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Ascended Master Master MORE through Kim Michaels, September 19, 2020.
2020년 9월 19일,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마스터 모어.
This dictation was given during the 2020 Webinar – Choosing America’s Future.
이 딕테이션은 2020년 웨비나 동안에 주어졌습니다 - 미국의 미래를 선택하기.
I AM the Ascended Master More. What do I represent to earth? I represent the will to be more and the power to be more. Where does the will to be more come from? Well, it comes from the fact that you were created as an extension of the Creator's being, and the Creator has the will to be more. You are created with a point-like sense of identity and you have inherent in your being the will to expand it and thereby be more.
나는 상승 마스터 모어입니다. 【내가 지구에서 나타내는 것】이 무엇일까요? 나는 【더 이상이 되는 의지】와 【더 이상이 되는 힘】을 나타냅니다. 【더 이상이 되는 의지】가 어디에서 비롯될까요? 음, 이것은 【〔여러분이 (창조주의 존재(being)의 확장)으로 창조되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그리고 창조주는 【더 이상이 되는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점 같은 정체감으로】 창조되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것을 확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더 이상이 되는〕 내재하는 의지】를 【여러분의 존재】에 갖고 있습니다.
What gives you the power to expand your awareness? It is the multiplication factor from above coming through the cosmic law that as you multiply your talents, you will be given more than what you have multiplied. This is out-pictured in Jesus’ parable about the talents. The three servants that were given the various numbers of talents and those who multiplied it received more, and those who did not multiply them lost whatever they had been given. This signifies that when you expand your awareness, you receive energy from above, from your I AM Presence, from the ascended realm, and this gives you the power to expand your awareness even more. This builds an upward spiral that over time becomes self-reinforcing so that you can continue to expand your awareness indefinitely until you reach the Creator consciousness and even go beyond it.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인식을 확장하는 힘〕을 주는 것】이 무엇일까요? 이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재능〕을 증가시키면,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증가시킨 것〕보다 더 많이 주어질 것이라는 〔우주 법칙을 통해서 오고 있는〕 위로부터 증식 인자】입니다. 이것은 【재능에 대한 예수의 우화】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재능이 주어졌던 세 하인】 그리고 【이것을 증가시킨 하인】은 더 많이 받았고, 그리고 【그것들을 증가시키지 못한 하인】은 그들에게 주어진 것을 잃어버렸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인식〕을 확장할 때, 여러분은 〔위로부터, 여러분의 I AM Presence로부터, 상승한 영역으로부터〕 에너지를 받고,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인식을 더욱 확장하는 힘〕을 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창조주 의식에 도달하고) 그리고 (심지어 이것을 넘어설 때까지)〕 여러분이 〔여러분의 인식〕을 무한정 계속 확장할 수 있도록】 시간이 흐르면서 【자기 강화하게 되는 상향 나선】을 만듭니다.
What does all this have to do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America? Well it can give you a different perspective on a phenomenon that is found more in America than in most other nations. You have a large group of Americans who have been willing to work hard in their lives. They have been willing to make an effort. They feel they have risen to a certain position where they are comfortable. They have a reasonable material standard of living, and they feel they have achieved something, and they feel that those who have not achieved what they have achieved, it must be because they have not applied themselves. They have not been willing to do what it takes, they are too lazy, or they are too stupid, or they do not have the drive. This is what many Americans feel, so you have this division that has been created in America between what we might call the haves and the have-nots, those who have the will to work hard and improve, and those that they perceive as not having that will.
이 모든 것이 미국에 현재 상황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음 이것은 여러분에게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보다〕 〔미국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현상〕에 대해 다른 관점】을 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들의 삶에서 기꺼이 열심히 일해왔던 큰 집단의 미국인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기꺼이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편안한 특정한 지위에 올랐다고】 느낍니다. 그들은 【합당한 물질적인 생활수준】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어떤 것을 성취했다고】 느낍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성취한 것〕을 성취하지 못한 사람들, 이것은 〔틀림없이〕 그들이 그들 자신에게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느낍니다. 그들은 【필요한 것을 기꺼이 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너무 게으릅니다】, 혹은 그들은 【너무 어리석습니다】, 혹은 그들은 【충동(drive)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우리가 〔가진 자들〕과 〔가진 것 없는 자들〕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것, 〔열심히 일하고 개선할 의지가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그 의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 (사이에) 미국에서 만들어져왔던 이 분열을 갖고 있을 정도로】 많은 미국인들이 느끼는 것입니다.
Now, if you take Saint Germain’s extremely profound discourse, you will see that all human beings are created equal. What does this mean? They all have a drive to improve their situation. They all have the will to be more. They were created with this. It is natural, so why can you look at a society and say that some people have a will to apply themselves, the will to do better, and some people do not seem to have that will? Why do some people not have it? Why are they not willing to make an effort? Well, the people who seem to not have the will to be more did not start out that way. They were created with that will. Why do they not have the will to be more anymore? Well, that is precisely what I want to discourse on.
