborn in Christ because you are holding on to that old sense of identity.

그리고 만약 있다면, 여러분은 【다음 단계를 밟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확실히) 【상승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내가 【나의 이전 담론에서】 뭐라고 말했습니까? 【〔2000년 전 그 당시에 매우 높은 의식 수준에 있었던〕 내】가 나의 임무의 끝 무렵에, 내가 십자가에 매달려 있었을 때, 나는 (여전히) 【〔내가 포기해야 하는〕 환영】을 갖고 있었습니다. 【〔여러분이 육체적인 몸 안에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여러분은 (여전히) 【포기할 어떤 것】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이 ...에 애착을 느끼는〕 그것】을 포기할 수 있을까요? 내가 왜 말했을까요?: "【〔그의 생명을 구하려고 하는〕 자】는 그것을 잃어버릴 것이다". 음, 『【〔그의 의견〕, 〔그의 관점〕, 〔(옳다는, 그리스도보다 더 옳다는) 그의 감각〕을 구하려고 하는】 자』는 【그의 생명】을 잃어버릴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들어갈 수 없고 그리고 여러분은 【죽음의 의식에】 머물 것이고 그리고 여러분은 【생명의 왕국】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 안에서】 다시 태어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그 오래된 정체감】에 매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Using a spiritual teaching to be right

옳기 위해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하기

This messenger, as most of you know, has recently recorded all of these YouTube videos and he actually describes in one of these videos how he, just a few days ago, came to an important breakthrough on the path. And it relates to this topic that he had observed from his earliest forays on the spiritual path and up through the present, that there are some people who are spiritual students, they study a spiritual teaching, they are often very eager to practice the practices, but they are still trapped, their minds are closed, they are still stuck, there is something they cannot get beyond. And it is precisely this, the need to feel that you are right, so your ego can feel it is in control.

【여러분 중의 대부분】이 알고 있는 것처럼, 【이 메신저】는 (최근에) 【이 모든 유튜브 비디오들】을 녹화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실제로) 【그가 어떻게 (며칠 전에) 〔길에서 중요한 돌파구〕로 왔는지】 (이 비디오들 중의 하나에서) 설명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영적인 학생들인〕 일부 사람들】이 있고』, 『그들이 【영적인 가르침】을 공부하고』, 『그들이 보통 【연습을 하는데】 매우 열심이지만』, 『그들이 여전히 갇혀 있고』, 『【그들의 마음】이 닫혀 있고』, 『그들이 여전히 꼼짝 못 하고』, 『【〔그들이 넘어설 수 없는〕 어떤 것】이 있는』} 『【그가 〔(영적인 길에 그의 초기 진출부터) 그리고 (현재까지)〕 관찰한】 이 주제』◀와 관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여러분의 에고〕가 〔그것이(여러분의 에고) 통제한다고〕 느낄 수 있도록】 【여러분이 옳다고】 느낄 필요성』.

And the messenger had a breakthrough where he saw that what he had not connected to was that, we have talked about the world being a reality simulator where you can have an immersion experience and an awakening experience. And he thought that in order to discover the spiritual path and follow it, you would have to be in the awakening phase, you could not be in the immersion phase still. But you see,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immersion phase? It is that you take some criteria here on earth and you use that, you use an ideology, a religion, a spiritual teaching, to build up your sense that you are superior to other people. He explains how this is a compensation game, which I will not go into here, but you build up the sense that you are superior to other people, but how can you build the sense that you are superior to other people? Only when you see yourself as a separate being, because only a separate being can be superior. But when you are on a path of oneness, you have less and less need to feel superior until it drops away completely.

그리고 【메신저】는 ▶그가 {【그가 ...에 연결되지 않았던 것】이 『우리가 【세상이 〔(여러분이 〈몰입 경험과 자각 경험〉을 할 수 있는) 현실 시뮬레이터〕라는 것】에 대해 말했던 것』이라는 것}을 본◀ 돌파구를 갖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영적인 길을 발견하고〕 그리고 〔그것을 따르기〕】 위해서, 여러분이 【자각 단계에】 있어야 할 것이고, 여러분이 (계속해서) 【몰입 단계에】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있잖아요, 【〔몰입 단계〕의 특징】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여러분이 〔여기 지구에서 어떤 기준〕을 받아들이고】, 【여러분이 〔그것〕을 이용하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는〉 여러분의 감각)을 확립하기 위해〕 〔이념, 종교,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는 {이것이 어떻게 『【내가 여기에서 ...에 들어가지 않겠지만】, 【여러분이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는) 감각〕을 확립하는】 보상 게임』인지} 설명하지만,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는〕 감각】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볼 때만, 왜냐하면 【분리된 존재】만이 우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하나됨의 길에】 있을 때, 여러분은 『【그것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우월함을 느낄 점점 더 적은 필요성】』을 갖고 있습니다.

