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ascendedmasterlight.com/women-need-to-awaken-to-their-rightful-role-in-the-economy/
Ascended Master Mother Mary through Kim Michaels, December 31, 2020
킴 마이클즈를 통해서 상승 마스터 성모 마리아, 2020년 12월 31일
I AM the Ascended Master Mother Mary.
나는 상승 마스터 성모 마리아입니다.
====
What can we say about a year, like 2020? Well, one can of course say that for many people, it has been a difficult year. And naturally, as the one who holds the Mother Flame for earth, I have great compassion, along with Kuan Yin and those who are also part of the Office of the Divine Mother, for the many people who have suffered throughout this year. It is not that we take this lightly, it is not that we are insensitive to the plight of the people.
우리가 【2020년 같은 한 해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음, (물론)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이 어려운 한 해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지구를 위한 어머니 화염을 유지하는 존재로서, 나는 【〔관인〕 그리고 또한 〔신성한 어머니의 사무국의 일부인 존재들〕과 마찬가지로】 【금년 내내 고통받았던 많은 사람들에 대한 큰 연민】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우리가 사람들의 역경에 둔감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But of course, we are not in embodiment and therefore we are not pulled into people’s mental images and the vortexes that people create. I understand very well that for many people this will seem like we are indeed insensitive.
그러나 물론, 우리는 구체화 안에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사람들의 정신적인 이미지】와 【사람들이 만드는 볼텍스】에 끌어당겨지지 않습니다. 나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이 우리가 정말로 둔감한 것처럼 보일 것이라는 것】을 매우 잘 이해합니다.
However, I also know that most of the people who are open to the existence of ascended masters and are open to our teachings, have made use of our teachings—you have started to detach yourself from this identification with what Gautama called the “play” that is being enacted on the stage. Therefore, you are not as identified with it, not as burdened by it, not as pulled into this entire scenario as many other people are.
하지만, 나는 또한 『【〔상승 마스터들의 존재(existence)에 열려 있고〕 그리고 〔우리의 가르침에 열려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리의 가르침을 이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여러분은 【고타마가 〔무대에서 상연되고 있는 "연극"이라고〕 불렀던 것】과 이 동일시에서 여러분 자신을 떼어내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많은 다른 사람들만큼 【이것과 동일시되어 있지 않고】, 【이것에 의해서 부담을 받고 있지 않고】, 【이것으로 끌어당겨지지 않습니다】.
====
====
Now, it is clear that one of the issues that has become very prominent in this last year is the situation of women. Many people are aware that women’s situation have become much more difficult.
자, 【〔작년에 매우 두드러졌던 주제들 중의 하나〕가 여성의 상황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여성의 상황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ow even those who say that the progress, in terms of equality that has been made over the past 25 years, has in many nations been nullified in one year by the pandemic because women are the ones who have often been the first ones to lose their jobs, they have been the ones who have had to take care of the family, have to take care of those who were ill, had to take care of other people who could not necessarily go out as they normally did, whether it was the elderly or sick family members.
자 【〔지난 25년 동안 이루어졌던 (평등 면에서) 진전〕이 〔유행병에 의해서〕 한 해에 (많은 국가에서) 무효화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조차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성이 【보통 그들의 직장을 잃어버리는 첫 번째 사람들이었던】 사람들이고, 그들이 『【가정을 돌보아야 했고】, 【병든 사람들을 돌보아야 하고】, 【〔(그들이 보통 하는 것처럼) (어쩔 수 없이) 외출할 수 없는(연세가 드신 분들이든지 혹은 아픈 가족 구성원들이든지)〕 다른 사람들을 돌보아야 했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In many ways, women’s situation has become much worse during this last year. We are of course, based on having dedicated this coming decade to the issue of women, very concerned that this is a trend that will be reversed as quickly as possible and that we can as quickly as possible, get back to a point where women’s situation can start improving around the world.