자, 만약 여러분이 【성 저메인의 몹시 심오한 담론】을 듣는다면(take), 여러분은 【모든 인간이 동등하게 창조되었다는 것】을 볼 것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들 모두는 【그들의 상황을 개선하는 충동(drive)】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 모두는 【더 이상이 되는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것을 지니고】 창조되었습니다. 이것은 【자연스럽습니다】, 그러면 여러분이 【사회를 보고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그들 자신에게 적용하는 의지, 더 잘하는 의지〕를 갖고 있고,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그 의지〕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일부 사람들이 이것을 갖고 있지 않은 이유는? 그들이 기꺼이 노력하지 않는 이유는? 음, 【더 이상이 되는 의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도】 그와 같이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그 의지를 지니고】 창조되었습니다. 그들이 【이제 더 이상이 되는 의지를 갖고 있지 않은 이유는】? 음, 이것이 바로 【내가 담론을 펼치고 싶은 것】입니다.
Now, you may look at America today, as we have said before, and say that there is a real possibility that a person can apply himself or herself, they can work hard, they can come up with a new idea, they can see the opportunities in a new field. They can rise to a certain position, they can make a certain amount of money, and they can do well, perhaps even very well in financial term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is can be done by a certain number of people. But what if all Americans attempted to do the same thing? Well, as we have said, this could not be done because the economy, the level of the economy, simply is not there. Not everybody could do well, could do better than the middle class, even if they worked as hard as they possibly could. This is because the economy has been manipulated by the power elite because they have extracted the value of the people's labor. They have taken it away from them.
자, 여러분은 【오늘날 미국을 보고】,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그리고 【〔어떤 사람이 그 자신 혹은 그녀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고, 그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고, 그들이 새로운 개념을 제시할 수 있고, 그들이 새로운 분야에 기회를 볼 수 있는〕 진정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지도 모릅니다. 그들은 【특정한 위치】로 오를 수 있습니다, 그들은 【특정한 양의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성공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심지어 【재정적인 면에서 매우 성공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특정한 수의 사람들에 의해서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미국인들이 동일한 것을 하려고 시도한다면】 어떻게 되는가? 음, 우리가 말한 것처럼,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경제, 경제 수준이 단지 【거기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모두가 【중산층보다 더 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비록 그들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만큼 열심히】 일할지라도. 이것은 【경제가 파워엘리트에 의해서 조종되었기 때문이고 그리고 그들이 사람들의 노동의 가치를 뽑아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그들에게서 이것을 빼앗았습니다.
But now look historically. Look at some societies in the world today. If you go back to the feudal societies of Europe that we use so many times as an example because it is such an obvious example, what good would it have done a peasant to work hard? He might have ended up producing more on a certain piece of land that might have been his responsibility. But would he have gotten more out of it? Nay. Because the nobleman would have just taken the fruits of his labor. You see many situations in history, many societies around the world, where if the people used their will to work harder and make an effort, they would not be rewarded accordingly.
하지만 이제 역사적으로 보겠습니다. 오늘날 세계에 일부 사회를 보세요. 만약 여러분이 【〔(이것이 그처럼 명백한 예이기 때문에) 우리가 예로서 매우 여러 번 사용하는〕 유럽의 봉건 사회】로 거슬러 올라간다면, 소작농이 열심히 일한다고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는 결국 【그의 책임이었을 수도 있는 특정한 조각의 땅에서】 더 많이 생산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이것에서 더 많이】 얻었을까요? 아닙니다, 왜냐하면 귀족이 단지 【그의 노동의 산물】을 가져갔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역사에서 많은 상황, 세계 도처에 많은 사회】를 봅니다【사람들이 〔더 열심히 일하고 그리고 노력하는〕 그들의 의지를 사용했더라도, 그들이 〔그에 맞춰〕 보상받지 못하는】.
Now, we have said that this is because the fallen beings have inserted themselves so they can reap the fruits of the people's labor and thereby prevent this multiplication factor by the cosmic law, so that when people make an effort they are rewarded accordingly. This is what the fallen beings have done for all of recorded history, but actually for much longer. They have done it in many societies. If you look at history, you can see from a purely realistic evaluation that the vast majority of people on earth have lived many, many lifetimes in one of these closed, repressive systems where they did not harvest the fruit of their labor.
자, 우리는 『이것이 【추락한 존재들】이 【〔그들이 사람들의 노동의 산물을 수확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우주 법칙(사람들이 노력할 때 〈그들이 그에 맞춰 보상받도록 하는〉)에 의한 이 증식 요인을 막을 수 있도록〕】 【그들 자신을 끼워 넣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추락한 존재들이 모든 기록된 역사 동안(그러나 실제로 훨씬 더 오랫동안) 했던 것】입니다. 그들은 많은 사회에서 이것을 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역사를 본다면, 여러분은 【순전히 현실적인 평가에서】 【지구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닫힌, 억압적인 체제들(그들이 그들의 노동의 산물을 수확하지 못했던) 중의 하나에서〕 많고, 많은 생애를 살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hat has this caused these people to develop over time? Well, they have lost their trust in the law, the law of multiplication, the law of a multiplied return of their efforts. They have for so many lifetimes worked hard without seeing that return that they have come to doubt that the law works, that the law will multiply their efforts and that the law will give them more in return when they do more. This has caused them to go into a spiritual stagnation where they are not expanding their sense of self, their self-awareness. They have stagnated at a certain level. They have often come to accept in the identity level that they are just peasants, they are just workers: “There is nothing we can do. We cannot rise above this level. We will always be the slaves. We will always be those who don't have an opportunity, who don't get rewarded, who can't get anywhere.”