It is quite possible that you can be in this frame of mind, and you can find a spiritual teaching, and you can have the idea, which many, many spiritual and religious people have, that the purpose of a spiritual teaching is to perfect your soul as many people see it, but even yourself. And therefore, you think that the more sophisticated you make yourself, the closer it is to being able to enter heaven.

▶{여러분이 【이 마음의 틀 안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영적인 가르침】을 찾을 수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영적인 길의 목적〕이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보는 것처럼 - 여러분 자신조차) 여러분의 영혼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라는】 【〔(많고, 많은 영적이고 종교적인 사람들)이 갖고 있는〕 생각】』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정말 가능합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더 세련되게 만들수록,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 것】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But what have we said? Between the 48th and the 96th level, you are pulling yourself above the mass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you have to build a self that sees itself as different from the mass consciousness. But then at the 96th level comes the crucial initiation. Will you now be willing to let that self die, at least die gradually, to dismantle it in order to go higher? And if you are not willing, you go into this state of mind of becoming one of these disciples that are using a spiritual teaching, which is meant to help them come closer to oneness, to actually go deeper and deeper into separation, setting themselves up as being more and more sophisticated, because they are right, and they have this viewpoint, and they know even better than all of these people, or they know better than the messenger.

그러나 우리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48번째 수준과 96번째 수준 사이에, 여러분은 【대중 의식】 위로 【여러분 자신】을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이것의 결과로써, 여러분은 『【〔자신(itself)〕을 〔대중 의식과 다른 것〕으로 보는】 자아』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나 (96번째 수준에서) 【결정적인 입문】이 옵니다. 여러분이 (이제) 【더 높이 올라가기 위해서】 기꺼이 『【〔그 자아〕가 〔죽게, (적어도) 서서히 죽게〕 하겠습니까】, 【그것을 해체하겠습니까?】』.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기꺼이 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그들이 옳고〕, 그리고 〔그들이 (이 관점)을 갖고 있고〕, 그리고 〔그들이 (이 모든 사람들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고〕, 혹은 〔그들이 (메신저보다)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 자신을 더욱더 세련된 것으로 자처하면서』 『(실제로) 【분리】에 점점 더 깊이 들어가기 위해』 『【〔그들이 (하나됨에 더 가까이 오도록) 돕기로〕 되어 있는】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하고 있는} 이 제자들 중의 한 명이 되는◀ 이 마음 상태⊃에 들어갑니다.

What the messenger realized was that he had not grasped this, he had not put this together, because he was hoping that it would not be possible to walk the spiritual path and not grasp this. He was hoping that all people who would take these teachings we have given would get it, that they would break through and see this. But it is not the case. It is not the case as Peter proved. He claimed to be one of my disciples. He followed me for the three years of my outer mission.

He claimed to even go around and propagate the Christian teachings after my ascension. But at the very last moment when he was facing crucifixion in Rome, he insisted on being crucified upside down because he was not worthy to be crucified the same way as Christ. And what does it show you? Well, when you are crucified upside down, what direction does your head point in? It points towards the earth. When you are crucified as I was, where is your head pointing? Towards the heavens.

【메신저가 인식했던 것】은 『【그가 〔이것〕을 파악하지 못했고】, 【그가 〔이것〕을 알아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는 『【〔영적인 길을 걷고〕 그리고 〔이것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우리가 준〉 이 가르침들)을 받아들일〕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이해할 것이고』, 『그들이 【돌파구를 찾고】 그리고 【이것을 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베드로가 입증한 것처럼】 그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는 【나의 제자들 중의 한 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3년의 나의 외적인 임무 동안】 나를 따랐습니다. 그는 【나의 상승 이후에】 【심지어 〔돌아다니고〕 그리고 〔기독교 가르침을 전파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로마에서 십자가에 못 박힘)에 직면하고 있었던〕 바로 그 마지막 순간에】, 그는 【거꾸로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리스도와 같은 방식으로 십자가에 못 박힐】 자격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에게 무엇을 보여줍니까? 음, 여러분이 (거꾸로)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여러분의 머리】가 어떤 방향으로 향하게 됩니까? 그것은 지구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여러분이 【나처럼】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여러분의 머리】가 어디를 가리키고 있습니까? 하늘 쪽으로.