많은 방식으로, 여성의 상황이 【작년 동안】 훨씬 더 나빠졌습니다. 물론, 우리는 『【다가오는 10년 여성의 문제에 전념하는 것에 근거해서】 【이것이 〔가능한 한 빨리〕 뒤집어질 경향이고】 그리고 【우리가 〔여성의 상황이 세계 곳곳에서 개선되기 시작할 수 있는〕 지점으로 〔가능한 한 빨리〕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
We look to you also to make the calls for this and besides any specific invocations we might give you this coming year, you can certainly start by using the invocations in the book “The Spiritual Liberation of Women.” This is a very important book and will be an important book for the next 10 years. We encourage all of you to give these invocations, to study the dictations and to hold the vision that society will begin to move in the direction that we have outlined in the book.
우리는 【여러분이 또한 이것에 대해 요청하기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여러분에게 다가오는 해에 줄 수도 있는】 어떤 구체적인 기원문 외에, 여러분은 확실히 【"여성의 영적인 해방" 책에 기원문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책입니다】 그리고 【다음 10년 동안 중요한 책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여러분 모두가 『【이 기원문들을 하고】, 【딕테이션을 공부하고】 그리고 【〔사회가 (우리가 책에서 약술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비전을 유지할 것】』을 권고합니다.
====
There are truly many, many issues that have been made worse by the pandemic but it is clear as Gautama Buddha said that the major one is the economy. Here I want to give a teaching about women and the economy. It has been traditionally said by men of course, that women do not have the ability, the mental ability to understand the economy. Well my beloved, clearly a male chauvinist statement, clearly a sexist remark.
【유행병에 의해서 더 나빠졌던】 정말로 많고, 많은 주제가 있지만, (고타마 붓다가 말한 것처럼) 【중요한 주제가 경제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여기서 나는 【여성과 경제에 대해 가르침】을 주고 싶습니다. 【여성이 〔능력이 없고〕, 〔경제를 이해할 정신적인 능력이 없다는〕 것】이 (물론) 전통적으로 남성에 의해서 말해졌습니다. 음 나의 사랑하는 이여, 분명히 남성 우월주의적인 진술, 분명히 성차별적인 발언.
But if you look at it neutrally, there is actually some truth to it. Why do I say this? Of course, I mean to provoke but nevertheless why do I say it? Well, there is some truth to the idea that women cannot understand the economy, because nobody can understand the economy. Not even the men who have created the current economy can understand the current economy and all effects of the economy. This is one reason why women cannot understand the economy.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이것을 중립적으로 본다면, 실제로 이것에 약간의 진실이 있습니다. 내가 왜 이것을 말할까요? 물론, 【나는 도발하는 뜻으로 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것을 말하는 이유는? 음, 【〔아무도 경제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여성이 경제를 이해할 수 없다는】 개념에 약간의 진실이 있습니다. 【현재 경제를 만든 남성조차도】 【〔현재 경제〕와 〔경제의 모든 영향〕】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여성이 경제를 이해할 수 없는 한 가지 이유】입니다.
====
====
Of course, not the way these men meant it but nevertheless, there is some truth to this. Who can understand the economy? Nobody fully understands it and that is one reason why it is going the way it is going. Now, another aspect of this is that women cannot understand men’s economy, the male created male dominated economy. They cannot understand it, not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it but because they cannot understand how men could create such an unbalanced economy.
물론, 이 남성들이 이것을 의미했던 방식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에 약간의 진실이 있습니다. 누가 경제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아무도 이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이것이(경제) 가고 있는 방식으로】 이것이(경제) 가고 있는 한 가지 이유입니다. 자, 【이것의 다른 측면】은 『【여성이 〔남성의 경제〕를 이해할 수 없고】, 【남성이 〔남성이 지배하는 경제〕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이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들이 이것을 이해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남성이 어떻게 그런 불균형한 경제를 만들 수 있었는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n other words, you see, there are two ways to understand the word “understand.” You cannot understand something because you do not have the ability or the intelligence to understand it, or you cannot understand it because you are wondering how people could be so stupid. How could men be so stupid and create an economy like what you see in the world? This is what many women cannot understand about the economy.
다시 말해서, 여러분은 【단어 "이해하다"를 이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이것을 이해할 능력 혹은 지능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여러분이 〔사람들이 어떻게 그렇게 어리석을 수 있는지〕 이상히 여기기 때문에】 이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남성이 【어떻게 그렇게 어리석고】 그리고 【〔여러분이 세상에서 보는 것과 같은 경제〕를 만들 수 있을까요】? 이것이 【많은 여성이 경제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
====
What we look for in this coming year, and of course, in the rest of the decade, is that women will begin to engage themselves more and more in the economy and they will begin to speak out and ask these questions based on what we have said before, that women are the ones who understand the basic humanity, that you should not do certain things to other people. They could look at the economy, they can say: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should not be done to people by the economy.