이것이 【이 사람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개발하도록 야기했던 것】이 무엇일까요? 음, 그들은 【법칙(증식의 법칙, 그들의 노력에 대한 증가된 돌아옴의 법칙)】에 대한 그들의 신뢰를 잃어버렸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법칙이 작용하고, 법칙이 그들의 노력을 증가시킬 것이고 그리고 그들이 더 많이 할 때 법칙이 보답으로 그들에게 더 많이 줄 것이라는 것〕을 의심하게 되었을 정도로】 【그 돌아옴을 보지 못하고】 【매우 많은 생애 동안】 열심히 일했습니다. 이것이 【그들이 영적인 침체〔그들이 (그들의 자아감), (그들의 자기인식)을 확장하고 있지 않은〕에 빠지도록】 야기했습니다. 그들은 특정한 수준에 정체했습니다. 그들은 보통 【정체성 수준에서】 【그들이 단지 소작농이고, 그들이 단지 노동자들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이 수준을 초월할 수 없다】. 우리는 항상 【노예가 될 것이다】. 우리는 항상 【기회가 없고, 보상받지 못하고, 무언가 성과를 거둘 수 없는】 사람들이 될 것이다".
You see many,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who are in this frame of mind. They are stuck in this not believing in the law and the workings of the law. They do not actually believe that they will be rewarded for their efforts because they have experienced it so many times. Can you blame people for this? Can you blame them for having lived so many lifetimes in these repressive systems? Well not really with any degree of reasonability. You can, of course, always say that people have co-created their own situations and they are the ones who have put themselves in that frame of mind but nevertheless.
여러분은 【〔이 마음의 틀 안에 있는〕 세계 도처에 많고, 많은 사람들】을 봅니다. 그들은 【〔법칙〕과 〔법칙의 작동〕을 믿지 않으면서】 이것에 갇혀 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그들이 매우 여러 번 이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그들이 〔그들의 노력에 대해〕 보상받을 것이라는 것】을 믿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에 대해】 사람들을 탓할 수 있습니까? 여러분은 【이 억압적인 체제에서 매우 많은 생애들을 살았던 것에 대해】 그들을 탓할 수 있습니까? 【어느 정도의 사려 분별력으로】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항상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상황을 공동 창조했고】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 마음에 틀에 그들 자신을 넣었던 사람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What many people sense in America is that Saint Germain’s vision for America was to create a society where people again would have the freedom and they would be rewarded for their efforts. America would give them the financial or the economic opportunity where they could work hard and they would personally reap the reward of their work. This is what America was meant to be. Many people in America today correctly are tuned to this ideal. They sense that this is the way it should be. But what happens to many of these people is that they have used the freedom they have in America to raise themselves up to a certain position. They have a comfortable middle class, maybe upper middle-class, lifestyle and they feel they are well-to-do. What they have failed to realize is, first of all, that their middle-class lifestyle has been erod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But the next thing they do not realize is that they could not raise themselves beyond that level. It would be very, very difficult for them to reach a much, much higher level. The reason for this is, again, the economic system that is too top heavy and therefore concentrates wealth in the hands of the top one percent, the top zero point one percent, to which they will never ascend. They will never become part of that elite. Not even some of the people who have become very rich, like the owners of Amazon or Google or Apple or whatnot. Not even these people would become part of the real power elite because they were not born in that position and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trustworthy enough to be part of the elite.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서 감지하는 것】은 【미국을 위한 성 저메인의 비전이 〔사람들이 다시 자유를 갖고〕 그리고 〔그들이 (그들의 노력에 대해) 보상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었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그들에게 【그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이 개인적으로 〔그들의 일에 대한 보상〕을 수확할】 【〔재정적인〕 혹은 〔경제적인 기회〕】를 줄 것입니다. 이것이 【미국이 되기로 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날 미국에 많은 사람들은 정확히 【이 이상에 조율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이것이 있어야 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감지합니다. 그러나 【이 많은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것】은 【그들이 〔특정한 위치로 그들 자신을 올리기 위해〕 그들이 미국에서 갖고 있는 자유를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편안한 중산층】, 어쩌면 【상위의 중산층】 생활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잘 산다고】 느낍니다. 【그들이 깨닫지 못한 것】은 먼저 【그들의 중산층 생활 방식이 지난 몇 십 년 동안 약화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깨닫지 못하는 다음 것】은 【그들이 〔그 수준 너머로〕 그들 자신을 올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훨씬, 훨씬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매우,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다시, 【상부 비중이 너무 과잉이고】 따라서 【그들이 결코 올라가지 못할 상위 1%, 상위 0.1%의 손에 부를 모으는】 경제 제도입니다. 그들은 결코 【그 엘리트의 일부가】 되지 못할 것입니다. 아마존 혹은 구글 혹은 애플 혹은 뭔가처럼, 매우 부유해진 일부 사람들조차 안 됩니다. 이 사람들조차 【진짜 파워엘리트의 일부가】 되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 지위에서 태어나지 않았고 그리고 그들은 〔엘리트의 일부가 되기에 충분히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What you realize here is that there are people who live in a state of cognitive dissonance. They correctly sense what America is meant to be. They realize this is the American dream. They feel that they have lived that American dream, they have proven that the American dream works. But they fail to realize that it cannot work for everyone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at it cannot even work fully for them because they have come to a position where they feel comfortable but they have also accepted that this is all they can rise to. They have accepted that they cannot do better, that they cannot rise higher and therefore, they are, in some ways, in the same state of consciousness as the many people that they look down upon. What is it in the so-called poor people that are not making an effort? They have accepted: "We cannot do better; we cannot rise higher." This is what even the middle class and the higher middle class have come to accept in America. They have accepted a certain level of wealth, a certain level of influence, a certain self-awareness. This is what they believe is all they can achieve in this lifetime.
