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고타마 붓다 (9) - What are you focused on? (여러분은 무엇에 집중합니까?)

의식 성장 2023. 2. 24. 19:59

<원문>

 

https://ascendedmasterlight.com/what-are-you-focused-on/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through Kim Michaels, January 8, 2023.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New Year’s webinar 2023 – Being a spiritual person in a chaotic world.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 2023년 1월 8일. 이 딕테이션은 2023년 신년의 웨비나 동안 주어졌습니다 -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영적인 사람이 되기.

I AM the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We have moved on to the final stage of the Eightfold Path, that of concentration – which might actually be better translated as focus. What is it you focus on? I have said tha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Eightfold Path – the spiritual path, the path towards higher levels of awareness – has stages.

나는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입니다.​ 우리는 【팔정도의 마지막 단계】로 이동했습니다, 집중의 단계 - 그것은 (실제로) 【초점】으로 더 잘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에 집중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나는 『【〔(팔정도 - 영적인 길, 더 높은 인식 수준을 향한 길)가 단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You come to a certain point where you find an outer spiritual teaching. There is no evaluation here of what level you are at when you find the teaching. Throughout the ages many people have applied such an evaluation and said: “Here is a teaching that to me seems very sophisticated and it claims to be a superior or special spiritual teaching and since I have found it, it must mean that I am a sophisticated spiritual studen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it is not necessarily not the case, but you need to recognize here that you live in an age where it is easier to spread information than ever before.

여러분은 【〔여러분이 외적인 영적인 가르침을 발견하는〕 특정한 지점】으로 옵니다. 『【〔여러분이 가르침을 발견할 때〕 여러분이 어떤 수준에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여기에 없습니다. (시대들 내내) 【많은 사람들】은 【〔그런 평가를 적용하고〕 그리고 〔말했습니다〕】: "(여기에) 【〔나에게 매우 수준 높은 것처럼 보이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월한 혹은 특별한 영적인 가르침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내가 【그것】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것이 【내가 수준 높은 영적인 학생이라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이것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그것은 반드시 그렇지 않은 것도 아니지만, 여러분은 (여기에서) 『여러분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정보를 퍼뜨리는 것〕이 더 쉬운】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You have websites, you have books and therefore it is quite possible that people can come across a spiritual teaching even though they are not ready for it, or they have not reached a particular level of consciousness on this stage from lower levels of awareness towards higher levels. This is not said to in any way condemn anyone. It is not constructive to actually apply this evaluation of what level of consciousness you are at when you find the spiritual teaching. What is important to realize is that when you find the path you are at a certain level of consciousness, and your level of consciousness will color and influence your approach to the spiritual path. This means it is difficult to set up a standard method, or standard process, that all people should follow when they find a spiritual teaching. All people need to start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they are at, they can do nothing else. There are many people who find a spiritual teaching who need to go through a period, perhaps a long period, where they use that spiritual teaching to reinforce their existing worldview, or to build a new worldview based on the spiritual teaching, but that worldview is based on the sense of separation and the desire to make themselves seem superior, or to make them seem like they are safe because they are now in this spiritual teaching.

여러분은 【웹사이트】를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책】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록 그들이 【그것】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혹은) 그들이 【〔더 낮은 인식 수준〕에서 〔더 높은 수준〕 쪽으로】 【이 단계에서】 【특정한 의식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이 【영적인 가르침】을 우연히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정말 가능합니다. 이것은 【누군가를 (어떤 식으로든) 비난하기 위해】 말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영적인 가르침)을 발견할 때〕 여러분이 어떤 의식 수준에 있는지】에 대한 이 평가』를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건설적이지 않습니다. 【인식할 중요한 것】은 『여러분이 【길】을 발견할 때, 여러분이 【특정한 의식 수준에】 있고, 그리고 【여러분의 의식 수준】이 【영적인 길에 대한 여러분의 접근법】에 채색하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들이 영적인 가르침을 발견할 때) 모든 사람들이 따라야 하는〕 표준적인 방법, 표준적인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그들이 ...에 있는〕 의식 수준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그들은 다른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그들이 〔(그들의 기존의 세계관을 강화하거나), 혹은 (영적인 가르침에 근거해서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어내기 위해)〕 〔그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하는】 시기(아마 오랜 기간)를 거쳐야 하는』 『【영적인 가르침을 발견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그 세계관】은 {『분리감』과 『【그들 자신을 〔우월한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혹은 【그들을 〔(그들이 이제 〈이 영적인 가르침 안에〉 있기 때문에) 그들이 안전한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욕구』}에 기반을 둡니다.

There are also many people who need to feel that: “because I am in this spiritual teaching, I will be saved in the end. I will reach enlightenment in the end” which makes it easier for them to endure their present life circumstances. These are just some of the needs that are there at the lower levels of the path. People have these needs. They can do nothing else but approach the spiritual path through these needs and they must have that experience for some time until their minds become open to a higher view of the spiritual path. We can say that there are some of the people who find the spiritual path who go through a phase where they use the spiritual teaching to actually build or reinforce a worldview that keeps them in separation. This is inevitable. Now some of these people may eventually reach a point where they are ready to go beyond that phase. Others will stay in it for the rest of this lifetime.

【〔느껴야 하는〕 많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내가 이 영적인 가르침 안에 있기 때문에, 나는 (결국) 구원받을 것입니다. 나는 (결국) 깨달음에 도달할 것입니다". 그것이 【그들이 〔그들의 현재 삶의 환경〕을 견디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이것들】은 (단지) 【〔길의 더 낮은 수준에 있는〕 필요성들 중의 일부】일 뿐입니다. 【사람들】은 【이 필요성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 필요성들을 통해서) 영적인 길에 접근하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마음〕이 〔영적인 길에 대한 더 높은 견해〕에 열리게 될 때까지】 그들은 (한동안) 【그 경험】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들이 〔(〈그들을 분리 안에 유지시키는〉 세계관)을 실제로 만들어내거나 강화하기 위해〕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하는】 단계를 겪는』 『【영적인 길을 발견하는】 사람들 중의 일부』}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불가피합니다. (자) 【이 사람들 중의 일부】는 (결국) 『【그들이 〔그 단계를 넘어설〕 준비가 되어 있는】 지점』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이번 생애의 나머지 동안】 그것 안에 머물 것입니다.

The key is to change yourself

열쇠는 여러분 자신을 바꾸는 것입니다

What is the next stage up? Well, the next stage up is that you begin to realize that you have to change yourself. It is not a matter of changing other people or changing the world or changing God and what God will do for you. It is a matter of changing yourself. You start realizing what I have described in these discourses: That you need to focus on changing your mind from the inside instead of first changing outer conditions in the hope that this will change your state of mind.

【(위쪽으로) 다음 단계】가 무엇일까요? 음, 【(위쪽으로) 다음 단계】는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을 바꾸는 것】 혹은 【〔세상〕을 바꾸는 것】 혹은 【〔하나님〕과 〔하나님이 여러분을 위해서 할 것〕을 바꾸는 것】』과 관련된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여러분 자신을 바꾸는 문제】입니다. 여러분은 【〔내가 이 담론들에서 설명한 것〕을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여러분은 {『【〔이것이 (여러분의 마음 상태)를 바꿀 것이라는〕 희망으로】 (먼저) 외부의 조건을 바꾸는 대신에』 【〔내부에서〕 〔여러분의 마음〕을 바꾸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Now when you begin to grasp this then you go into a phase where your primary task is actually to pull yourself away from the magnetic pull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so you are part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humankind. You are also part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culture and group in which you grew up. What you see in all of these cultures is that they have a certain sense of normal. This is what is normal in our culture and there is a pressure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o conform to this normal. Of course, the standard for normality is defined based on the illusion of separation and the dualistic consciousness. Most cultures have some sense that they are superior to other cultures. Maybe they are in conflict with other cultures and they see this as the only way they can be. This, of course, in order to make progress on the spiritual path you need to pull yourself above this.

(자) 여러분이 【〔이것〕을 완전히 이해하기】 시작할 때, 여러분은 {『【여러분의 주된 일】이 (실제로) 【〔집단의식의 자석 같은 끌어당김〕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떼어 놓는 것】인』 단계}에 들어갑니다. 【모든 것】은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인류의 집단의식〕의 일부】입니다.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이 ...에서 성장한〕 문화와 집단】의 집단의식의 일부』입니다. 【여러분이 〔이 모든 문화들에서〕 보는 것】은 【그들이 〔특정한 정상의 감각〕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문화에서 정상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정상에 따르는〕 집단의식으로부터 압력】이 있습니다. 물론, 【〔정상 상태〕의 기준】은 【〔분리의 환상〕과 〔이원론적인 의식〕에 근거해서】 정의됩니다. 【대부분의 문화】는 【〔그들이 (다른 문화)보다 우월하다는〕 어떤 감각】을 갖고 있습니다. (아마) 그들은 【〔다른 문화〕와 갈등 안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것】을 【〔그들이 있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봅니다. 이것, 물론, 【영적인 길에서 진전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이것 위로 【여러분 자신】을 끌어당겨야 합니다.

You now enter a phase where the main focus – the main concentration – is for you to free yourself from the magnetic pull, from the mass consciousness. You do this as I described, by transforming the energies that giv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something to pull on. You do it by becoming aware of your reactionary patterns, your separate selves, resolving the illusions and letting the self di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can only pull on you if there is something in your four lower bodies that it can pull on. It is the same as the force of gravity that can only pull on something if it has mass. If it has no mass the force of gravity cannot pull on it. As you do this you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dependent of the mass consciousness. You are raising yourself above it so that when the demons of Mara come to tempt you, they have nothing whereby they can tempt you and pull you back into the patterns that you see in your culture or even in humanity as a whole. You are not concerned about conforming to the norm, you are concerned about raising your consciousness.

여러분은 (이제) {『【주된 초점 - 주된 집중】이 【여러분이 〔(자석 같은 끌어당김)으로부터, (대중 의식)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것】인』 단계}에 들어갑니다. 여러분은 (내가 설명한 것처럼) 『【〔집단의식에게 (... 을 끌어당길 어떤 것)을 주는〕 에너지】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반응 패턴, 여러분의 분리된 자아)를 알게 되는 것〕, 〔환상을 해결하는 것〕 그리고 〔자아가 죽게 하는 것〕】에 의해서』 그것을 합니다. 『【〔그것이(집단의식) 끌어당길 수 있는〕 여러분의 네하위체에 어떤 것】이 있어야만』 【집단의식】이 【여러분】을 끌어당길 수 있습니다. 그것은 『【〔그것이 질량을 갖고 있어야만〕 어떤 것을 끌어당길 수 있는】 중력의 힘과 같은 것』입니다. 만약 그것이 【질량】을 갖고 있지 않다면, 【중력의 힘】은 【그것】을 끌어당길 수 없습니다. 여러분이 이것을 하면서, 여러분은 【대중 의식】과 점점 더 관계 없어지고 있습니다. ▶【마라의 데몬들】이 【여러분을 유혹하기 위해】 올 때, 그들이 {『그들이 【여러분을 유혹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의 문화에서 혹은 심지어 전체로서 인류에서) 보는〕 패턴으로 다시 여러분을 끌어들일 수 있는】』 아무것도} 갖지 못할 정도로◀ 여러분은 【그것(대중 의식)】 위로 【여러분 자신】을 올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규범을 따르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의식을 올리는 것】에 관심을 갖습니다.