What is better if you want to enter the kingdom? He wanted to stay with earth and he is still in embodiment, still convinced that he is right. I should say she, but nevertheless. How do you take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By coming to see this self that has an obsessive, compulsive need to be in control by always being right and then deciding: “I do not care about being right. I do not care about being right among men. I do not care about proving an outer opinion right. I care about following Christ. What is that to me? I will follow thee”.

【만약 여러분이 〔왕국에 들어가기를〕 원한다면】 무엇이 더 낫습니까? 그는 【지구와 함께 머물기를】 원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여전히 구체화 안에 있고】, 【여전히 〔그가 옳다고〕 확신합니다】』. 나는 그녀라고 말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어떻게 【십자가】에서 【여러분 자신】을 끌어내릴까요? ▶{『【〔(항상 옳은 것)에 의해서〕 통제하는 강박적인 필요성】을 갖고 있는』 이 자아를 보게 되고} 그런 다음 {『: "나는 【옳은 것】에 대해 신경 쓰지 않습니다. 나는 【사람들 가운데에서 옳은 것】에 대해 신경 쓰지 않습니다. 나는 【〔외부 의견이 옳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에 대해 신경 쓰지 않습니다. 나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갖습니다. 그것이 나에게 무슨 상관인가? 나는 당신을 따를 것입니다"』라고 결정하는 것}◀에 의해서.

It is a matter of surrender

그것은 포기의 문제입니다

This is how you can come to the point where now the Conscious You can switch out of the controlled self and experience itself as pure awareness. And you can become aware that this is who you are. You see what I have been saying. You can take the common concept, especially in the western world, that if you have a goal you want to achieve, you need to do something. You need to make an effort. You need to find some kind of secret way or technique for achieving it. But as long as the Conscious You is inside a separate self, there is nothing you can do to get out of there, to experience yourself as pure awareness. Because experiencing yourself as pure awareness is not a matter of doing. It is a matter of undoing. It is a matter of surrender. You are surrendering into the experience. But people who are in this state of having this obsessive compulsive need to be in control, to be right, they cannot surrender.

이것이 ▶{여러분이 『(이제) Conscious You이 【〔통제하는 자아〕에서 벗어나서】 그리고 【〔자신(itself)〕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 지점으로 올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이 〔여러분(who you are)〕이라는 것】을 알게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내가 계속 말하고 있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이 성취하고 싶은〕 목표】를 갖고 있다면, 여러분이 【어떤 것】을 해야 하고, 여러분이 노력해야 하고, 여러분이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어떤 종류의 비밀의 방법 혹은 기법】을 찾아야 한다는』 (특히 서구 세계에서) 흔한 개념}을 예로써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Conscious You】이 【분리된 자아 안에】 있는 한, 『【〔거기에서 나와서〕, 〔(여러분 자신)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하기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 자신〕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하는 것】은 【〔하는 것〕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원상태로 돌리는 것〕의 문제】입니다. 그것은 【포기의 문제】입니다. 여러분은 【경험】에 몸을 내맡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통제하고, 옳은 이 강박적인 필요)를 갖고 있는 것〕과 관련된 이 상태】에 있는』 사람들}, 그들은 포기할 수 없습니다.

You cannot look at a situation where you have a strong opinion and somebody else has the opposite opinion, and you cannot just look at it and say: “I will surrender it. I will let it go. I am not going to argue. I am not going to try and convince the other person. I am not going to try and seem right. I will just surrender. And I will look to Christ and say to Christ, help me take this step.

Help me take the next step. Help me see what it is I am attached to and let it go”.

여러분은 {『【여러분이 〔강한 의견〕을 갖고 있고】 그리고 【〔누군가 다른 사람〕이 〔반대 의견〕을 갖고 있는】』 상황}을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단지) 그것을 보고〕 그리고 〔말할 수 없습니다〕】: "나는 【그것】을 포기할 것입니다. 나는 【그것】을 놓을 것입니다. 나는 논쟁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다른 사람】을 설득하려고 노력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옳은 것처럼 보이려고 노력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단지 포기할 것입니다. 그리고 나는 ▶{【그리스도】에게 의지하고} 그리고 {『【내가 이 단계를 밟도록 도와달라고】, 【내가 다음 단계를 밟도록 도와달라고】, 【내가 〔(〈내가 ...에 애착을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 보고 그리고 (그것)을 놓도록〕 도와달라고】』 그리스도에게 말할 것입니다"}◀.