【우리가 다가오는 해에(그리고 물론, 남은 10년에) 바라는 것】은 『【여성이 경제에 점점 더 많이 관여하기 시작하고】 그리고 【그들이 공개적으로 말하고 그리고 〔우리가 이전에 말했던 것에 근거해서〕 〔여성이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에게 특정한 것들을 해서는 안 된다는) 기본적인 인간애를 이해하는 사람들이라는〕 이 질문들을 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경제를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말할 수 있습니다: "【〔경제에 의해서 사람들에게 행해져서는 안 되는〕 특정한 것들】이 있습니다.
We should not have an economy that condemns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 the world to being poor and only makes a small elite so rich that they do not even know what to do with the money. Because no individual could possibly need to have so much money in order to spend it on something.”
우리는 『【세계에 다수의 인구가 가난하도록 처하게 만들고】 그리고 【작은 엘리트가 〔그들이 심지어 그 돈으로 무엇을 할지 알지 못할 정도로〕 매우 부유하도록 만드는】』 경제를 가져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어떤 개인도 【어떤 것에 이것(돈)을 쓰기 위해서】 그처럼 많은 돈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
====
Women are then the ones who can look at this phenomenon and say: “There is something seriously wrong here. There is something seriously wrong in having an economy that is entirely geared towards allowing a few people to continue to amass more and more so called ‘wealth’ when they absolutely do not need that wealth for any practical purpose.”
여성이 【현상을 보고 말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여기에 심하게 잘못된 어떤 것이 있습니다. 『소수의 사람들이 【그들이 〔어떤 현실적인 목적을 위해〕 그 부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소위 점점 더 많은 "부"를 계속해서 모으도록 허용하는 것】을 향해 전적으로 설계된 경제를 갖는 것에 있어서』 심하게 잘못된 어떤 것이 있습니다."
So why do they continue to amass this kind of wealth? Because of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se people’s minds, and that psychological mechanism means that nothing is ever enough for these people. This means that there is a large number of women who are ready to simply shift their awareness and suddenly realize: “We have a world economy that is entirely designed to allow a small elite of people—the vast majority of them men—to amass wealth, but it is really not about the wealth.
그래서 그들이 이런 종류의 부를 계속해서 모으는 이유는? 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심리적인 메커니즘 때문에, 그리고 그 심리적인 메커니즘은 【〔이 사람들에게〕 아무것도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그야말로 그들의 인식을 바꾸고 그리고 갑자기 깨달을) 준비가 되어 있는〕 다수의 여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전적으로 〔작은 엘리트의 사람들이(그들 중의 대다수가 남성)〕 〔부를 모으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세계 경제를 갖고 있지만, 이것은 정말로 부에 관련된 것이 아닙니다.
It is about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ir minds that means that nothing is ever enough for them. Why are we allowing the entire economy on the planet to be controlled by this inordinate, unfulfillable desire?
이것은 【〔(그들에게) 아무것도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그들의 마음속에 심리적인 메커니즘에 관련된 것입니다. 우리가 왜 【행성에 전체 경제】가 【이 과도한, 실현할 수 없는 욕구에 의해서 통제되도록】 허용하고 있는가?
====
====
Many women can even see that if we take this towards the logical extreme, what will happen? The economy will be more and more centered on these few people having more and more wealth. But their concern is to have the wealth, to amass the wealth, not spending it. What does that mean? It means they are taking wealth out of what we might call the “real economy” the natural economy.