【여러분이 여기에서 인식하는 것】은 【〔(인지 부조화의 상태)에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미국이 되기로 되어 있는 것】을 정확히 감지합니다. 그들은 【이것이 아메리칸드림이라는 것】을 인식합니다. 그들은 【그들이 아메리칸드림을 살았고, 그들이 〔아메리칸드림이 작용한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것이(아메리칸드림) 현재 상황에서 모두에게 작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것은(아메리칸드림) 심지어 【그들에게 완전히】 작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이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에 왔지만】 그들은 또한 【이것이 그들이 오를 수 있는 전부라고】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더 잘할 수 없고, 그들이 더 높이 오를 수 없다고】 받아들였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이 우습게 보는 많은 사람들〕과 동일한 의식 상태】에 있습니다(어떤 점에서는). 【노력하고 있지 않고 있는 소위 가난한 사람들 안에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그들은 받아들였습니다: "우리는 더 잘할 수 없다; 우리는 더 높이 오를 수 없다". 이것이 【〔중산층〕과 〔더 높은 중산층〕조차 미국에서 받아들이게 된 것】입니다. 그들은 【〔특정한 수준의 부(wealth)〕, 〔특정한 수준의 영향력〕, 〔특정한 자기인식〕】을 받아들였습니다. 이것이 【그들이 이번 생애에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이라고】 그들이 믿는 것입니다.
What would actually have a major impact on America is if many of these people would begin to think harder about their situation, about the situation in the nation. They could realize, even based on this study about the income distribution, that it simply is not possible that all people could see a reward of their efforts. There are many, many people in America who are born into a certain situation, in a certain segment of American society, where even if they worked hard and applied themselves, they could not rise above a certain level. They could not really do well in America. There are many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ether they have this skin color or that skin color, or whether they come from this background or that background, who would find it very, very difficult and almost impossible to do what these middle class people have done themselves. I know again, you can always point to examples of certain people from a certain background who have raised themselves. But the fact is again, individuals may be able to do it, but everyone could not do it. And if everyone cannot do it, what does that show? Well, God created all human beings equal with an equal potential to grow. If they cannot grow that means the American system is out of alignment with cosmic law with the basic principle of growth. This should be a cause for concern for those people who are vigorously defending the American system, thinking that this is the best country in the world, the best system in the world, the most advanced country, the richest country, the greatest country in the world and so on. It should make them realize that America may be a great country but not for everyone. America is the greatest country in the world if you belong to the top one percent, maybe even if you belong to the top ten percent, but if you belong to the 90 percent, then America is no longer the greatest country in the world. It may have been 40 years ago, but it is not today.