Climbing the path as an individual

개인으로서 길을 오르기

Now as I have said once you purify your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bodies from these separate selves and the lower energies you begin to have more of a connection with your higher self. And this is when you can come to a crucial point on the spiritual path, and this confuses many people. There can come a point where you have to a large degree, perhaps even completely, freed yourself from the pull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ut how have you done this? How do you free yourself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ell, you can only do this based on your level of awareness and your level of awareness when you started the path was most likely that you had at least some sense that you are a separate individual being. Naturally there are people on earth that are so overpowered by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at they have very little individuality. They are, so to speak, flowing with the currents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nstead of going their individual way.

(자) (내가 말한 것처럼) 여러분이 『【여러분의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몸】의 이 분리된 자아들더 낮은 에너지』를 제거할 때, 여러분은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더 많은 연결】을 갖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영적인 길에서 결정적인 지점〕으로 올 수 있는 때】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많은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합니다. {『여러분이 【〔집단의식〕으로부터 끌어당김】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상당 부분), (아마 완전히) 자유롭게 한』 시점}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어떻게) 이것을 했을까요? 여러분이 (어떻게) 【집단의식】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할까요? 음, 여러분은 (오직) 【〔여러분의 인식 수준〕에 근거해서】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길을 시작했을 때〕 여러분의 인식 수준】은 (아마) 『여러분이 (적어도) 【〔여러분이 (분리된 개별 존재)라는〕 약간의 감각】을 갖고 있었던 것』입니다. (물론) 『【〔그들이 (개성)을 거의 갖고 있지 않을 정도로〕 〔집단의식에 의해서〕 매우 압도되는】 지구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 개인의 길을 가지 않고】 【집단의식에 흐름】과 함께 (말하자면) 흐르고 있습니다.

In order to walk the spiritual path, you have to walk it as an individual because there is currently no culture on earth where walking the spiritual path is the norm. You are always going against the norm and you can only do that as an individual. What are you actually doing when you are raising yourself up in this phase, freeing yourself from the pull of collective consciousness? Well, you are building a new individuality as a spiritual person. But how do you build this? Well, you build or you create a conglomerate of separate selves that are based on seeing yourself as a person who is walking the spiritual path in your particular spiritual teaching. I am in no way implying here that this is wrong, you cannot do anything else. You have to start where you are at. Your first stage is to free yourself from the mass consciousness and you do this by building an individual self that is so strong that it cannot be pulled into these collective patterns from your culture. You are actually taking a spiritual teaching and you are using it to build a collection of separate selves that can withstand the pressure from, or the pull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영적인 길을 걷기 위해서, 여러분은 【그것을 개인으로서】 걸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현재 【〔(영적인 길을 걷는 것)이 (일반적인 것)인〕 지구에 문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항상) 【일반적인 것】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을 개인으로서】만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집단의식의 끌어당김〕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하면서】 【이 단계에서】 【여러분 자신】을 올리고 있을 때』 여러분이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음, 여러분은 【영적인 사람으로서 새로운 개성】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어떻게 이것을 만들어낼까요? 음,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특정한 영적인 가르침에서〉 영적인 길을 걷고 있는) 사람〕으로 보는 것】에 기반을 둔』 분리된 자아의 집합체}를 만들어냅니다 (혹은)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특정한 영적인 가르침에서〉 영적인 길을 걷고 있는) 사람〕으로 보는 것】에 기반을 둔』 분리된 자아의 집합체}를 만듭니다. 나는 (여기에서)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결코 암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에 있는〕 곳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여러분의 첫 번째 단계】는 【〔집단의식〕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그것이(개별 자아) 〔여러분의 문화로부터 이 집단적인 패턴들〕로 끌어당겨질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강한〕 개별 자아】』를 만들어내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영적인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집단의식으로부터 압력), 혹은 (집단의식으로부터 끌어당김)을 견디어 낼 수 있는〕 분리된 자아의 더미】를 만들어내기 위해』 그것을(영적인 가르침) 이용하고 있습니다.

But once you have done this to a certain point you reach what is in some way the most crucial turning point on the spiritual path because you now face an essential choice. And the choice is, will you continue to build on to this separate sense of identity as an individual being? Or will you begin to grasp that, even though this individual identity has served a purpose, it cannot take you to the higher stages of the spiritual path. In fact, it cannot take you beyond a certain point. I have already explained that the real goal of the spiritual path is that you overcome all sense of self, all selves based on the illusion of separation. So, this self that allows you to free yourself from the mass consciousness is based on the sense of separation – not necessarily duality, seeing yourself as an enemy of other people – but you are set apart from other people and from the mass consciousness.

그러나 여러분이 【어느 정도까지】 이것을 했을 때, 【여러분이 (이제) 〔극히 중요한 선택〕에 직면하기 때문에】 여러분은 【(어떤 점에서는) 〔영적인 길에서 가장 결정적인 전환점〕인 것】에 도달합니다. 그리고 【그 선택】은 ▶{여러분이 【개별 존재로서 이 분리된 정체감】을 계속 기반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여러분이 『비록 【이 개별 정체성】이 【목적】에 기여했더라도, 그것이(개별 정체성) 【여러분】을 【영적인 길의 더 높은 단계】로 데려갈 수 없다는 것』을 파악하기 시작할 것인지?}◀입니다. 사실은, 그것은(개별 정체성) 【여러분】을 【특정한 지점 너머로】 데려갈 수 없습니다. 나는 (이미) 『【영적인 길의 진짜 목표】가 【여러분이 〔모든 자아감 - 분리의 환상에 근거한 모든 자아〕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대중 의식)으로부터 (여러분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 자아』는 『분리감 - 반드시 【〔여러분 자신을 다른 사람들의 적으로 보는〕 이원성】은 아닌』에 기반을 두지만,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과〕 그리고 〔대중 의식과〕】 구별됩니다.

In order to move on to the higher stages of the path you need to begin to recognize that this self has served its purpose, but you now need to start letting go of it. Of course, this sounds contradictory – first you are building a self then you have to dismantle the self. But think about a rocket, a rocket has perhaps three levels. There is a huge fuel tank with engines at the bottom and this is used to propel the rocket up to a certain altitude where the gravitational force and air resistance are less. Then the fuel tank is empty and in order for the rocket to rise higher it needs to separate itself from that fuel tank and the first set of engines and start the next set of engines that will take it to a higher level. And it is the same with your sense of self. You have a self, you build a self to take you beyond the gravitational pull of the mass consciousness, but then you need to discard that self in order to rise higher. The difference between a rocket and you is that you cannot, and you are not meant to, discard that self all at once. You need to do it in increments because the self is not really one self, but a conglomerate of these separate selves, so you can unravel one at a time.

(길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여러분은 {『【〔이 자아〕가 〔its 목적〕에 기여했지만】, 【여러분이 (이제) 〔그것〕을 놓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물론, 이것은 모순되는 것처럼 들립니다 - (먼저) 여러분은 【자아】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자아】를 해체해야 합니다. 그러나 【로켓】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로켓】은 (아마) 【세 가지 수준】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맨 아래에 엔진이 있는 거대한 연료 탱크】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중력과 공기 저항)이 더 적은〕 특정한 고도까지】 로켓을 나아가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런 다음) 【연료 탱크】가 비게 됩니다 그리고 로켓이 더 높이 올라가기 위해서, 그것은(로켓) {『【〔그 연료 탱크〕와 〔첫 번째 엔진 세트〕】로부터 【자체(itself)】를 분리시키고』 그리고 『【〔그것을 더 높은 수준으로 데려갈〕 다음 엔진 세트】를 작동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자아감】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은 【자아】를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을 〔대중 의식의 중력〕 너머로 데려가기 위해】 【자아】를 만들어내지만, 여러분은 【더 높이 올라가기 위해서】 【그 자아】를 버려야 합니다. 【〔로켓〕과 〔여러분〕 사이에 차이】는 【〔여러분이 (갑자기) 그 자아를 버릴 수 없고〕, 그리고 〔여러분이 (갑자기) 그 자아를 버리기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점진적으로) 【그것】을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아가 (실제로) 【하나의 자아】가 아니고, 【이 분리된 자아들의 집합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한 번에 하나씩】 해결할 수 있습니다.

Now there are many people throughout the ages who have not grasped this process. Some have but many have not so they actually become so attached to this self or this identity they have built that they will not let go of it. They now come to believe, as I described earlier about the ego, that this is actually the self that will take them to heaven or to nirvana so they need to continue to build onto it, they need to continue to refine it and perfect it until this self becomes able to enter heaven or the spiritual realm or nirvana or however you define it. But this is an illusion, and it is a potentially dangerous illusion that can keep people trapped even for lifetimes. I have already given you the tools to see why it is an illusion because it is based on separation, the illusion of separation.

(자) 【〔(이 과정)을 파악하지 못한〕 시대들 내내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일부】는 파악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그것〕을 놓지 않을 정도로】 그들은 (실제로) 【〔그들이 만들어낸〕 이 자아 혹은 이 정체성】에 매우 애착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이제) 『이것이 (실제로) 【〔(그들)을 (천국으로 혹은 열반으로) 데려갈〕 자아】라고』 - 내가 에고에 대해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 믿게 됩니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에 계속 기반을 두어야 합니다, 『【이 자아】가 【〔천국〕 혹은 〔영적인 영역〕 혹은 〔열반〕 혹은 〔여러분이 그것을 어떤 식으로 정의하든〕】에 들어갈 수 있게 될 때까지』 그들은 계속해서 그것을 개선하고 그리고 그것을 완벽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환상】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잠재적으로) 『【사람들이 〔(심지어) 평생 동안 갇혀 있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위험한 환상』입니다. 나는 (이미) 여러분에게 『【그것이 〔(분리), (분리의 환상)〕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그것이 환상인〕 이유】를 볼 도구』를 주었습니다.

Spiritual pride

영적인 자만

It is also possible for many people to look at the spiritual movement they are, or have been involved with and see that some of the people who have been in this movement, perhaps for a long time, have built a certain sense of pride, spiritual pride in their accomplishments,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how many hours they have practiced and they feel superior not only to people who are not in the teaching but even to the people who are in the teaching but not as experienced as they are. And you can clearly see, if you allow yourself to step back from this, that this spiritual pride can only come from a separate self, but a separate self cannot bring you to the higher levels of awareness. It cannot bring you to Buddhahood, it cannot bring you into nirvana or into heaven, there is no way that this can happen.