You cannot do that if you are attached to being right, because then being in control is more important than following Christ. Now you may, as Peter did, create a mental image of what it means to follow Christ, so that you think that because you are so right in how you are looking at it, you are still following Christ. And therefore, you think, as Peter did, you see the situation. What did Peter think when he said: “Be it far from thee, Lord”. He thought he knew better than the living Christ. He thought he knew better than the teacher. And that is why I rebuked him as strongly as I could think of: “Get thee behind me, Satan”. in an attempt to shake him out of that state of mind. Did it work? No. Has it worked in the past 2,000 years? No. Will it ever work? Well, we will just have to see.

【만약 여러분이 〔옳은 것〕에 애착을 느낀다면】 여러분은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때) 【통제하는 것】이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자) 베드로가 했던 것처럼,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것을 보고 있는) 방법에서〕 정말 옳기 때문에, 여러분이 여전히 그리스도를 따르고 있다고】 생각할 정도로』 여러분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신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베드로가 했던 것처럼, 여러분은 【여러분이 상황을 본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 "주여, 그리 마옵소서"〕라고 말했을 때】 베드로가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그는 【그가 〔살아 있는 그리스도보다〕 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그가 〔교사보다〕 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내가 〔(내가 ... 을 생각할 수 있는) 만큼 강하게〕 그를 꾸짖었던】 이유』입니다: "사탄아, 내 뒤로 물러나라". 【그 마음 상태】에서 【그】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시도로. 그것이 효과가 있었을까요? 아닙니다. 그것이 지난 2,000년 동안에 효과가 있었을까요? 아닙니다. 그것이 (언젠가) 효과가 있을까요? 음, 우리는 (단지) 보아야 할 것입니다.

Will we also have to see about you? Or will you finally shift so you are consciously willing to look at this mechanism, which everybody has. The messenger had it. It took him many years to be willing to look at it, but he was willing to look at it. Others have done the same. They have looked at it, and then you can start separating yourself from it. As long as you are not willing, you will remain stuck.

우리가 (또한) 여러분에 대해 보아야 하겠습니까? (아니면) 『여러분이 【〔모두가 갖고 있는〕 이 메커니즘】을 의식적으로 기꺼이 보도록』 여러분이 (마침내) 바뀌겠습니까? 【메신저】는 【그것】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가 그것을 기꺼이 보는 데】 여러 해가 걸렸지만, 그는 【그것】을 기꺼이 보았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같은 것】을 했습니다. 그들은 【그것】을 보았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그것〕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분리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기꺼이 하지 않는 한, 여러분은 계속 갇혀 있을 것입니다.

The natural state of the Conscious You

Conscious You의 자연스러운 상태

I propose to you this. Of course, I am describing a more extreme situation here. And I am not thereby saying to you that all of you have this very strong, obsessive compulsive need to be right. But what I am proposing is this. If you find yourself looking at these teachings about the Conscious You and pure awareness and thinking: ”But I have not really experienced it”, then I suggest to you that you consider that you have some kind of self that has a need to be in control, that has a need to be right. And therefore, there is something you cannot surrender. You cannot just let it go.

나는 【이것】을 여러분에게 제안합니다. 물론, 나는 여기에서 【더 극단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것으로 인해서) 『【여러분 모두】가 【옳을 이 매우 강한, 강박적인 필요】를 갖고 있다고』 여러분에게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이 【〔(Conscious You순수한 인식에 대한 이 가르침들)을 보고〕 그리고 〔(: "그러나 나는 정말로 그것을 경험하지 못했습니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발견한다면, 나는 {여러분이 『여러분이 【〔(통제할 필요성을 갖고 있고), (옳을 필요성을 갖고 있는)〕 어떤 종류의 자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여러분에게 완곡하게 말합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포기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단지 【그것】을 놓을 수 없습니다.

Why am I saying this? Because what have we said over and over again? The Conscious You is. The Conscious You is pure awareness. The natural state for the Conscious You is to either experience itself as pure awareness or at least experience that it is outside of all of these outer opinions and selves. The natural state is that the Conscious You is not wearing the glasses right over its eyes, but has them at a distance. That is the natural state.