【실제로 미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상황에 대해), (국가에 상황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기 시작하는지】입니다. 그들은 (심지어 소득 분포에 대한 이 연구에 근거해서)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단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미국 사회의 특정한 부분에, 특정한 상황에서〔비록 그들이 (열심히 일하고 그리고 그들 자신에게 적용했을지라도), 그들이 (특정한 수준을 넘어설 수 없는)〕 태어난】 많고,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 있습니다. 그들은 정말로 【미국에서 성공할 수 없습니다】. 【〔(이 중산층 사람들이 그들 스스로 한 것)을 하는 것〕이 매우, 매우 어렵고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될 인구의 많은 부분〔(그들이 이 피부색을 갖고 있든지 저 피부색을 갖고 있든지) 혹은 (그들이 이 배경에서 왔든지 저 배경에서 왔든지)〕】이 있습니다. 나는 다시 【여러분이 〔그들 자신을 올렸던 특정한 배경에서 특정한 사람들의 예〕를 항상 가리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다시 【개인들이 이것을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모두가 이것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모두가 이것을 할 수 없다면, 이것이 보여주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하나님은 【성장하는 동등한 잠재력으로】 모든 인간을 동등하게 창조했습니다. 만약 그들이 【성장할 수 없다면】, 이것은 【미국 제도가 〔성장의 기본적인 원칙이 있는 우주 법칙〕과 일직선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이것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국가, 세상에서 가장 좋은 제도, 세상에서 가장 진보한 국가, 가장 부유한 국가, 가장 위대한 국가 그리고 기타 등등〕이라고 생각하면서】 【미국 시스템을 격렬하게 방어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우려의 이유】여야 합니다. 이것이 그들이 【미국이 위대한 나라일지 모르지만 〔모두에게는 아니라는 것〕을 깨닫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상위 1%〕에 속한다면, 어쩌면 심지어 만약 여러분이 〔상위 10%〕에 속한다면】 미국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이지만, 【만약 여러분이 90%에 속한다면】, 미국은 더 이상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가 아닙니다. 이것이 【40년 전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이것은 【오늘날】은 아닙니다.
This is something that if people would realize this, if they would acknowledge it, it could cause them to recognize that changes are neede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hard facts of how the growth in income has been taken away from the bottom 90 percent of the American peopl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y and how this has happened, and why America has allowed the emergence of this elite that has gained such political influence that they can make the American economy so top heavy. How could this even happen? How could this be done?
이것이 【만약 사람들이 이것을 인식한다면, 만약 그들이 이것을 인정한다면, 이것이 그들이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어떤 것】입니다. 【〔소득에서 증가가 어떻게 미국인들의 하위 90%에게서 빼앗아졌는지〕에 대한 엄연한 사실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일어난 〔이유〕와 〔방법〕, 그리고 미국이 〔(그들이 미국 경제가 상부 비중이 매우 과잉이 되도록 만들 수 있도록) 그런 정치적인 영향력을 얻은〕 이 엘리트의 출현을 허용한 〔방법〕】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심지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을까요? 이것이 어떻게 될 수 있었을까요?
Now you can of course research this, you can trace it. You can go back and see this decision led to this effect, that decision led to this result and many individual decisions changed the system in such a way that it benefited the elite and it took from the people. It created in America what we might call the reverse Robin Hood principle. Robin Hood as you know took from the rich and gave to the poor. America takes from the poor and gives to the rich. Not really what the founding fathers envisioned, certainly not what Saint Germain envisioned and not what the natural law mandates.
자 물론 여러분은 【이것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돌아가서】 그리고 【〔(이 영향으로 이어진 이 결정), (이 결과로 이어진 저 결정) 그리고 (많은 개별적인 결정)〕이 〔이것이 엘리트에게 유익하고〕 그리고 〔이것이 국민들에게 빼앗았던〕 〔그런 방식으로〕 제도를 바꾸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역 로빈 후드 원칙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것】을 미국에 만들었습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처럼 로빈 후드】는 【부자에게 빼앗아 가난한 자에게 주었습니다】. 미국은 【가난한 자에게 빼앗아 부자에게 줍니다】. 【미합중국 헌법 제정자들이 상상했던 것】이 정말로 아닙니다, 확실히 【성 저메인이 상상했던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자연법칙이 명령하는 것】도 아닙니다.
In other words, America is out of alignment with nature’s law and nature’s god who gave you the framework for the Constitution and the nation you have. What have we said also? The growth in wealth in America has come about by the multiplication factor, but that multiplication factor has been reduced by the fact that the system has become so top heavy. This has caused the American economy to be at a much lower level today than it would have been if this top heavy economy had not been created. This could, one might say that it should, cause these middle class and upper middle class people to realize that they cannot simply sit there and be content with what they have. If they are true to their own principles, their own beliefs, they should want to be more than what they have now. Not necessarily that they get more money or a more comfortable lifestyle. They should want to be more in the sense that they live in a nation that is becoming more, and where other people can become more and do better for themselves instead of being held down by this unequal economy. In other words, these people should come to a point where they say: “We must use our position, the freedom we have, to demand a change in America so that we have a more just financial and economic system that truly gives equal opportunity to all. This is how we can pay back the universe for the affluence and the opportunity that we have been given. We can use our advantage to help others. Those who could not in the current situation do it through their own efforts.”