▶【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관련되어 있는 혹은 관련되었던〕 영적인 운동】을 보고} 그리고 {『【〔이 운동에 있었던〕 일부 사람들】이 【〔그들의 성취〕, 〔가르침에 대한 그들의 이해〕, 〔그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 실천했는지〕】로 【〔특정한 자만감〕, 〔영적인 자만〕】을 (아마 오랫동안) 만들어냈고』 그리고 『그들이 【〔가르침 안에 있지 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심지어 【〔가르침 안에 있지만, 그들만큼 경험이 있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월함을 느끼는 것』을 보는 것}◀이 (또한) 가능합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이 【이것에서 한 걸음 물러나서 생각하도록】 허용한다면, 여러분은 『【이 영적인 자만】이 【분리된 자아】에서만 비롯될 수 있지만, 【분리된 자아】는 【여러분】을 【더 높은 인식 수준】으로 데려올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분리된 자아) 【여러분】을 【붓다임】으로 데려올 수 없습니다, 그것은(분리된 자아) 【여러분】을 【〔열반으로〕 혹은 〔천국으로〕】 데려올 수 없습니다, 【〔이것이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You now begin to see when you reach this level that you need to switch your mind. You need to go through another switch and realize that from now on you are actually building a different kind of self. You are building a self that is not based on seeing yourself as separate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ut seeing yourself as being connected to your higher self. And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is sense of identity as a connected being you are discarding some of these separate selves that you created when you were raising yourself above the mass consciousness. This is just another stage of the path, there is really nothing mysterious about it, it is just that not many people have been aware of this.

【여러분이 〔이 수준〕에 도달할 때】 여러분은 (이제) 【여러분이 〔여러분의 마음〕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보기 시작합니다. 여러분은 {『【다른 전환】을 거치고』 그리고 『【(이제부터) 여러분이 (실제로) 〔다른 종류의 자아〕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집단의식과 분리된 것)으로 보는 것〕에 기반을 두지 않고】,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는 것〕에 기반을 두는】』 자아}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된 존재로서 이 정체감〕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대중 의식) 위로 (여러분 자신)을 올리고 있을 때〕 여러분이 만든】 이 분리된 자아들 중의 일부』를 버리고 있습니다. 이것은 【길의 다른 단계】일 뿐입니다, (실제로) 【그것에 대해 신비로운 아무것도】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알지 못했을 뿐입니다.

What you do here is you need to start being willing to question your approach to the spiritual path. How have you looked at the path? Are there some elements that you can now identify that spring from separation, perhaps even duality? And you can begin to see that these actually limit you, they prevent you from being free. Basically, you can look at the spiritual path as a process whereby your mind becomes more and more free. You can see that people who are overpowered by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re not free in their minds. Their sense of identity is determined by the collective sense of identity. They often tend to think in certain ways and can rarely think an independent individual thought because their mental minds are overpowered by the collective mind. They often cannot choose their own feelings but they feel whatever patterns are in the collective mind. If a certain situation causes the people in their group to react with anger, then these people will react with anger and often feel it is perfectly natural and the only way to react so these people are not free in their minds, they are not too free to choose their reactions to situations, to choose their actions, they are not free to choose their emotions or their thoughts or even their sense of identity.

【여러분이 여기에서 하는 것】은 『여러분이 【〔영적인 길에 대한 여러분의 접근법〕에 기꺼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길】을 어떻게 보았습니까? 『【〔분리〕, 어쩌면 〔이원성〕으로부터 일어나는】 【〔여러분이 (지금) 확인할 수 있는〕 일부 요소들】』이 있습니까?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들이 (실제로) 〔여러분〕을 제한하고】, 【그것들이 〔여러분이 자유로워지는 것〕을 막는다는 것】』을 보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여러분은 【영적인 길】을 【〔여러분의 마음이 더욱더 자유로워지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집단의식에 의해서 압도되는〕 사람들】이 【그들의 마음속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의 정체감】은 【〔집단적인 정체감〕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들은 『【(보통)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그리고 【〔(그들의 정신적인 마음)이 (집단적인 마음에 의해서) 압도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개인의 생각〕을 (좀처럼) 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보통) 【그들 자신의 느낌】을 선택할 수 없지만, 그들은 【집단적인 마음에 어떤 패턴이든】 느낍니다. 만약 【특정한 상황】이 【그들의 집단에 사람들】이 【분노로 반응하도록】 야기한다면, 【이 사람들】은 『【분노로 반응하고】 그리고 【(보통) 〔그것이 (완전히 자연스럽고) 그리고 (반응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느낄 것입니다】』 (그래서) 【이 사람들】은 【그들의 마음속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그들은 【〔상황에 대한 그들의 반응을 선택하는 데〕, 〔그들의 행동을 선택하는 데〕】 너무 자유롭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감정) 혹은 (그들의 생각) 혹은 심지어 (그들의 정체감)〕을 선택하는 데】 자유롭지 않습니다.

As you are building this self that brings you beyond the mass consciousness, you are becoming more and more free but the self that makes you free from the mass consciousness now becomes a limitation for your mind, because you think you have to stay within that self. You have to stay within this approach to the spiritual path that you took on when you were at a lower level of consciousness so you are still not free in your mind. You are more free than when you were overpowered by the mass consciousness but you have become free of the mass consciousness because you have created a strong individuality, but it is an outer individuality and it is still limiting the freedom of your mind.

여러분이 【〔(대중 의식) 너머로 (여러분)을 데려오는〕 이 자아】를 만들어내고 있을 때, 여러분이 【더욱더】 자유로워지고 있지만, 【〔여러분이 (대중 의식에서 자유로워지도록) 만드는〕 자아】가 (이제) 【여러분의 마음의 제약】이 됩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 자아 안에〕 머물러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더 낮은 의식 수준에 있었을 때〕 여러분이 취했던】 영적인 길에 대한 이 접근법』 안에 머물러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여전히) 【여러분의 마음속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대중 의식에 의해서〕 압도되었을 때】보다 더 자유롭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강한 개성〕을 만들었기 때문에】 여러분이 【대중 의식】에서 자유로워졌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외적인 개성】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여전히) 【여러분의 마음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Relating to your higher self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관련되기

The next stage is that you free your mind from this self, this conglomerate of selves where you see yourself as an individual unconnected being who is raising your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in comparison to, the mass consciousness. As you are building this individuality you are doing this in reaction to the mass consciousness, even in the certain opposition to it where you say: “Well I will not feel or think or identify myself as the mass mind does. I will do something different.” But you are still relating to that mass consciousness. It is as if you are a planet orbiting around the sun of the mass consciousness. But you now need to accelerate yourself so that instead of orbiting around it, your planet goes into a spiral orbit that brings you beyond this point. You do this by realizing that the next stage is that instead of relating to the mass consciousness, you begin to relate to your own higher self – which comes from within not from without.

【다음 단계】는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대중 의식과 관련하여), (대중 의식과 비교해서)〕 〔여러분의 의식〕을 올리고 있는〕 개개의 연결되지 않은 존재】로 보는』 이 자아, 이 자아의 집합체}로부터 {여러분의 마음}을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 개성】을 만들어내고 있을 때, 여러분은 【대중 의식에 반응해서】 이것을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여러분이 말하는〕 그것에 대한 특정한 반대】에서: "(음) 나는 【〔대중 마음〕이 하는 대로】 【나 자신】을 느끼거나 생각하거나 확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다른 어떤 것】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전히) 【그 대중 의식】과 관련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여러분이 〔대중 의식의 태양 주위를 선회하는 행성〕인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그것 주위를 선회하는 대신에, 【여러분의 행성】이 【〔여러분을 이 지점 너머로 데려오는〕 나선형 궤도】에 들어갈 정도로』 여러분은 (이제) 【여러분 자신】을 가속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다음 단계】가 【대중 의식과 관련되는 대신에,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의 더 높은 자아〕와 관련되기 시작하는 것 - 그것은 〔외부에서 아니라〕 〔내부에서〕 일어납니다】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This is where you go into this inner path, the inner phase of the path where you are focusing on your own consciousness – resolving your own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is gives you growth. And in a sense, you can continue working on your consciousness for a very long time and you can have quite a lot of progress by doing this. But still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need to recognize that even though you have raised your own consciousness, purified your own consciousness, the next step is actually to create a new sense of identity based on the fact that you are a connected being. Based on the experience that you are a connected being.

이것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의 의식 - 여러분 자신의 의식 상태를 해결하는 것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에게 성장을 줍니다〕에 집중하고 있는】 이 내적인 길, 길의 내적인 단계』에 들어가는 곳}입니다.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매우 오랫동안) 【여러분의 의식】에 대해 (계속해서) 애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을 하는 것〕에 의해서】 정말 많은 진전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비록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의 의식〕을 올리고】, 【〔여러분 자신의 의식〕을 정화했더라도】』, 『【다음 단계】가 (실제로) 【〔(여러분이 연결된 존재라는) 사실〕에 근거해서】, 【〔(여러분이 연결된 존재라는) 경험〕에 근거해서】 【새로운 정체감을 만드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하는◀ 지점이 옵니다.

The first phase is to connect to your higher self and realize that beyond the outer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that relates to this world your higher self has an individuality. You cannot really call it a personality as most people see this, but your higher self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you can lock into this and therefore you can begin to bring that into your conscious awareness and express it through your identity, mental and emotional bodies. Now you are in a phase where you are relating to your higher self instead of relating to the mass consciousness or other people and you are expressing some of that individuality from your higher self.

【첫 번째 단계】는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연결되고』 그리고 『【〔(이 세상과 관계가 있는) 외적인 성격과 개성〕 너머에,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가 〔개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그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것을 보는 것처럼〕 성격】이라고 부를 수 없지만,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는 【개별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에 고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그것〕을 〔여러분의 의식적인 인식〕으로 가져오고】 그리고 【〔(여러분의 정체성, 정신적인 그리고 감정적인 몸)을 통해서〕 그것을 표현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여러분이 【〔(대중 의식) 혹은 (다른 사람들)〕과 관련되는 대신에】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관련되고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로부터 그 개성〕의 일부】를 표현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Entering the consciousness of oneness

하나됨의 의식에 들어가기

But the next phase is that you begin to recognize that your higher self is not in the material world. It is not even in the four levels, the physical, the emotional, the mental and the identity level. Your higher self is beyond the world of form as you know it here. It still has form but it is in what many people call the spiritual realm. When you are beyond this world of form everything is one, everything is oneness and your higher self sees this oneness or it could not be in the higher realm. You cannot enter the higher realm unless you see oneness.