많은 여성은 심지어 【만약 우리가 〔논리적인 극단을 향해〕 이것을 가져간다면, 무엇이 일어날 것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경제가 【〔점점 더 많은 부를 갖고 있는〕 점점 더 이 소수의 사람들】에게 집중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관심사】는 【〔이것을 소비하지 않으면서〕, 부를 갖는 것, 부를 모으는 것】입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이것은 【그들이 〔우리가 "실물 경제", 자연 경제라고 부를 수도 있는 것〕에서 부를 꺼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at wealth then cannot be spent by anybody and can therefore not make the wheels of the economy turn. What does that mean? It means that gradually the wheels will come to a halt; the economy will start sinking to a lower level and you will actually, within the foreseeable future, start reverting back to the kind of economies you had in the Middle Ages, in the feudal societies where the vast majority of the population, over 95% of the population was poor and a small elite was rich.
그런 다음 그 부는 【누구에 의해서도 소비될 수 없고】 따라서 【경제의 바퀴가 돌도록 만들 수 없습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이것은 【(점진적으로) 바퀴가 정지할 것이라는〔; 경제가 더 낮은 수준으로 가라앉기 시작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실제로 (예측할 수 있는 미래에) 【여러분이 〔중세 시대에〕, 〔(대다수의 인구〈인구의 95% 이상〉가 가난했고 그리고 작은 엘리트가 부유했던) 중세 사회에〕 갖고 있었던 종류의 경제로】 다시 되돌아가기 시작할 것입니다.
But the elite of the Middle Ages did not have anywhere near the wealth that the elite has today. And why not? Because the economy was at a lower level. Now, as we have said before, why has the economy grown to a higher level than it was in the Middle Ages—why is there more wealth today?
그러나 【중세 시대의 엘리트】는 【오늘날 엘리트가 갖고 있는 부】와는 거의 비교가 안될 정도로 적게 갖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왜 아니겠습니까? 경제가 더 낮은 수준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 우리가 이전에 말한 것처럼, 경제가 이것이(경제) 중세 시대에 있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성장한 이유는 - 오늘날 더 많은 부가 있는 이유는?
Because the wealth has been spread out over a bigger part of the population and a bigger part of the population, at least in some nations have a much higher standard of living than people had in the Middle Ages. That is why the economy has grown. That is why wealth has been increased in the real economy.
왜냐하면 부가 【인구의 더 큰 부분】으로 퍼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구의 더 큰 부분】은 (적어도 일부 국가에서) 【사람들이 중세 시대에 갖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생활수준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이 【경제가 성장한 이유】입니다.
====
====
Many women are ready to look at this. Some men are, of course ready to look at it as well. But it is truly an idea that is easier to grasp for women, when they connect to their basic humanity and say: “What kind of an economy should we really have? Why do we have the kind of economy we have right now that is clearly elitist, instead of what is best for the people? What if we had an economy that was doing what is best for the majority of the people—raising their standard of living?”
많은 여성은 이것을 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물론) 일부 남성 또한 이것을 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말로 【여성이 파악하기 훨씬 더 쉬운 개념】입니다, 그들이 【그들의 기본적인 인간애에 연결되고 그리고 말할 때】: "우리가 정말로 갖고 있어야 하는 경제가 어떤 종류인가? 우리가 왜 【〔(국민들에게 최선인 것 대신에) 명백히 엘리트주의적인〕 우리가 바로 지금 갖고 있는 종류의 경제】를 갖고 있는가? 우리가 【그들의 생활수준을 높이면서】 다수의 국민들에게 최선인 것을 하고 있는 경제를 갖고 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Well, that economy would continue to grow and grow and grow, more and more wealth would be created. It would be spread much more evenly, and therefore, the economy would be in a self-sustaining, upward spiral. Instead of having the economy that goes in ups and downs, goes from crisis to crisis because the economy itself creates one crisis after another. And why is this? Because the elite wants an economy that goes from crisis to crisis. Why? They concentrate wealth in their hands through the interplay of an upswing and a downswing.
음, 경제가 계속 성장하고 성장하고 성장할 것입니다, 점점 더 많은 부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이것이(부) 훨씬 더 고르게 퍼질 것입니다, 따라서, 경제가 자급 자족의 상향 나선 안에 있을 것입니다. 【〔경제 자체가 잇따라 위기를 만들기 때문에〕 〔위아래로 가고, 위기에서 위기로 가는〕 경제】를 갖는 대신에. 그리고 이것이 그런 이유는? 엘리트가 【〔위기에서 위기로 가는〕 경제】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왜? 그들은 【상승과 하강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그들의 손에 부를 집중시킵니다.