다시 말해서, 미국은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갖고 있는 (헌법)과 (국가)의 뼈대〕를 준 〔자연의 법칙〕과 〔자연의 하나님(god)〕】과 일직선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우리가 또한 말한 것이 무엇입니까? 미국에 부(wealth)에서 증가가 【증식 요인에 의해서】 발생했지만, 그 증식 요인은 【제도가 상부 비중이 매우 과잉이 된 사실에 의해서】 줄어들었습니다. 이것이 미국 경제가 【〔만약 이 상부 비중 과잉 경제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이것이(경제) 있었을 것보다】 오늘날 훨씬 낮은 수준에 있도록 야기했습니다. 이것이 【이 중산층과 상위 중산층 사람들이】 【그들이 단지 거기에 앉아서 그리고 그들이 갖고 있는 것에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도록 야기할 수(이것이 야기해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있습니다. 만약 그들이 【그들 자신의 원칙, 그들 자신의 믿음】에 충실하다면, 그들은 【그들이 지금 갖고 있는 것보다 더 이상이 되기를】 원해야 합니다. 반드시 그들이 【〔더 많은 돈을 벌거나〕 〔더 편안한 생활 방식을 갖는〕 것】이 아닌. 그들은 『【그들이 더 이상이 되고 있는 국가에 살고 있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더 이상이 되고 그리고 (이 불평등한 경제에 의해서 억압받는 대신에) 그들 자신을 위해 더 잘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더 이상이 되기를 원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이 사람들은 그들이 말하는 지점까지 와야 합니다: "우리는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는 〔더 공정한 금융과 경제 제도〕를 우리가 갖도록 미국에 변화를 요구하기 위해】 【〔우리가 갖고 있는〕 우리의 지위, 자유】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풍요와 기회를 우주에 갚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현재 상황에서 (그들 자신의 노력을 통해서) 이것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우리의 이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ny Americans have already started to help others. Many Americans have already been willing to move in that direction, but it will not really make a difference until they realize that the central problem i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and income, and that this needs to be changed and it will only be changed from below. It cannot be changed from above. It was created from above and there is very little chance that those who are in the system will change it.
많은 미국인들은 이미 【다른 사람들을 돕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미국인들은 이미 【그 방향으로】 기꺼이 움직였지만, 『그들이 【중심되는 문제가 부의 불공평한 분배이고】, 그리고 【이것이 바뀌어야 하고】 그리고 【이것이 오직 아래에서부터 변화될 것이라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이것은 정말로 변화를 만들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은 【위에서부터 변화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그 제도 안에 있는 사람들이 이것을 바꿀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There are, of course, some people who have a lot of money and who can see the problem, who can see where it leads to, who can see the potential for a violent revolution, but these people, as I said, the newly rich, they are not part of the old established elite. The old established elite will not change. Perhaps a few people here and there, but as a whole, they will not change. They cannot change. They have had too many lifetimes where they saw themselves as the superior elite, whatever outer excuse they used for justifying it, and they will not let go of this sense of superiority because it is more important to them than anything else. It is even more important than the money or the power. What these people are driven by, what they exist for is this sense of superiority. They must feel they are superior to the general population, or they simply cannot exist. They cannot bear to exist, and when you realize this you realize that throughout history, so many societies have been functioning for the basic purpose of allowing a very small group of people to maintain or expand their sense of superiority. The feudal societies functioned like that. Even the communist societies of Soviet Russia and China functioned that way. Ancient China functioned that way. Many other historical societies have functioned that way for the emperors or the czars or the kings, in order to give them that sense of superiority. Naturally, you have it in other countries besides America, but America is the one country where you can say that from its Constitution, it was meant to not be that kind of society. It was meant to give equal opportunity to all people. Therefore it is a greater problem that this is happening in America than if it was happening, as it of course is and has been, in Saudi Arabia.
물론, 【〔많은 돈을 갖고 있고〕 그리고 〔문제를 볼 수 있고〕, 〔이것이 어디로 이어지는지 볼 수 있고〕, 〔폭력적인 혁명의 가능성을 볼 수 있는〕】 일부 사람들이 있지만, 이 사람들, (내가 말한 것처럼), 신흥 부유층, 그들은 【오래된 확실히 자리를 잡은 엘리트의 일부】가 아닙니다. 【오래된 확실히 자리를 잡은 엘리트】는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아마 여기저기에 소수의 사람들이지만, 전체로서, 그들은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바뀔 수 없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우월한 엘리트로 그들 자신을 보았던(그들이 이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한 변명이 무엇이든)】 【너무 많은 생애】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 우월감】을 놓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또 다른 어떤 것】보다 그들에게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돈 혹은 권력】보다 훨씬 더 중요합니다. 【이 사람들이 〔의해서(by)〕 몰아붙여지는 것, 그들이 〔위해서(for)〕 존재하는 것】이 【이 우월감】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일반 대중보다 우월하다고】 느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단지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존재하는 것】을 견딜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이것을 깨달을 때】, 여러분은 【역사 내내, 매우 많은 사회가 〔(매우 작은 집단의 사람들이 그들의 우월감을 유지하거나 확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위해〕 기능해왔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봉건 사회가 그처럼 기능했습니다. 【구소련과 중국의 공산주의 사회조차】 그런 식으로 기능했습니다. 고대 중국도 그런 식으로 기능했습니다. 많은 다른 역사적인 사회도 【〔황제 혹은 군주 혹은 왕들〕이 그들에게 그 우월감을 주기 위해】 그런 식으로 기능했습니다. 물론, 여러분은 【미국 외에 다른 국가에서】 이것을 갖고 있지만, 미국은 【〔its 헌법에서, 이것이(미국) 그런 종류의 사회가 되지 않기로 되어 있었다고〕 여러분이 말할 수 있는】 한 국가입니다. 이것은(미국) 【모든 사람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일어나고 있었을(물론 이것이 있고 그리고 있었던 것처럼) 때보다】 【이것이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You see here that if you are truly Americans, if you are truly patriots and care about America and the future of America, it is high time to focus your attention on this problem and realize that until this unequal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is changed, America really cannot move forward. It cannot move to the next level. It cannot even move out of the downward spiral created by this unequal distribution. It can only get worse, and it can only get more and more chaotic. There can only be more and more anger. There can only be more and more conflict.