그러나 【다음 단계】는 『여러분이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가 〔물질세계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은(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네 가지 수준에도 - 물리적인,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수준】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는 【〔여러분이 여기에서 그것을(형태의 세계) 알고 있는 대로〕 형태의 세계】를 넘어서 있습니다. 그것은(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여전히) 【형태】를 갖고 있지만, 그것은(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많은 사람들〕이 〔영적인 영역〕이라고 부르는 것】 안에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 형태의 세계】를 넘어서 있을 때, 【모든 것】은 【하나】입니다, 【모든 것】은 【하나됨】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는 【이 하나됨】을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 【더 높은 영역에】 있을 수 없습니다. 【여러분이 〔하나됨〕을 보지 않는 한】 여러분은 【더 높은 영역】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The next phase for you is to bring this oneness that your higher self has into your conscious awareness. You begin now to build a sense of identity not on being separated from the mass consciousness, not on being still an individual being who is relating to your higher self. But you build an identity based on seeing yourself as a person who is connected to your higher self but also connected to other people and to your physic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you begin to overcome the sense of separateness. This is not necessarily duality but the sense that you are separated from other people, from your environment, and so forth.

【여러분의 다음 단계】는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가 갖고 있는〕 이 하나됨】을 【여러분의 의식적인 인식】으로 가져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제) 『【대중 의식과 분리되어 있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닌, 여전히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관련되고 있는) 개별 존재〕인 것】에 대한 것이 아닌』 【〔정체감〕을 만들어내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더 높은 자아)와 연결되어 있고, 또한 (〈다른 사람들과〉 그리고 〈여러분의 물리적인 환경과〉) 연결되어 있는〕 사람】으로 보는 것』에 근거해서} 【정체성】을 만들어냅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분리감〕을 극복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이원성】이 아니라,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과, 여러분의 환경 등등과) 분리되어 있다는〕 감각】입니다.

This is the right focus. This is the deeper meaning, the higher meaning of focus or concentration. You are not concentrated on the mass consciousness; you are not focused on yourself as an individual being, you are focused on the whole, you are focused on connection, you are focused on oneness and this means that you now begin to look at life in a different way. Instead of evaluating: "how can I raise myself up as an individual," you are evaluating: “how can I raise up the whole, how can I raise up other people? The people around me that I know, how can I raise them up? How can I help them raise their awareness? How can I help improve some facet of life? How can I make a contribution to the forward progression of humankind and the world I live in?"

이것이 【올바른 초점】입니다. 이것이 【〔초점 혹은 집중〕에 대한 더 깊은 의미, 더 높은 의미】입니다. 여러분은 【대중 의식】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개별 존재로서 여러분 자신】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전체】에 집중합니다, 여러분은 【연결】에 집중합니다, 여러분은 【하나됨】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여러분이 (이제) 〔삶을 다른 방식으로〕 보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평가하는 대신에: "내가 어떻게 【개인으로서 나 자신】을 올릴 수 있는가", 여러분은 평가하고 있습니다: "내가 어떻게 【전체】를 올릴 수 있는가, 내가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올릴 수 있는가? 【〔내가 알고 있는〕 내 주위에 사람들】, 내가 어떻게 【그들】을 올릴 수 있는가? 내가 어떻게 【그들이 그들의 인식을 올리도록】 도울 수 있는가? 내가 어떻게 【〔삶의 일부 측면〕을 개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가? 내가 어떻게 【〔(인류)와 (〈내가 ... 안에 살고 있는〉 세상)〕의 앞쪽으로 진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

Focusing on raising the whole

전체를 올리는 것에 집중하기

The earth has been making considerable progress in what people call recorded history. You can see the progress that has been made technologically over the last couple of centuries. You can also see that the technological progress has not been accompanied by a corresponding progress in the consciousness of humankind.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so that people can use the technological process in a balanced way. You can see this by the fact that technology causes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changes to the climate and so forth. You can see it by the fact that weapons become more and more powerful and have the potential to kill many more people. You can see that there has been progress bu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progress and there is especially a need in the acceler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humankind, a raising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ow can this happen? How can you rais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ell, this can only happen by individuals raising their individual consciousness, thereby pulling up on the whole.

【지구】는 【사람들이 기록된 역사라고 부르는 것에서】 상당한 진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지난 몇 세기 동안) 기술적으로 이루어진〕 진전】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기술적인 진전】이 【인류의 의식에서 상응하는 진전】을 동반하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사람들이 〔기술적인 진전을 균형 잡힌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기술이 〔환경 오염〕, 〔기후 변화〕 등등을 야기하는】 사실에 의해서』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무기가 〔점점 더 강력해지고〕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을 죽일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진전〕이 있었지만】, 【〔추가 진전의 필요성〕이 있고】 그리고 【(특히) 〔(인류의 의식의 가속),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어떻게) 【집단의식】을 올릴 수 있을까요? 음, 이것은 『개인이 【〔그들 개인의 의식을 올리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전체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서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Now even in the phase where you are seeking to raise yourself above the pull of the mass consciousness you are of course not separated completely from the mass consciousness. The mass consciousness is pulling on you, but you are pulling back. When you are raising your level of awareness you are pull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up. But as long as you still are focused on raising yourself as an individual the pull is not as strong. The moment you shift into seeing yourself as a connected being your pull o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ecomes much stronger. You are therefore having a much greater effect. You are giving a much greater service to raising all life by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Some people call this holding a spiritual balance for the planet or for society whereby you can pull up on the collective until people begin to see the need for certain shifts.

(자) 『【여러분이 〔대중 의식의 끌어당김〕 위로 〔여러분 자신〕을 올리려고 하고 있는】 단계에서도』, 여러분은 (물론) 【대중 의식】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중 의식】이 【여러분】을 끌어당기고 있지만, 여러분은 뒤로 당기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여러분의 인식 수준】을 올리고 있을 때, 여러분은 【집단의식】을 잡아당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여전히) 【개인으로서 여러분 자신을 올리는 것】에 집중하는 한, 【끌어당김】은 같은 정도로 강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연결된 존재)로 보는 것〕으로 바뀌는】 순간』, 【집단의식에 대한 여러분의 끌어당김】은 훨씬 더 강해집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의해서〕 모든 생명을 올리는】 훨씬 더 큰 봉사』를 하고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을 『【〔사람들이 (특정한 변화의 필요성)을 보기 시작할 때까지〕 여러분이 집단을 끌어올릴 수 있는】 【〔(행성을 위한) 혹은 (사회를 위한)〕 영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부릅니다.

How did democracy come into being? There were certain people, a certain critical mass of individuals, that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of their own consciousness where they began to see the ideas and ideals that are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y came to accept them and as they were raising their own awareness they pulled up on the collective until this started spreading like rings in the water where more and more people began to see as self-evident these truths that are the foundation for democracy. That human beings have rights, that no power on earth should take these rights away from them because they are given from a higher level of awareness. This is how democracy came into being, this is how all other progress has happened, by this raising of the collective awareness where critical mass of people suddenly shift and they see something they could not see before. But instead of arguing for or against it they just see: ”But this is obvious. This is self-evident. This is the way society needs to go.”

【민주주의】가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그들이 (〈민주주의의 토대인〉 개념과 이상)을 보기 시작하는〕 그들 자신의 의식의 변형】을 겪은』 특정한 사람들, 특정한 임계 질량의 개인}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것들】을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인식】을 올리면서, {이것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의 토대인〕 이 진리들】을 【자명한 것】으로 보기 시작하는』 물에 고리처럼 퍼지기 시작할 때까지} 그들은 【집단】을 끌어올렸습니다. 인간은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지구에 어떤 권력】도 【그들】에게서 【이 권리들】을 빼앗아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더 높은 인식 수준】으로부터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민주주의가 나타난〕 방법】입니다, 이것이 【〔(다른 모든 진전)이 일어난〕 방법】입니다, {『【〔임계 질량의 사람들〕이 (갑자기) 바뀌고】 그리고 【그들이 〔(그들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어떤 것〕을 보는】』 집단 인식을 올리는 이것}에 의해서. 그러나 그것을 갑론을박하는 대신에, 그들은 단지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합니다. 이것은 자명합니다. 이것이 【〔사회가 가야 하는〕 길】입니다".

This is a huge potential that you have when you reach this higher level of the path, it is to shift your focu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your own personal growth you are concentrating on raising the whole. This is the only way you can actually move beyond a certain point. You cannot attain Buddhahood if you see yourself as a separate individual and you only care about yourself and not about the whole. Buddhahood is being focused on the whole, being concentrated on the whole rather than some part of it but of course, you are part of the whole which is why you can pull up on the whole.

이것이 【여러분이 〔(길)의 이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때】 【〔여러분이 갖고 있는〕 엄청난 잠재력】입니다, 그것은 【〔여러분의 초점〕을 바꾸는 것】입니다. 【〔여러분 자신의 개인적인 성장〕에 집중하는】 대신에, 여러분은 【전체를 올리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실제로) 특정한 지점 너머로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분리된 개인〕으로 보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그리고 〔전체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붓다임】에 이를 수 없습니다. 【붓다임】은 『【그것(전체)의 어떤 부분】보다는 【〔전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 〔전체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물론, 여러분은 【전체의 일부】입니다, 그것이 【〔여러분이 (전체)를 끌어올릴 수 있는〕 이유】입니다.

But you see here that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being part of the mass consciousness and still being part of the whole. In other words, if you are overpowered by the mass consciousness, well, you are not pulling up on the mass consciousness. You are just either neutral or you are actually pulling the mass consciousness down. It is only when you start raising yourself, your individual mind, above the level of the mass mind that, you can pull up on the mass mind. The higher you go in your levels of awareness, the more you focus on the whole rather than your individual self, the more of a pull you have on the mass consciousness and of course the less you are pulled down by it. You become non-attached to the mass consciousness. In a sense, you become transparent to the mass consciousness.

그러나 여러분은 여기에서 『【〔대중 의식의 일부가 되는 것〕과 〔(여전히) 전체의 일부가 되는 것〕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봅니다. 다시 말해서, 만약 여러분이 【대중 의식에 의해서】 압도된다면, 음, 여러분은 【대중 의식】을 끌어올리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단지 중립적이거나 (혹은) 여러분은 (실제로) 【대중 의식】을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대중의 마음〕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은 『여러분이 【〔대중의 마음〕의 수준】 위로 【〔여러분 자신〕, 〔여러분 개인의 마음〕】을 올리기 시작할 때』뿐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의 인식 수준에서】 더 높이 올라갈수록, 여러분은 【〔여러분 개인의 자아〕보다】 【전체】에 더 많이 집중합니다, 여러분이 【대중 의식에 대해 더 많은 끌어당김】을 갖고 있을수록 그리고 (물론) 여러분은 【그것(대중 의식)에 의해서】 더 적게 끌어내려집니다. 여러분은 【대중 의식】에 애착을 갖지 않게 됩니다. 어떤 의미에서, 여러분은 【대중 의식】에 투명해집니다.

Becoming transparent

투명하게 되는 것

You may say that there are the demons of Mara and they are trying to pull you back into the mass consciousness and it can do this if you have certain beliefs, certain separate selves that feels it has to react in a certain way to the temptations of these demons. Jesus expressed it in a slightly different way, he said that the prince of this world cometh and has nothing in me. In other words, there is a certain force, a certain consciousness in the world that wants to pull you into these old patterns that prevent you from walking the spiritual path and raising your awareness and you need to come to a point where you learn to recognize it. You have overcome the separate selves. You have let them die. Now you are transparent.