====
====
In an evenly growing economy, it would be more difficult for them to concentrate wealth in their own hands but when there is the upswing and the downswing, crisis-to-boom, then they can make money either way. It is proven by the fact that the elite have made more money during 2020 than they would have done if there had not been a pandemic. Who is it that lose money in a crisis? The broad population. Who gains? The elite, always the elite.
고르게 성장하는 경제에서, 그들이 【그들의 손에 부를 집중시키는 것】이 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상승과 하강】, 【위기 대 호황】이 있을 때, 그들은 【어느 쪽이든】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엘리트가 〔(만약 유행병이 없었다면) 그들이 벌었을 것보다〕 2020년 동안 더 많은 돈을 벌었다는】 사실에 의해서 입증되었습니다. 【위기에서 돈을 잃어버리는 것】이 누구일까요? 광범위한 인구. 누가 벌까요? 엘리트, 항상 엘리트.
They concentrate wealth, they concentrate property in their hands and therefore you will, by continuing this economy of boom and bust, move towards a feudal economy whe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s slaves of the elite. You will see, as you have already seen in the United States, that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ill gradually be eroded.
그들은 부를 모읍니다, 그들은 그들의 손에 재산을 모읍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호황과 불황의 이 경제를 계속하는 것에 의해서) 【다수의 인구가 엘리트의 노예인】 중세 경제를 향해 이동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다수의 인구의 생활수준〕이 점진적으로 약화될 것이라는 것】을 볼 것입니다(여러분이 이미 미국에서 본 것처럼).
This is of course, a situation that many people, men and women, are ready to look at and say: “This cannot be right, this cannot continue.” But again, especially women are the ones who can do this, because they can look at the human costs: how this affects people, how this affects communities, how this affects entire nations and even the world. They can look at this, and they can be the ones who cry out that this has to stop.
물론,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남성과 여성)〕 이미 보고 그리고 〔: "이것은 옳을 수 없다, 이것은 계속될 수 없다".〕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다시, 특히 여성이 【이것을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인적 비용】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것이 어떻게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것이 어떻게 【〔전체 국가〕와 심지어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들은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것을 멈추어야 한다고〕 외치는 사람들】이 될 수 있습니다.
====
This is what you can hold the vision for—you can make the calls for in 2021, that women will start engaging in the economy, will start questioning this male-created economy, and ask the questions that need to be asked.
이것이 여러분이 비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여러분은 【여성이 〔경제에 참여하기 시작할 것이고〕, 〔(이 남성이 만든 경제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고), 그리고 (물어야 하는 질문을 할 것이라고)〕】 2021년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
Now, one of the questions that need to be asked here, or one of the thing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s, of course, neoliberalism. What created this gradual eroding of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middle class and the concentration of wealth in the hands of the elite?
자, 【〔여기에서 물어야 하는 질문 중의 하나〕, 혹은 〔고려되어야 하는 것들 중의 하나〕】는 물론 【신자유주의】입니다. 【중산층의 생활수준의 이 점진적인 약화】와 【엘리트의 손에 부의 집중】을 만든 것이 무엇일까요?
Well, it was the neoliberalist principles that said that the government should stay out of the economy; they should deregulate the financial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because “the market would take care of itself.” This is what has led to a four decades decline in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middle class, a four decades growth in the wealth of the elite and it is also what led to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음, 이것은 【〔(정부가 경제에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고; 〈"시장이 알아서 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금융 산업과 다른 산업의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말한〕 신자유주의 원칙】이였습니다. 이것이 【〔중산층의 생활수준에 40년 감소〕, 〔엘리트의 부에 40년 증가〕】를 초래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또한 【2008년의 금융 위기를 초래했던 것】입니다.
====
====
Now, there are, of course, people who have started questioning neoliberalism after 2008 but not enough people have done it. Why? Because the area of the economy is still too dominated by men and they are not willing to question it. Why not? Because as we have said, the male psyche is more prone to accept ideas, mental images, ideologies, and want to believe that the world functions according to a mental image and if we just keep projecting the mental image long enough, then the world will conform to the mental image.