여러분은 여기에서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미국인이라면〕,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애국자이고〕 그리고 〔미국과 미국의 미래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면〕】, 【〔이 문제에 여러분의 주의를 집중하고 그리고 소득과 부의 이 불공평한 분배가 바뀔 때까지, 미국이 정말로 전진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라는 것】』을 봅니다. 이것은(미국) 【다음 수준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미국) 심지어 【이 불공평한 분배에 의해서 만들어진 하향 나선에서】 나올 수 없습니다. 이것은(미국) 단지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미국) 단지 【더욱더 혼란해질 수 있습니다】. 【단지 점점 더 많은 분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지 점점 더 많은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Why do you think so many people joined the demonstrations against police brutality? Was it just because they were concerned about police brutality? No, it was because a growing segment of the American population are realizing that they have no real opportunity and they are becoming more and more angry because of this. You who are the middle class people, instead of seeking to see them as enemies and to want to limit them with law and order, and the military and this and that, you could acknowledge that it is actually your opportunity, your responsibility to help them to change American society, and it is in your own interest to do so. Because you cannot expect to maintain your current standard of living if the country deteriorates into civil unrest. Neither can you of course fulfill your responsibility towards your country by turning this country back into a growth spiral where everyone can see the results of their labor, the fruits of their labor, and they can work harder and make more money and have a better lifestyle, and the entire economy goes into an upward self-reinforcing spiral as it was in the first three decades after the war, and as it could have continued if the power elite had not managed to abort it.
여러분은 【왜 매우 많은 사람들이 경찰 야만성에 맞서 시위에 합류했다고】 생각합니까? 이것이 단지 그들이 경찰 야만성에 대해 걱정했기 때문이었을까요? 아닙니다, 이것은 【점점 많은 미국 주민들이 〔그들이 진정한 기회를 갖고 있지 않고 그리고 그들이 이것 때문에 점점 더 화가 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중산층 사람들인 여러분은, 【〔그들을 적으로 보고〕 그리고 〔그들을 (법과 질서, 그리고 군대 그리고 이것 그리고 저것으로) 제한하기를 원하려고〕 추구하는 대신에】, 여러분은 【〔그들이 미국 사회를 변화시키도록 돕는 것〕이 실제로 여러분의 기회, 여러분의 책임이고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이 여러분 자신의 이익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국가가 시민들의 불만으로 악화된다면】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재 생활수준을 유지하기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물론 여러분은 『이 국가를 다시 성장 나선【모두가 그들의 노동의 결실, 그들의 노동의 산물을 볼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이 〔더 열심히 일하고 그리고 더 많은 돈을 벌고 그리고 더 나은 생활 방식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이것이(전체 경제) 전쟁 이후 첫 30년 동안 있었던 것처럼〕, 그리고 〔파워엘리트가 이것을 가까스로 중단시키지 않았다면 이것이 계속될 수 있었던 것처럼〕 전체 경제가 자기 강화하는 상향 나선에 들어가는】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의 국가에 대한 여러분의 책임을 다할 수도 없습니다.
You who have taken advantage of the freedom and the American economy, it is your responsibility to re-establish that freedom where people are rewarded for their efforts. I simply project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at this is the responsibility. Instead of looking down upon those who are not as fortunate as you are, instead of saying: “They have not applied themselves, they have not been willing to work hard,” make that shift and come to realize that it is your responsibility to do something to change the equation. And that these people are not lazy. They are not unwilling to work. They have simply been hurt by being in embodiment so many times where the fruits of their labor have been stolen and now they see that it is even happening in America, and therefore, they have nothing left but anger. They have nothing to lose. You have something to lose, but they do not, and when people have nothing to lose there is no telling what they will do and how far they will go and how destructive they might become. It really is a matter of looking at the country. Who can do something about it?