여러분은 ▶{【마라의 데몬들】이 있고} 그리고 {그들이 【〔대중 의식〕으로 〔여러분〕을 끌어당기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특정한 믿음】, 【〔(그것이〈분리된 자아〉 〈이 데몬들의 유혹에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해야 한다고) 느끼는〕 특정한 분리된 자아】를 갖고 있다면』 그것은(마라의 데몬들) 【이것】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예수는 【그것】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는 『이 세상의 왕자가 【와서】 그리고 【내 안에서 아무것도 갖지 못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을 『【여러분이 〔(영적인 길을 걷는 것) 그리고 (여러분의 인식을 올리는 것)〕을 막는】 이 오래된 패턴들』로 끌어당기기를} 원하는◀ 세상에 특정한 힘, 특정한 의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것을 인식하는 것〕을 배우고】, 【여러분이 〔분리된 자아〕를 극복했고】, 【여러분이 〔그것들이 죽게〕 했고】, 【(이제) 여러분이 투명한】』 지점}으로 와야 합니다.

The force may direct something at you - a thought, emotional energy, a certain impulse at the identity level - but as it goes into your mind there is nothing in there that it can hit and stir up and reinforce. It passes right through you because you are non-attached, you are free. Jesus expressed it in the saying: “What is that to thee, follow thou me.” In other words, follow the teacher, follow the higher awareness and let go of all these temptations to be pulled into these reactionary patterns.

힘은 【여러분에게 어떤 것 - 생각, 감정적인 에너지, 정체성 수준에 특정한 자극】을 지시할 수도 있지만, 그것이 【여러분의 마음】에 들어가면서, 『【〔그것〕이 치고 불러일으키고 강화할 수 있는】 (거기에)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을 (곧바로) 빠져나갑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애착을 갖지 않고, 여러분이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예수는 【〔: "그것이 네게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라는 말로】 그것을 표현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교사】를 따르세요, 【더 높은 인식】을 따르세요 그리고 【이 반응 패턴들로 끌어당겨지는 이 모든 유혹들】을 놓으세요.

What is one of the ways in which you raise the whole? It is by demonstrating to people that there is a different way to react than the way that is dominating the mass consciousness in their culture.

If you have family members who are prone to reacting with anger in certain situations and if you demonstrate that you are not reacting with anger in those situations, then some will understand. Some will grasp: “Why is he or she not reacting as we do or the way he or she used to react? What has happened? What is different?” Some will grasp this. Perhaps not your closest family members, but some will grasp it.

【〔여러분이 전체를 올리는〕 방법 중의 하나】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그들의 문화에 대중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 방법〕과 반응할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에 의해서}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특정한 상황에 분노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가족 구성원】을 갖고 있다면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 상황들에서 분노로 반응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면, 【일부】는 이해할 것입니다. 【일부】는 파악할 것입니다: "【그 혹은 그녀】는 (왜) 『【우리가 하는 것처럼】 (혹은) 【〔그 혹은 그녀가 반응하곤 했던〕 방식으로】』 반응하고 있지 않은가? 무엇이 일어났는가? 무엇이 다른가?" 【일부】는 【이것】을 파악할 것입니다. (아마) 【여러분의 가장 가까운 가족 구성원들】은 아니지만, 【일부】는 【그것】을 파악할 것입니다.

No isolated effects and no isolated causes

분리된 결과도 없고 분리된 원인도 없습니다

You can now begin to focus on raising the whole but in order to raise the whole you need to make another shift. Or at least in order to have the greatest impact you need to make another shift. You need to contemplate the old teaching about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s. I have commented on it before, saying that modern science has this tendency to want to isolate a specific phenomenon and say: "This is an isolated effect and it must have an isolated cause." Well, in reality there are no isolated effects and no isolated causes. Everything is an interdependent whole. This is, as I also mentioned, the basis for chaos theory where a small change in one area can lead to a much bigger change in another area.

여러분은 (이제) 【〔전체를 올리는 것〕에 집중하기】 시작할 수 있지만, 전체를 올리기 위해서, 여러분은 【다른 변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혹은) (적어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여러분은 【다른 변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상호의존적인 발생에 대한 오래된 가르침】을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나는 (이전에) 그것에 대해 견해를 밝혔습니다, 『현대 과학이 【〔(구체적인 현상을 분리하고) 그리고 (말하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면서: "이것은 【분리된 결과】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분리된 원인】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음, (사실은) 【〔분리된 결과도〕 그리고 〔분리된 원인도〕】 없습니다. 【모든 것】은 【상호의존적인 전체】입니다. 내가 또한 언급한 것처럼, 이것이 {『【〔한 지역에 변화〕가 〔다른 지역에 훨씬 더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카오스 이론』의 기초}입니다.

What you need to contemplate is that you are starting to focus on raising the whole and in the beginning stages of this process you have a tendency to look at the world and say: “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changed.” It could be for example we need to overcome war and manifest world peace. You have a tendency to say: “Here is a separate phenomenon, war. How can we overcome it? Well, we must identify the cause and then eliminate the cause.” This is the common problem-solving method in the modern societies based on the linear analytical mind, the rational mind.

【여러분이 심사숙고해야 하는 것】은 {『여러분이 【전체를 올리는 것】에 집중하기 시작하고 있고』 그리고 『이 과정의 시작 단계에, 여러분이 【〔세상을 보고〕 그리고 〔(: "여기에 〈바뀌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우리가 〔전쟁을 극복하고〕 그리고 〔세계 평화를 나타내야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말하는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분리된 현상, 전쟁】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극복할 수 있습니까? 음, 우리는 【〔원인을 확인하고〕 (그런 다음)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것은 『【〔(선형적인 분석적인 마음), (이성적인 마음)〕에 근거한】 【현대 사회에 흔한 문제 해결 방법】』입니다.

And it is not that you cannot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ar and the causes of war. But ultimately you need to recognize that the causes of war cannot be isolated. And why is that? Because war is caused by human beings. You may look at certain outer excuses: “Oh people are fighting over oil or they are fighting over money or they are fighting over land.” But the real cause of war is in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and it is caused by this illusion that we are separate beings, that we have a right to define ourselves as having some epic cause that is being opposed by other people, and therefore it is justified that we kill those other people. This illusion of separation is the psychological cause of war. You might say: “How can we possibly change that? What can we do? We cannot go into the minds of all people and change those minds.” What I am seeking to convey here is that you cannot remove war by isolating a certain cause and seeking to change that cause. War can be removed only whe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raised to such a level that a critical mass of people suddenly shift and say: “It is obvious that war is not acceptable.”

그리고 『여러분이 【〔(전쟁)과 (전쟁의 원인)〕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여러분은 【〔전쟁의 원인〕이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전쟁】이 【인간에 의해서】 야기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특정한 외적인 변명】을 볼 수도 있습니다: "(오) 사람들은 【석유】에 관하여 싸우고 있습니다 (혹은) 그들은 【돈】에 관하여 싸우고 있습니다 (혹은) 그들은 【땅】에 관하여 싸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쟁의 진짜 원인】은 【인간의 심리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는 【분리된 존재】이고』, 『우리는 【〔우리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반대되고 있는) 어떤 서사시적인 대의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정의할 권리】가 있고』, 따라서 『【우리가 그 다른 사람들을 죽이는 것】이 정당하다는』} 이 환상에 의해서◀ 야기됩니다. 【이 분리의 환상】이 【전쟁의 심리적인 원인】입니다. 여러분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바꿀 수 있습니까?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우리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들어가서〕 그리고 〔(그 마음들)을 바꿀 수 없습니다〕】". 【내가 여기에서 전달하려고 하고 있는 것】은 『여러분이 【〔특정한 원인을 분리하는 것〕 그리고 〔그 원인을 바꾸려고 하는 것〕에 의해서】 【전쟁】을 제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집단의식】이 『【〔임계 질량의 사람들〕이 〔(갑자기 바뀌고) 그리고 (〈: "전쟁이 용인할 수 없는 것이 분명합니다"〉라고 말하는)〕】 그런 수준까지』 올려질 때만} 【전쟁】은 제거될 수 있습니다.

What I am explaining here is that in the beginning stages of focusing on how you can raise the whole you have this tendency to look for an isolated phenomenon that you feel you should do something about and that you would like to see changed. And then you seek to isolate the cause and do something about the cause so you can feel you have accomplished something. Many, many spiritual people throughout the ages have done this. They have isolated a certain phenomenon in the world and attempted to change it. Many have of course wanted to overcome war, but as you can see, they have so far not been successful. Many people have after some time been disappointed, been discouraged and said: “Well, a spiritual teaching does not work. What I have been doing obviously is not working.” But this is because you are looking at isolated phenomena and isolated causes.

【내가 여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여러분이 전체를 올릴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하는 시작 단계에, 『여러분이 【〔여러분이 (...에 대해 어떤 것)을 해야 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변화를 보고 싶다고〕】 느낄 정도로』 여러분이 【분리된 현상을 찾는 이 경향】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원인】을 분리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어떤 것)을 성취했다고〕 느낄 수 있도록】 【원인에 대해 어떤 것】을 하려고』} 합니다. 【시대들 내내 많고, 많은 영적인 사람들】은 【이것】을 했습니다. 그들은 『【〔세상에 특정한 현상〕을 분리하고】 그리고 【〔그것을 바꾸려고〕 시도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물론) 【〔전쟁〕을 극복하기를】 원했지만, 여러분이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들은 (지금까지)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얼마 후) 실망하고 낙담하고 말했습니다: "음, 【영적인 가르침】이 효과가 없습니다. 【내가 계속하고 있는 것】은 (확실히) 효과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분이 〔(분리된 현상)과 (분리된 원인)〕을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The shift you can make is that you are not looking to create specific outer changes. Your focus, your concentration, is on raising awareness at an individual and at a collective level. You are pulling up on awareness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nstead of working on specific physical changes. Why is this important? Because as I have explained, what happens at the physical level of the world is a consequence of what happens in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levels. You can make certain changes at the physical level. You can take a shovel and you can start digging and if you keep digging long enough you can move a mountain. But these greater phenomena such as war you cannot overcome by making physical changes. The only option would be to create an army that was so powerful that it could defeat any other army and this might create some temporary peace but would it remove war or the potential for war from the planet? Well, as long as you have armies and weapons you have not overcome war.