자, 물론, 【2008년 이후 신자유주의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던】 사람들이 있지만, 충분한 사람들이 이것을 하지 않았습니다. 왜? 경제 분야가 여전히 【남성에 의해서 너무 지배되었고】 그리고 그들이 기꺼이 【이것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 아니겠습니까? 왜냐하면 우리가 말한 것처럼, 【남성 정신】이 【〔(개념, 정신적인 이미지, 이념)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세상이 정신적인 이미지에 따라 기능한다고〕 믿기를 원하는】 경향이 더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단지 【충분히 오랫동안】 정신적인 이미지를 계속 투사한다면, 세상이 정신적인 이미지에 합치할 것입니다.
This is what men are more prone to believe. Whereas women are more open to saying: “Ok, we have had this mental image for some time. What are the actual effects? What are the consequences? Has, what the mental image promises, has it been fulfilled? And if it has not, then we need to question the image.”
이것이 【남성이 믿는 경향이 더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여성은 말하는 것에 더 열려 있습니다: "좋아, 우리는 한동안 【이 정신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었습니다. 실제 효과가 무엇입니까? 결과가 무엇입니까? 【정신적인 이미지가 약속하는 것】이 이행되었습니까? 그리고 만약 이것이 이행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이미지에 의문을 제기해야 합니다".
====
====
Seriously, neoliberalism should have died in 2008 but it has not and now you have another economic crisis, and if you are going to get out of it in the best possible way, then you will have to go beyond the neoliberal principles. What happened in 2008? The unregulated financial industry brought the world economy to the brink of collapse. What was the response from those who had espoused neoliberal principles, to in their greed bring the economy to the brink of collapse?
정말, 신자유주의가 2008년에 없어졌어야 하지만, 이것은 없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제 여러분은 【다른 경제 위기】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이것에서 벗어나려면, 여러분은 【신자유주의 원칙】을 넘어서야 할 것입니다. 2008년에 일어났던 것이 무엇일까요? 【규제받지 않는 금융 산업】이 세계 경제를 붕괴 직전까지 이르게 했습니다. 【그들의 탐욕으로 경제를 붕괴 직전까지 이르게 한】 신자유주의 원칙을 옹호했던 사람들로부터 대응이 무엇이었을까요?
“The government must step in!” Well, my beloved, there is a very old saying that you cannot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 because the simple fact on planet earth is, that you cannot do two mutually exclusive things at the same time. You cannot be a neoliberalist and cry for the government to step in. It cannot be done.
"정부가 개입해야 합니다!" 음, 나의 사랑하는 이여, 【〔(지구에 간단한 사실)이 (여러분이 두 가지 서로 배타적인 것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여러분의 케이크를 갖고 있고〕 그리고 〔또한 이것을 먹을 수 없다는〕】 매우 오래된 격언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신자유주의자가 되고 그리고 정부가 개입하라고 소리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You must choose: Do you want a neoliberalist economy? Then the institutions of that economy, the banks and investment banks, must be allowed to fail if they go against the principles that makes the economy function.
여러분은 선택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신자유주의 경제를 원합니까? 그렇다면 그 경제의 기관이(은행과 투자 은행) 실패하도록 허용되어야 합니다 【만약 그들이 〔(경제가 기능하도록 만드는) 원칙〕에 위배된다면】.
====
====
Or do you want an economy where the government has a role to play? Then you must abandon neoliberalism because you cannot have a neoliberalist economy where the government is playing an active role —it cannot be done. You need to then realize one very simple fact. Who is it that wants a neoliberalist economy? The elite. Why?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정부가 할 역할을 갖고 있는〕 경제】를 원합니까? 그렇다면 여러분은 【신자유주의】를 버려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를 가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은 【한 가지 매우 간단한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신자유주의 경제를 원하는 것이 누구일까요? 엘리트. 왜?
Because it gives them complete freedom to exploit the population. An unregulated capitalist economy is a free pass for an elite who already has accumulated wealth to exploit the population. That is simply a fact and women are more open to seeing this than men, especially those men who are still in love with it, the neoliberalist mental image.
이것이 그들에게 【주민을 착취하는 완벽한 자유】를 주기 때문입니다. 【규제받지 않는 자본주의 경제】는 【〔이미 부를 축적한〕 엘리트】가 【주민을 착취하는 무임승차권】입니다. 그것은 【간단한 사실】입니다 그리고 여성이 【남성보다 이것을 보는 것】에 더 열려 있습니다, 특히 여전히 이것(신자유주의 정신적인 이미지)과 사랑에 빠진 그 남성들.