【자유와 미국 경제를 활용한 여러분, 그 자유〔사람들이 그들의 노력에 대해 보상받는〕를 재건하는 것】이 【여러분의 책임】입니다. 나는 단지 【이것이 책임이라는 것】을 집단의식 안으로 투사합니다. 【여러분만큼 운 좋지 않은 사람들을 우습게 보는 대신에】, 【말하는 대신에: "그들은 그들 자신에게 적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기꺼이 열심히 일하지 않았다"】, 【변화를 만들고 그리고 〔방정식을 바꾸기 위해 어떤 것을 하는 것이 여러분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하세요】. 그리고 이 사람들은 【게으르지 않습니다】. 그들은 【일하기를 꺼리지 않습니다】. 그들은 단지 【그들의 노동의 산물이 도둑질 당한 구체화(embodiment) 안에 매우 여러 번 있는 것에 의해서】 상처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이것이 심지어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봅니다, 따라서, 그들은 【분노 외에】 남겨진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들은 【잃어버릴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잃어버릴 어떤 것】을 갖고 있지만, 그들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여기에서 【〔잃어버릴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을 때〕, 〔그들이 무엇을 할지〕 그리고 〔그들이 얼마나 멀리 갈지〕 그리고 〔그들이 얼마나 파괴적이 될 수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것은 정말로 국가를 보는 문제입니다. 【누가】 이것에 대해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요?
The power elite have created the situation. They cannot, or rather will not, do anything about it. The politicians who have been manipulated into creating the situation are not likely to do something about it either. Some politicians can, but mostly the newer elected ones. The poor people, the disadvantaged people cannot do anything about it either other than revolt and become angry and violent. So who can do something? Well, the people in the middle and upper middle class who have time and attention left over to look at the country, see where it is going, see what needs to be done and then decide to do it rather than being satisfied with their comfortable lifestyle.
파워엘리트가 【그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이것에 대해 【어떤 것도 할 수 없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어떤 것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상황을 만드는 것 안으로 조종되었던 정치인들】 또한 이것에 대해 어떤 것을 할 것 같지 않습니다. 【일부 정치인들은 할 수 있지만】, 【주로 새로 선출된 정치인들】. 【〔가난한 사람들〕, 〔사회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도 이것에 대해 어떤 것도 할 수 없습니다(반란을 일으키고 그리고 화가 나서 폭력적이 되는 것과 다른). 그러면 【누가】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요? 음, 【국가를 보고, 이것이(국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보고, 행해져야 하는 것을 보고 그런 다음 그들의 편안한 생활 방식에 만족하기보다는 이것을 하기로 결정할】 【남겨진 시간과 주의를 갖고 있는】 【중산층과 상위 중산층에 사람들】.
We have talked about the future of America and the choices you have. Well again, what do you want America to be? Do you want it to be a compassionate society or a comfortable society? A society where a certain segment of the population is comfortable, but a growing number are very uncomfortable. Do you want comfortability or do you want to make the switch into becoming compassionate and fulfilling your destiny, your responsibility, to take America to the next level?
우리는 【미국의 미래와 여러분이 갖고 있는 선택권】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음 다시, 【여러분이 〔미국이 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이것이(미국) 【연민 어린 사회 혹은 편안한 사회】가 되기를 원합니까? 【인구의 특정한 부분이 편안하지만, 증가하는 숫자가 매우 불편한 사회】. 여러분은 【안락함을 원합니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미국을 다음 수준으로 데려가기 위해】 【연민 어리게 되고 그리고 여러분의 운명, 여러분의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전환하기를 원합니까?
This is the question that I project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 am grateful I can use your chakras and auras to reinforce it and I simply allow it to spread as rings in the water, respecting the free will. I will say, those in the middle and upper middle classes, this is your opportunity to become more. More than you might have envisioned you could have become, but it is still an opportunity for you to grow and thereby put America in an upward spiral where more and more people can grow until all those who are willing to apply themselves can see a just, a natural, return on their efforts. A multiplication of their efforts, as Jesus indeed promised them 2,000 years ago and as the law has promised them since the beginning of time.
이것이 【내가 집단의식 안으로 투사하는 질문】입니다. 나는 【이것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분의 차크라와 오라를 사용할 수 있어서】 감사를 표합니다 그리고 나는 단지 이것이 물에 동심원처럼 퍼지도록 허용합니다, 자유의지를 존중하면서. 나는 말할 것입니다, 【중산층】과 【상위 중산층】에 사람들, 이것은 【더 이상이 되는 여러분의 기회】입니다. 【여러분이 상상했을 수도 있고 그리고 여러분이 되었을 수 있는 것】보다 더 이상이지만, 이것은 여전히 『여러분이 성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미국에 상향 나선【〔그들 자신에게 기꺼이 적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노력에 대한 공정한, 당연한(natural) 수익)을 볼 수 있을 때까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성장할 수 있는】을 설치하는(put in)』 기회입니다. 【그들의 노력의 증식】, 예수가 2,000년 전에 【그들에게 정말로 약속한 것처럼】 그리고 법칙이 시간의 시작부터 【그들에게 약속한 것처럼】.
Copyright © 2020 by Kim Michaels
'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3. 좋은 대통령은 중립적이고 모든 미국인들을 대변해야 합니다. (0) | 2020.10.25 |
---|---|
162. 우리가 미래에 연방을 지킬 수 있을까? (0) | 2020.10.19 |
160. 미국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 가능한가? (0) | 2020.10.14 |
159. 미국을 위한 해결책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0) | 2020.10.11 |
158. 미국이 연민 어린 국가가 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대립을 일삼는 국가가 될 것인가?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