내가 (왜) 【이것】을 말하고 있을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반복해서) 뭐라고 말했습니까? 【Conscious You】은. 【Conscious You】은 【순수한 인식】입니다. 【Conscious You에게 자연스러운 상태】는 『【〔자신(itself)〕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하는 것】 혹은 (적어도) 【〔그것이〈Conscious You〉 (이 모든 외부 의견과 자아들 바깥에) 있다는 것〕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자연스러운 상태】는 『Conscious You이 【its 눈 바로 위에 안경을 끼고 있지 않고】, 【〔먼 곳에〕 그것들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자연스러운 상태】입니다.

There are even teachings in the Vedas that talk about the two types of Samadhi. There is Samadhi without an object and there is Samadhi with an object. Well, Samadhi without an object is when the Conscious You experiences itself as pure awareness. There are no objects in consciousness, no thoughts, no feelings. You are not aware of the outer world. But the other state is Samadhi with an awareness of objects, which means that you can now experience the world, experience your daily life, but you are not inside of it. You are not identified with it. You know you are just experiencing this. It is just an experience that you have from a distance. It can sound contradictory because I said that when you are in a separate self, you see yourself as a subject that is experiencing an object at a distance. And now I am saying that the natural state for the Conscious You is to experience the world from a distance. But the difference is that when you are inside the self, you are inside the world. But here you are outside, you do not even see yourself as a subject experiencing objects. You are just experiencing the world and you do not have these strong opinions. You do not have this need to be in control, to prove yourself right, to prove other people wrong. You are not identified with it. Even your own life, even your own psychology, you are not identified with it. It is sort of happening at a certain surface level of awareness, but you are always aware that there is a deeper level where you are at peace.

【〔(두 가지 유형의 삼매)에 대해 말하는〕 베다에 가르침】도 있습니다. 【객체 없는 삼매】가 있습니다 그리고 【객체가 있는 삼매】가 있습니다. 음, 【객체 없는 삼매】는 『【Conscious You】이 【자신(itself)】을 【순수한 인식】으로 경험할 때』입니다. 【의식에 객체】가 없고, 【생각】이 없고, 【느낌】이 없습니다. 여러분은 【외부 세상】을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다른 상태】는 【객체에 대한 인식이 있는 삼매】입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이제) 【〔세상〕을 경험하고】, 【〔여러분의 일상생활〕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여러분은 【그것 안에】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그것과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것을 경험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지 【〔여러분이 (멀리서) 하는〕 경험】입니다. 그것은 모순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여러분이 【분리된 자아 안에】 있을 때,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먼 곳에 객체를 경험하고 있는〕 주체】로 본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제) 나는 『【Conscious You에게 자연스러운 상태】가 【(멀리서) 세상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차이】는 『여러분이 【자아 안에】 있을 때, 여러분은 【세상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여러분은 【바깥에】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객체를 경험하는 주체】로 보지도 않습니다. 여러분은 【세상】을 경험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 강한 의견들】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통제할〕, 〔여러분 자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할〕, 〔다른 사람들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할〕】 이 필요성』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그것】과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여러분 자신의 삶, (심지어) 여러분 자신의 심리, 여러분은 【그것】과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뭐랄까) 【특정한 표면적인 인식 수준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여러분은 【〔(여러분이 평화롭게 있는) 더 깊은 수준〕이 있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습니다.

And this is the state that you can come to. And you can come to it before you reach the 96th level because it is really a matter of switching out of this identification with the outer selves. It is more difficult below the 48th level, but it can still be done. But certainly as you go above the 96th level, it is more easy to consciously make that switch. And it is a conscious switch. You can even say that it is not an automatic thing. You can go above the 96th level and it does not mean that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can say: “Oh, now you are guaranteed to make the switch”.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로 올 수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96번째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분은 그것으로 올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정말로 【〔외적인 자아와 이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48번째 수준 아래에서】 더 어렵지만, 그것은 (여전히)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확실히) 여러분이 【96번째 수준】 위로 가면서, 【(의식적으로) 그 전환을 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의식적인 전환】입니다. 여러분은 【그것이 〔자동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96번째 수준】 위로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분이 말할 수 있는〕 지점】이 온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 (이제) 여러분은 결국 그 전환을 하게 될 것입니다".

The prince of this world cometh and has nothing in you

이 세상의 왕자가 와서 그리고 여러분 안에서 아무것도 갖지 못합니다

You have to recognize—you do not have to recognize, but it is helpful to recognize—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at we call a self and then the way you look at life. In other words, you can be in physical embodiment and you are completely inside of and identified with all of these selves. You are seeing everything, including yourself, through the coloring of these selves. Bu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scious You to be in embodiment. You have the selves. And in certain situations, you might go into a self and it colors your view of the situation. But in the background, you know you are not the selves. There is a backdrop of pure awareness of an inner sense of peace, detachment, and everything else is just in the foreground. Sometimes you are more focused on the foreground, but you can always go back and realize you are more. And this is, of course, the experience I would like all of you who have followed these and applied them to have, because it makes life much easier.