【〔여러분이 만들 수 있는〕 변화】는 【여러분이 〔구체적인 외적인 변화를 만들기를〕 기대하지 않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초점〕, 〔여러분의 집중〕】은 【〔(개인 수준에서) 그리고 (집단 수준에서)〕 인식을 올리는 것】에 있습니다. 여러분은 【〔구체적인 물리적인 변화〕에 애쓰는 대신에】 【개인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둘 다)】 【인식】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왜냐하면 내가 설명한 것처럼, 【세상의 물리적인 수준에서 일어나는 것】은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수준에서 일어나는 것〕의 결과】입니다. 여러분은 【물리적인 수준에 특정한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삽】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땅을 파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충분히 오랫동안】 계속 땅을 판다면, 여러분은 【산】을 옮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쟁과 같은 이 더 큰 현상들) 여러분은 【〔물리적인 변화를 만드는 것〕에 의해서】 극복할 수 없습니다. 【유일한 선택권】은 『【그것이(군대) 〔어떠한 다른 군대도〕 물리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강력한) 군대〕를 만드는 것】』이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어떤 일시적인 평화】를 만들 수도 있지만, 그것이 【행성】에서 【〔전쟁〕 혹은 〔전쟁의 가능성〕】을 제거하겠습니까? 음, 여러분이 【〔군대〕와 〔무기〕】를 갖고 있는 한, 여러분은 【전쟁】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Instead of focusing on these specific physical changes you can focus on effecting change at the emotional, mental and identity levels. You do this by raising your own consciousness, by demonstrating to other people that you can react a different way, by perhaps spreading a certain teaching when it is appropriate, when people are open for it. But in this way, you are not setting a goal for yourself that is impossible to attain. Therefore, you can avoid disappointment and discouragement which is the sharpest tool in the devil’s toolkit and therefore you can enter a state of mind where you have transcended the doubt, the frustration, the hope that you can see some visible changes.

【이 구체적인 물리적인 변화】에 집중하는 대신에, 여러분은 【〔감정적인, 정신적인 그리고 정체성 수준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의 의식〕을 올리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이 다른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에 의해서』, 『(아마) 【〔그것이 적절할 때〕,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열려 있을 때〕】 【〔특정한 가르침〕을 퍼뜨리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합니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 여러분은 【〔달성하기 불가능한〕 여러분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악마의 도구 상자 안에서) 가장 날카로운 도구〕인】 실망과 낙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의심】, 【좌절】, 【〔여러분이 (어떤 눈에 보이는 변화)를 볼 수 있다는〕 희망】을 초월한』 마음 상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You have transcended all this potential for failure and you are on a path that you know works because you know raising awareness works, you know you are working on raising the whole and that this will have an effect. And you just continue doing this, raising your own awareness, seeking to raise other people’s awareness and this is how you can feel you are making a contribution but you do not run the risk of failure or disappointment, because you are not demanding specific changes. Why should you not work for specific changes? Well, in some cases you should, because it is part of your life plan to create a specific change in a specific area by receiving some idea from a higher level of awareness. But what I am talking about is the overall level of wanting to create these big changes, like overcoming war, where you cannot realistically do this as an individual because everything is connected. War is an expression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physical condition is to rais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여러분은 【이 모든 실패의 가능성】을 초월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작용한다고) 알고 있는〕 길】 위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인식을 올리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전체를 올리는 것〕에 애쓰고 있고】 그리고 【이것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단지) 계속해서 【〔이것을 하고〕, 〔(여러분 자신의 인식)을 올리고〕, 〔(다른 사람들의 인식)을 올리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기여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여러분이 〔실패 혹은 실망〕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구체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왜) 【구체적인 변화를 위해】 일하지 않아야 합니까? 음, (경우에 따라서) 여러분은 그래야 합니다, 왜냐하면 『【〔(더 높은 인식 수준)으로부터 (어떤 아이디어)를 받는 것〕에 의해서】 【특정한 지역에 특정한 변화】를 만드는 것』이 【여러분의 삶의 계획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내가 ...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은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개인으로서 (현실적으로) 이것을 할 수 없는】 전쟁을 극복하는 것과 같은』 【〔이 큰 변화들을 만들기를 원하는〕 전반적인 수준】}입니다. 【전쟁】은 【집단의식의 표현】입니다 그리고 【물리적인 조건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입니다.

In order to not set an impossible goal for yourself you focus on raising the collective and you know that this can be done. You can do something about this and when other people do the same it is just a matter of time before they have built this pull that pulls up o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something shifts. A critical mass of people brought in democracy, many other positive changes and there are many, many people on earth today, whether they are in a spiritual movement or teaching or not, who are working to pull up o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refore set the stage for these shifts that will bring about physical changes so you see the shift.

【여러분 자신에게 불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지 않기 위해서, 여러분은 【집단을 올리는 것】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에 대해 어떤 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같은 것】을 할 때, 『【그들이 〔(집단의식을 끌어올리는) 이 끌어당김〕을 만들어내고】 그리고 【〔어떤 것〕이 바뀌기 전에】』 그것은 시간문제일 뿐입니다. 【임계 질량의 사람들】이 【〔민주주의〕, 〔다른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집단의식을 끌어올리고】 (따라서) 【〔(〈여러분이 변화를 보도록〉 물리적인 변화를 초래할) 이 변화들〕을 위한 장을 마련하기 위해】』 일하고 있는} - 그들이 【영적인 운동 혹은 가르침 안에】 있든지 아니든지 - 오늘날 지구에 많고,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Focusing on connection rather than separation

분리보다는 연결에 집중하기

On the Eightfold Path, on the spiritual path you go through various phases and on each stage, you are focused on, you are concentrated on certain goals, certain aspects, a certain method. And you go through these higher and higher stages where you shift away from having your mind focused through the separate selves, the dualistic selves where your mind becomes more and more focused on connection instead of separation. You can say that the demons of Mara, the prince of this world are constantly seeking to tempt people and there can be many individual temptations, but the underlying, overall temptation is to pull you into a state of mind where you see life, the world, through the filter of separation. You see yourself as a separate being, you see other people as separate beings.

팔정도에서, 영적인 길에서, 여러분은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에서, 여러분은 【〔특정한 목표〕, 〔특정한 측면〕, 〔특정한 방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여러분은 【〔특정한 목표〕, 〔특정한 측면〕, 〔특정한 방법〕】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마음〕이 〔분리된 자아, 이원론적인 자아를 통해서 집중하게〕 하는 것】에서 멀리 이동하고』 『【여러분의 마음】이 【분리 대신에】 【연결】에 더욱더 집중하게 되는』} 이 점점 더 높은 단계◀를 거칩니다. 여러분은 ▶{【〔마라의 데몬들〕, 〔이 세상의 왕자〕】가 (끊임없이) 【사람들을 유혹하려고】 하고 있고} 그리고 {【많은 개별적인 유혹】이 있지만}, {【근본적인, 전반적인 유혹】은 『【여러분】을 【〔여러분이 (분리의 필터를 통해서) 삶, 세상을 보고〕,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보고〕,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을 (분리된 존재)로 보는〕 마음 상태】로 끌어당기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And what happens in this process is that when you are concentrated on this illusion of separation, when your mind is concentrated on this illusion of separation you cannot see that behind all of the distinct forms is the Buddha nature. You cannot see that even the seemingly separate forms are connected at a deeper level. You cannot see that behind the seemingly separate phenomena and causes is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s. This is the real goal of the demons of Mara, it is to keep you in the illusion of separation where you think for example: “Well this person did something to me that he should not have done. So therefore, he is a separate person or he would not have done this to me. This other group of people did something to my country that they should not have done so therefore they are separate and I can therefore kill them without affecting myself because they did what they did. The world really does oppose me, because it is a separate world and I am separated from it.”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은 『【여러분이 〔이 분리의 환상〕에 집중할 때】, 【〔여러분의 마음〕이 〔이 분리의 환상〕에 집중할 때】, 여러분이 【(모든 뚜렷이 다른 형태 뒤에) 〔불성〕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겉보기에 분리된 형태조차〕 〔더 깊은 수준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겉보기에 분리된 현상과 원인 뒤에〕 〔상호의존적인 발생〕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 이것이 【〔마라의 데몬들〕의 진짜 목표】입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예를 들어) 생각하는〕 분리의 환상에】 【여러분】을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음) 이 사람은 나에게 【〔그가 하지 않았어야 하는〕 어떤 것】을 했습니다. 따라서, 그는 【분리된 사람】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나에게 이것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은 나의 국가에 【〔그들이 하지 않았어야 하는〕 어떤 것】을 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분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나는 【나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들을 죽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그들이 했던 것】을 했기 때문입니다. 【세상】은 (정말로) 【나】를 반대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분리된 세상】이고 그리고 나는 【그것(세상)】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There are many of these illusions, millions of them in various disguises, but they all have the purpose of obscuring the underlying oneness and connection and focusing your mind, concentrating your mind on this illusion of separation. Now even a spiritual teaching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You see a tendency in most religions and spiritual teachings that they make a very sharp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in the teaching and those who are outside the teaching.

【이 많은 환상들 - 여러 가지 위장으로 그것들 중의 수백만 개】이 있지만, 【그것들 모두】 {『【〔(근본적인 하나됨)과 (연결)〕을 모호하게 하는】 그리고 【〔이 분리의 환상〕에 여러분의 마음을 집중시키는】, 【〔이 분리의 환상〕에 여러분의 마음을 집중하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자) 【영적인 가르침】도 【이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들이 【〔(가르침 안에 있는) 사람들〕과 〔(가르침 바깥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매우 엄격하게 구별하는』 경향}을 (대부분의 종교와 영적인 가르침에서) 봅니다.

Now they may look at those who are outside the teaching in two different ways. There may be those that they think could potentially be converted to their teaching and then there are those they think oppose their teaching and therefore they are the enemy. Many religious people look at atheists or materialists as the enemy and of course many materialists look at religious people as the enemy. You can use a spiritual teaching to reinforce the sense that you are separate, because you are in this teaching therefore you are separated from those that are not in the teaching. But by doing this you are only trapping yourself more firmly in the illusion of separation and this is of course not producing progress on the spiritual path, because that path is to overcome separation as I might have mentioned a few dozen times. But I mention it again and again because it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oints for people to grasp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been on the spiritual path for decades who have not grasped it.

(이제) 그들은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가르침 바깥에 있는〕 사람들】을 볼 수도 있습니다. {『그들이 【(잠재적으로) 〔그들의 가르침〕으로 개종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다음에) {『그들이 【〔그들의 가르침에 반대하고〕 따라서 〔그들이 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많은 종교적인 사람들】은 【〔무신론자〕 혹은 〔유물론자〕】를 【적】으로 봅니다 그리고 (물론) 【많은 유물론자】는 【종교적인 사람들】을 【적】으로 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은 【이 가르침 안에】 있고 (따라서) 여러분은 【〔가르침 안에 있지 않은〕 사람들】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분리되어 있다는〕 감각】을 강화하기 위해}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은 【분리의 환상에 더 단단하게】 여러분 자신을 가두고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물론) 이것은 【영적인 길에서 진전】을 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길】은 『【내가 수십 번 언급했을 수도 있는 것처럼】 【분리를 극복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몇 번이고) 언급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사람들이 파악하기 가장 어려운 점들 중의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파악하지 못한】 【〔수십 년 동안 영적인 길에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There are Buddhists who have been in Buddhist teachings for lifetimes, but who have not grasped it. They set themselves apart from those who are not part of their particular Buddhist sect and they build this idea that because they can understand and discourse on these very advanced intellectual teachings and because they have given their spiritual practice for so many hours and lived a monastic life and been dedicated to growth, it means that they must have grown, they must have reached some advanced level and therefore this sets them apart from those who have not applied the teaching as they feel that they have. They have not shifted to seeing that the real purpose of raising your own awareness is to help the whole and the real purpose of a spiritual teaching is to empower you to raise the whole instead of raising yourself as a separate individual or even raising your group as a separate group.

『【〔(평생 동안 불교 가르침 안에) 있었지만〕, 〔(그것)을 파악하지 못한〕】 불교도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을 【〔(그들의 특정한 불교 종파의 일부)가 아닌〕 사람들】과 구별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이 매우 진보한 지적인 가르침】을 이해하고 그리고 에 대해 담론을 펼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그들이 【(매우 많은 시간 동안) 그들의 영적인 실천을 했고】 그리고 【금욕적인 삶을 살았고】 그리고 【성장에 전념했기 때문에】}, {그것이 『【그들이 (틀림없이) 성장했고】, 【그들이 (틀림없이) 어떤 진보한 수준에 도달했고】 따라서 【이것이 〔그들〕을 〔(〈그들이 그렇다고 느끼는 것처럼〉 가르침을 적용하지 않은) 사람들〕과 구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이 생각⊃을 만들어냅니다. 그들은 ▶{『【여러분 자신의 인식을 올리는 진정한 목적】이 【전체를 돕는 것】이고』 그리고 『【영적인 가르침의 진정한 목적】이 【〔(여러분 자신)을 (분리된 개인)으로 올리는〕 대신에 혹은 심지어 〔(여러분의 집단)을 (분리된 집단)으로 올리는〕 대신에】 【여러분이 〔전체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을 보는 것◀으로 바뀌지 않았습니다.

There comes that point where you need to realize that you have found a certain spiritual teaching, you have applied it and you have used it to raise yourself to a certain level. But the way to move further is to avoid going into the blind alley that so many people have gone into where they think that the way to change the world is to convert everybody else to my spiritual teaching because when everybody else is converted then we will have paradise on earth. But in reality,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s the raising of consciousness and you have used a particular spiritual teaching to raise your consciousnes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everybody else could or should do the same. They may need other teachings or they may need some universal ideas that are not sectarian in nature, that are not exclusivist in nature but inclusive.

{『여러분이 【〔여러분이 특정한 영적인 가르침을 발견했고〕, 〔여러분이 그것을 적용했고〕 그리고 〔여러분이 (특정한 수준으로 여러분 자신을 올리기 위해) 그것을 이용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는』 그 시점}이 옵니다. 그러나 【더 나아갈 방법】은 ⊂▶{『그들이 【〔다른 모든 사람〕이 개종될 때, 우리가 〔지상 낙원〕을 가질 것이기 때문에】 【〔세상을 바꾸는 방법〕이 〔(다른 모든 사람)을 (나의 영적인 가르침)으로 개종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에 들어간〕 막다른 골목】}에 들어가는 것◀을 피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중요한〕 유일한 것】은 【의식을 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의 의식〕을 올리기 위해】 【특정한 영적인 가르침】을 이용했지만, 그것은 【〔다른 모든 사람〕이 〔똑같은 것〕을 할 수 있고 혹은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다른 가르침】을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그들은 {『【(사실상) 종파적이지 않은】, 【(사실상) 배타적이지 않고, 포괄적인】』 어떤 보편적인 생각}을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In fact, what needs to happen in this coming age of higher awareness is that more and more spiritual people need to transcend the sectarian mindset where they focus on converting other people into their particular spiritual philosophy or into following their guru. Instead, they lock into the fact that from the level beyond the material world, from the level of higher awareness is being released a set of universal ideas and it is these universal ideas that will have the maximum impact on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ese universal ideas can be expressed through a particular spiritual teaching or by a particular guru, but they do not have to be expressed in this context.

사실은, 【〔다가올 더 높은 인식의 시대에〕 일어나야 하는 것】은 {【점점 더 많은 영적인 사람들】이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그들의 특정한 영적인 철학으로〉 혹은 〈그들의 구루를 따르는 것으로〉) 개종시키는 것〕에 집중하는】 종파적인 사고방식』을 초월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신에, 그들은 {『【〔물질세계 너머에 수준으로부터〕, 〔더 높은 인식의 수준으로부터〕, 〔일련의 보편적인 생각들〕이 발표되고 있고】 그리고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최대한의 영향을 미칠 것〕은 〔이 보편적인 생각들〕이라는】』 사실}에 고정됩니다. 【이 보편적인 생각들】은 【〔특정한 영적인 가르침을 통해서〕 혹은 〔특정한 구루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지만, 그것들이 【이 맥락에서】 표현될 필요는 없습니다.

Now as just one example of this, look at the fact that in many Western countries there are people who are practicing yoga. Now yoga originated a long time ago in a very specific culture that, although it was universal to begin with, has since come to be identified with the Hindu religion.

If you go back in time, there was a time where in order to practice yoga you had to be a Hindu or you had to live an ascetic lifestyle where you withdrew from the world, lived in a monastic setting or lived in a cave, ate very little food, did not engage in sexual activity, did not have a family and you focused most of your time on this very arduous spiritual practice like the ascetics that the Buddha encountered when he left the palace.

(자) 이것의 한 예로써, 『【(많은 서구 국가에) 〔(요가를 연습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보세요. (자) 요가는 『【그것이(요가) 처음에는 보편적이었긴 하지만, (그 이후로) 〔힌두교〕와 동일시되게 된】 매우 특정한 문화에서』 오래전에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과거로 돌아간다면, ⊂▶(요가를 연습하기 위해서) {여러분이 힌두교 신자가 되어야 하고} (혹은) {여러분이 『여러분이 【세상에서 물러나고】, 【수도원 환경에서 살거나】 혹은 【동굴에서 살고】, 【음식을 거의 먹지 않고】, 【〔성적인 활동〕에 관여하지 않고】, 【가정을 꾸리지 않는】』 금욕적인 생활 방식을 살아야 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그가 궁전을 떠났을 때) 붓다가 마주친〕 고행자처럼】 【이 매우 고된 영적인 연습】에 (여러분의 대부분의 시간을) 집중하는}◀ 때⊃가 있었습니다.

Buddhism was not created as a religion

불교는 종교로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In other words, yoga was originally a much more extreme spiritual practice and philosophy that was not compatible with a modern active lifestyle where you have a family and a job. But yet you see many people in the Western world who practice yoga while having an active life. But this is because yoga has become universalized. It has become focused on a particular practice and disassociated from a particular sectarian exclusivist religion. Now some of you are aware of the phenomenon of mindfulness and there is certainly a connection between the Buddhic teachings and mindfulness. But you do not have to become converted to Buddhism in order to practice mindfulness. And why is this? Because Buddhism was not originally a religion. It was a set of universal ideas and practices.

다시 말해서, 요가는 (원래) {『【〔여러분이 (〈가정을 꾸리고〉 그리고 〈직장을 갖는〉)〕 현대의 활동적인 생활 방식】과 양립할 수 없는』 훨씬 더 극단적인 영적인 훈련과 철학}이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은 『【〔활동적인 삶을 살면서〕 요가를 연습하는】 서구 세계에 많은 사람들』을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요가〕가 보편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특정한 연습에 집중하고】 그리고 【〔특정한 종파적인 배타주의 종교〕와 구분하여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자) 【여러분 중의 일부】는 【마음 챙김의 현상】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확실히) 【〔불교 가르침〕과 〔마음 챙김〕 사이에 관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마음 챙김〕을 연습하기 위해서】 불교로 개종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왜일까요? 왜냐하면 【불교】는 원래 【종교】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불교) 【일련의 보편적인 생각과 연습】이었습니다.

Jesus did not preach or start a sectarian exclusivist religion that claims to be the only road to salvation. Jesus taught a set of universal ideas and practices and this is precisely why he was seen as a threat by the Jewish religious authorities. He threatened their sectarian exclusivist religion by presenting universal ideas. And what could be more universal than the raising of awareness and the transcendence of the illusion of separation and the duality that causes all human conflicts? So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 need to shift your concentration, your focus away from thinking that there is only one solution to the world’s problems and that is to convert all people to your particular spiritual practice and philosophy, where instead you focus on a set of universal ideas, universal expressions that can help people in many different backgrounds, many different areas of society without requiring them to be converted into an outer religion or movement.

예수는 【〔(구원에 이르는 유일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종파적인 배타주의 종교】를 설교하거나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는 【일련의 보편적인 생각과 연습】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그가 〔유대 종교 당국에 의해서〕 위협으로 보였던】 이유』입니다. 그는 【〔보편적인 생각을 제시하는 것〕에 의해서】 【그들의 종파적인 배타주의 종교】를 위협했습니다. 그리고 {『【인식을 올리는 것】과 【〔(〈모든 인간 갈등〉을 야기하는) 분리와 이원성의 환상〕의 초월】』보다 더 보편적인 것}이 있을 수 있을까요? (그래서) ⊂▶{여러분이 『【여러분의 집중】, 【여러분의 초점】』을 『【〔세상의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한 가지 해결책〕이 있고】 그리고 【그것은 〔(모든 사람)을 (여러분의 특정한 영적인 연습과 철학)으로 개종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떼어 놓아야 하고}, {(대신에) 여러분이 『【〔그들이 (〈외부 종교 혹은 운동〉으로 개종되도록) 요구하지 않고〕 〔(많은 다른 배경), (많은 다른 지역 사회)에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일련의 보편적인 생각, 보편적인 표현』에 집중하는}◀ 시점⊃이 옵니다.

In other words, what is it that the separate mind always wants to do? I have said that it wants to create the sense that it is safe and in order to do this it builds a worldview and it is evaluating every idea based on: “Is it a threat to my worldview or does it validate my worldview?” Well, this is discrimination, this is sectarianism, this is exclusivism. What validates my world view is right, what questions it is wrong, bad, evil. Yet this is not the Buddha nature. This keeps people trapped in separation.

다시 말해서, 【〔분리된 마음〕이 항상 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나는 {『그것이(분리된 마음) 【〔그것이(분리된 마음) 안전하다는〕 감각】을 만들기를 원하고』 그리고 『(이것을 하기 위해서) 그것이(분리된 마음) 【세계관】을 만들어내고』 그리고 『그것이(분리된 마음) 【〔: "그것이 (나의 세계관에 위협)인가 (아니면) 그것이 (나의 세계관)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가?"〕에 근거해서】 【모든 생각】을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음, 이것은 【차별】입니다, 이것은 【종파주의】입니다, 이것은 【배타주의】입니다. 【〔나의 세계관〕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옳고, 【〔그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틀리고, 나쁘고, 사악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불성】이 아닙니다. 이것이 【사람들이 분리에 갇히도록】 유지시킵니다.