여러분은 『【〔우리가 자아라고 부르는 것〕과 〔(여러분이 삶을 보는) 방법〕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 여러분은 인식할 필요가 없지만,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육체적인 구체화 안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완전히 〔이 모든 자아들 안에〕 있고】 그리고 【〔이 모든 자아들〕과 동일시됩니다】』. 여러분은 【이 자아들의 채색을 통해서】 【(여러분 자신을 포함하여) 모든 것】을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Conscious You이 구체화 안에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합니다. 여러분은 【자아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한 상황에서, 여러분은 【자아】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자아) 【상황에 대한 여러분의 견해】를 채색합니다. 그러나 배경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자아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내적인 평화감, 초연함)과 관련된 순수한 인식〕의 배경】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모든 것】은 【전경에】 있을 뿐입니다. (때때로) 여러분은 【전경에】 더 집중하지만, 여러분은 (항상) 『【돌아가서】 그리고 【〔여러분이 더 이상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이것이 『【내가 〔(〈이것들을 따랐고〉 그리고 〈그것들을 적용한〉) 여러분 모두〕가 하기를 바라는】 경험』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삶을 훨씬 더 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You are not so attached to things. It does not matter so much to you whether your spouse does this or your spouse does that, or somebody at work says this, or you read something in the paper. It is like you can look at everything more neutrally. It does not pull you in. And therefore, you are in this state that I talked about, “…the prince of this world cometh and has nothing in me”.

여러분은 【사물】에 그렇게 애착을 느끼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배우자〕가 이것을 하든】 혹은 【〔여러분의 배우자〕가 저것을 하든】, 혹은 【〔직장에서 누군가〕가 이것을 말하든】, 혹은 【여러분이 (신문에서) 어떤 것을 읽든】』 여러분에게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모든 것〕을 더 중립적으로 볼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을 끌어들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내가 ...에 대해 말한〕 이 상태】 안에 있습니다, "...이 세상의 왕자가 와서 그리고 내 안에서 아무것도 갖지 못한다".

This has been my effort, at least for now, to help you take yourself down from the cross. Words are only words until you transcend the word and have an experience. May you be willing to transcend the word and have the experience of Christ. For I am constantly in that experience of Christ, and I am willing to share it with anyone and everyone. I could, in this very instant, share the experience of Christ with every human being on earth. But I would be very gratified if I could share it with even a few hundred ascended master students. May you be willing to let go of everything that stands in the way of you experiencing yourself as you are—experiencing yourself as I see you from the mind of Christ and not as the separate selves see you from the mind of Antichrist.

이것이 『【여러분이 〔십자가에서 여러분 자신을 끌어내리도록〕 돕는】 (적어도 지금까지) 나의 노력』이었습니다. 말은 【여러분이 〔말을 초월하고〕 그리고 〔경험할 때까지〕】만 말입니다. 여러분이 기꺼이 【〔말을 초월하고〕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경험을 하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나는 (끊임없이) 【그리스도에 대한 그 경험 안에】 있고, 그리고 나는 기꺼이 【그것】을 【모두】와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바로 이 순간에) 【그리스도에 대한 경험】을 【지구에 모든 인간】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내가 〔그것〕을 〔몇 백 명의 상승 마스터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다면】 나는 매우 기쁠 것입니다. 여러분이 기꺼이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있는 그대로(as you are)】 경험하는 것 - 【여러분 자신】을 【내가 〔그리스도 마음〕으로부터 여러분을 보는 대로 - 분리된 자아가 〔반그리스도 마음〕으로부터 여러분을 보는 대로가 아니라】 경험하는 것』을 훼방놓는} 모든 것◀을 놓기를 바랍니다.

What greater wish could I have at this time of Easter than to see the students who are willing to recognize me as an ascended master escape the cross and be resurrected into a higher experience of self.

『【〔기꺼이 나를 상승 마스터로 인정하는〕 학생들】이 【〔십자가에서 벗어나서〕 그리고 〔(자아에 대한 더 높은 경험)으로 부활되는 것〕】을 보는 것보다』 (부활절의 이 시기에) 내가 【어떤 더 큰 소망】을 가질 수 있습니까.

Copyright © 2023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