The Buddha nature is oneness, connection, and so this is what you strive for, to help people see beyond the separation, the duality, the exclusivism, the fanaticism and see that behind all of these divisions between people, there are certain universal ideas and values that are connecting people. Beyond the ideas that separate and divide people there is a set of universal ideas that connect and unify people. This is what will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his day and age, in this particular cycle in the unfoldment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ose who can concentrate, who can focus on this will have the greatest impact and those who cling to a set of sectarian beliefs and the desire to convert other people to a particular outer religion or guru well, they might feel they are very spiritual, they might feel “holier-than-thou”, more advanced, but they are not going to have the maximum impact on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불성】은 【〔하나됨〕, 〔연결〕】입니다, (그래서) 이것이 ▶{사람들이 『【〔(분리), (이원성), (배타주의), (광신)〕 너머를 보고】 그리고 【〔사람들 사이에 이 모든 분열 뒤에,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는〉 특정한 보편적인 생각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도록】』 돕기 위해} 【여러분이 ... 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을 분리하고 나누는〕 생각】 너머에, 【〔(사람들)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일련의 보편적인 생각】이 있습니다. 이것이 【〔지금 시대에〕 그리고 〔집단의식의 펼쳐짐에 이 특정한 주기에〕】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것에 집중할 수 있는〕, 〔이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사람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리고 {『【일련의 종파적인 믿음】과 【〔(다른 사람들)을 (특정한 외부 종교 혹은 구루)로 개종하는〕 욕구】를 고수하는』 사람들}, 그들은 【그들이 매우 영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고결한 척", 더 진보했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그들은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입니다.

What is the goal of the Buddha? It is to set all people free from illusion. What is the basic illusion? It is the sense that the Buddha nature is not where I am, I am separated from the Buddha nature. The goal of the Buddha is to help all self-aware beings see the Buddha nature within themselves and within each other.

【붓다의 목표】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환상〕으로부터 〔모든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환상】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불성)은 (내가 있는 곳)이 아니고〕, 〔나는 (불성)과 분리되어 있다는〕】 감각』입니다. 【붓다의 목표】는 『【모든 자기인식하는 존재들】이 【〔(그들 자신 안에서) 그리고 (서로 안에서) 불성〕을 보도록】 돕는 것』입니다.

“Buddha” was originally a neutral word

"붓다"는 원래 중립적인 단어였습니다

Now, when I originally gave these teachings the term “Buddha” was not sectarian. It was not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religion, it was neutral, it was universal. Today Buddhism has become seen as a religion and it is sectarian, so the word “Buddha” has a different meaning than it originally had. We could come up with a different expression in today’s world that is more universal and neutral and say, higher awareness, there is a higher awareness. There is a level of higher awareness and this is what can connect people, can unify them and help them escape the lower awareness that sets them against each other and creates innumerable conflicts.

자, 내가 원래 【이 가르침들】을 주었을 때, 【"붓다"라는 용어】는 종파적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붓다라는 용어) 【특정한 종교】와 관련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붓다라는 용어) 중립적이었습니다, 그것은(붓다라는 용어) 보편적이었습니다. 【오늘날 불교】는 종교로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오늘날 불교) 종파적입니다, (그래서) 【단어 "붓다"】는 【〔그것이(단어 붓다) 원래 갖고 있었던 것〕과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더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오늘날의 세계에 다른 표현〕을 제시하고】 그리고 【〔(더 높은 인식), (더 높은 인식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더 높은 인식의 수준】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사람들】을 연결할 수 있는 것』, 『【그들을 통합하고】 그리고 【그들이 〔(〈그들이 서로에게 등을 돌리게 하고〉 그리고 〈무수한 갈등을 만드는〉) 더 낮은 인식에서 벗어나도록〕 도울 수 있는 것】』}입니다.

What creates tension? What creates suffering in the world? It is the lower level of awareness that causes people to fail to see the unifying element and therefore see themselves as separate beings. What is the goal? It is to raise awareness so people attain a higher perspective, a higher state of awareness where they see the unity beyond all of the manifold diversified expressions.

They see that even though people may be different on the surface level, there is something that connects them all. Now, you can only see this when you are connected to something higher, a higher level of awareness within yourself. Only then can you see that there is a higher level of awareness in other people. ​So, these are universal ideas that really are not exclusive to Buddhism or any other particular religion or spiritual philosophy and this is what you can come to focus on, to concentrate your mind on this universality, the neutrality, the connectedness, the oneness behind diversity.

【긴장 상태를 만드는 것】이 무엇일까요? 【세상에 고통을 만드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사람들이 〔통합하는 요소를 보지 못하도록〕 야기하고】 (따라서) 【〔그들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보는】』 더 낮은 인식 수준}입니다. 【목표】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사람들이 『【그들이 〔모든 많은 다각적인 표현 너머〕 〔단일성〕을 보는】 더 높은 관점, 더 높은 인식 상태』를 얻도록} 인식을 올리는 것◀입니다. 그들은 『비록 【사람들】이 【표면적인 수준에서】 다를 수도 있더라도, 【〔그들 모두를 연결하는〕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봅니다. 자,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 안에) 【〔더 높은 어떤 것〕, 〔더 높은 인식 수준〕】에 연결될 때만, 여러분은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때서야)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 안에 더 높은 인식 수준〕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들이 『【〔불교〕 혹은 〔어떠한 다른 특정한 종교 혹은 영적인 철학〕에 독점적이지 않은】 보편적인 생각들』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이 보편성〕, 〔중립〕, 〔연결성〕, 〔다양성 뒤에 하나됨〕】에 【여러분의 마음】의 초점을 맞추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이 보편성〕, 〔중립〕, 〔연결성〕, 〔다양성 뒤에 하나됨〕】에 【여러분의 마음】을 집중하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I am grateful for this opportunity to give these teachings. Some of you who have been ascended masters’ students for some time might think: “But have not we heard this before? Have not the various masters explained all of this befor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 take this opportunity to bring forth these teachings, because it has long been my goal to bring forth a book that gives a view of Buddhism adapted to the modern world and a modern mindset. This is the start of this book. Others of my dictations that I have given over the years will be included and it will not actually be presented as if these are dictations from the Ascended Master Gautama Buddha. They will simply be edited slightly to have a more universal expression and the book will be put out there and some will understand.

나는 【이 가르침들을 주는 이 기회에 대해】 감사합니다. 【〔(한동안) 상승 마스터 학생들이었던〕 여러분 중의 일부】는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전에) 【이것】을 듣지 않았습니까? 【여러 마스터들】이 (이전에) 【이 모든 것】을 설명하지 않았습니까?" 【이것의 이유】는 『내가 【이 가르침들을 낳을 이 기회】를 잡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현대 세계와 현대적인 사고방식에 적합한) 불교에 대한 견해〕를 주는】 책』을 낳는 것}이 【나의 오랜 목표】였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이 책의 시작】입니다. 【〔내가 몇 년 동안 주었던〕 나의 다른 딕테이션들】이 포함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실제로) 【마치 〔이것들〕이 〔상승 마스터 고타마 붓다로부터 딕테이션들〕인 것처럼】 제시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들은 (단지) 【더 보편적인 표현을 갖도록】 조금 편집될 것입니다 그리고 【책】은 거기에 출판될 것입니다 그리고 【일부】는 이해할 것입니다.

I thank you for giving m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these teachings and I can assure you that this conference has had a major impact on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t has also, even though we have not touched upon it, had a major impact on the situation in Ukraine, the situation with the economy, the situation in Russia. The fact that so many of our students from Russia and Ukraine have been willing to tune in and be part of this upward process is very significant. Again, you cannot look for specific results to manifest at a specific time, but you can rest assured that you have pulled up o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n both Ukraine and Russia and of course in the rest of the world where you have tuned in from, and therefore you have brought the planet forward even though you may not be able to say, this is the specific result we produced at this conference.

나는 【나에게 〔이 가르침들을 표현할 이 기회〕를 준 것에 대해】 여러분에게 감사합니다 그리고 나는 여러분에게 【〔이번 컨퍼런스〕가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장담할 수 있습니다. 비록 우리가 【그것】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지 않았더라도, 그것은(이번 컨퍼런스) (또한) 【〔우크라이나에 상황〕, 〔경제 상황〕, 〔러시아에 상황〕】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출신의 매우 많은 우리의 학생들】이 기꺼이 【〔조율하고〕 그리고 〔(이 상향 과정의 일부)가 되었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시, 여러분은 【특정한 시기에 나타날 특정한 결과】를 찾을 수 없지만, 여러분은 ▶{여러분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국에】 그리고 (물론) 【〔여러분이 ...에서 조율한〕 나머지 세계에】』 【집단의식】을 끌어올렸고}, 따라서 {『비록 여러분이 【이것이 〔(우리가 이번 컨퍼런스에서 초래한) 구체적인 결과〕라고】 말할 수 없을 수도 있더라도』 여러분이 【행성】을 앞당겼다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I trust many of you are beginning to realize that you need to come to a point where you are not looking for a specific result to be produced by a specific conference or by a specific vigil. You are not setting yourself up for disappointment and discouragement. You are engaging in an ongoing process to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you are content in knowing that you are rai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You are raising the entire interdependent originations which will have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bringing forth Saint Germain’s Golden Age.

나는 {【여러분 중의 많은 사람들】이 『여러분이 【여러분이 〔(〈특정한 컨퍼런스에 의해서 혹은 특정한 기도에 의해서〉 초래되는) 특정한 결과〕를 찾고 있지 않은】 지점으로 와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을 위해 【〔실망〕과 〔낙담〕】을 준비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집단의식을 올리는 것〕에 대한 계속 진행 중인 과정】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집단의식〕을 올리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에 만족합니다. 여러분은 『【〔성 저메인의 황금시대를 낳는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체 상호의존적인 발생』을 올리고 있습니다.

I am not sealing this conference because Padmasambhava will also speak, but I am thanking you for giving me this opportunity to give these new teachings, modern teachings about the Buddhic philosophy. For this you have my deepest gratitude and I seal you, for now, in the joy of the Buddha! The joy that can only come when you are experiencing oneness. How could there be anything but joy in oneness? It is only separation that creates frustration. With this be sealed, my beloved.

나는 【이 컨퍼런스】를 봉인하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파드마삼바바】도 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나는 『나에게 【〔(이 새로운 가르침들), (불교 철학에 대한 현대적인 가르침들)을 주는〕 이 기회】를 준 것에 대해』 여러분에게 감사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 여러분은 나의 가장 깊은 감사를 받습니다 그리고 나는 【우선은, 붓다의 기쁨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여러분이 (하나됨)을 경험하고 있을 때만〕 올 수 있는】 기쁨』. 하나됨 안에 기쁨 외에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습니까? 【좌절을 만드는 것】은 【분리】뿐입니다. (이것으로) 봉인되세요, 나의 사랑하는 이여.

Copyright © 2023 Kim Micha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