====
====
The only way to secure an economy where the average person increases their standard of living, is that the government steps in and regulates the economy. First of all, the financial industry that is always, always has been, always will be dominated by the elite. As Saint Germain has said, in an ideal natural economy, you do not allow people to make money off of money because money is just a tool.
【〔(평균적인 사람이 그들의 생활수준을 증가시키는) 경제〕를 안전하게 지키는 유일한 방법】은 【〔정부가 개입해서〕 그리고 〔경제를 규제하는〕 것】입니다. 우선, 【〔항상 있고, 항상 있었던〕 금융 산업】은 엘리트에 의해서 항상 지배될 것입니다. 성 저메인이 말한 것처럼, 이상적인 자연 경제에서, 여러분은 【사람들이 돈으로 돈을 벌도록】 허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돈은 단지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An unregulated financial industry is an open license for the elite to exploit the people and that cannot increase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opulation. It cannot be done. These are incompatible ideas, principles.
【규제받지 않는 금융 산업】은 【엘리트가 국민들을 착취하는 노골적인 면허증】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주민의 생활수준을 증가시킬 수 없습니다. 이것은 될 수 없습니다. 이것들은 양립할 수 없는 개념, 원칙입니다.
====
====
You need to choose which economy you want. “Choose ye this day, whom you will serve” the elite or the people.
여러분은 【〔여러분이 원하는〕 어떤 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누구를 섬길지, 오늘 선택하세요" 엘리트 혹은 국민들.
There are still too many men who are in love with the neoliberalist idea, that they will not see that it is serving the elite and that is why women are the ones who can step up and step in and say: “We must choose, and we want an economy that is of the people,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not of the elite by the elite and for the elite. We want an economy that functions according to democratic principles, not according to anti-democratic principles, as it does right now.”
【〔그들이 (이것이 엘리트를 섬기고 있다는 것)을 보지 않을〕 신자유주의 개념과 사랑에 빠진】 여전히 너무 많은 남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성이 〔(앞으로 나와서) 그리고 (개입하고) 그리고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인〕 이유】입니다: "우리는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국민의, 국민에 의한 그리고 국민을 위한】 경제를 원합니다, 엘리트의 엘리트에 의한 그리고 엘리트를 위한 경제가 아니고. 우리는 【〔민주적인 원칙에 따라 기능하는〕 경제】를 원합니다, 반민주적인 원칙에 따라서가 아니고(바로 지금 하는 것처럼)."
====
====
You take one of these fancy ideas that have been put out there by the neoliberalists: “The rising tide lifts all boats”. But what is the “rising tide”? Well, there is supposedly money, or wealth, the amount of wealth. If you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wealth in the world, it is like the tide that comes up and lifts all boats. But my beloved, just take that image. What has the elite been doing now since the financial industry has been de-regulated?
여러분은 【〔신자유주의자들에 의해서 제안되었던〕 이 상상의 개념들 중의 하나】를 예로서 들어 봅니다 : "밀물이 모든 배를 들어 올립니다". 그러나 "밀물"이 무엇일까요? 음, 아마 돈, 혹은 부, 부의 양이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계에 전체 부의 양을 증가시킨다면, 이것은 【〔생기고 그리고 모든 배를 들어 올리는〕 조수(tide)】와 같습니다. 그러나 나의 사랑하는 이여, 단지 그 이미지를 떠올려보세요, 금융 산업이 규제 철폐된 이후 엘리트가 무엇을 해왔습니까?
They have created wealth. But it is not wealth that is tied to anything in the real economy. It is not tied to producing a product or providing a service—it is artificially-created wealth. So just imagine, as you can easily imagine, based on the images that are put out there about global warming and the melting of the ice caps, just imagine that the rising tide keeps rising.
그들은 【부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실물 경제에 어떤 것과도 관련 있는〕 부】가 아닙니다. 이것은 【〔상품을 생산하거나〕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 있지 않습니다 - 이것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부입니다. 그래서 단지 【〔지구 온난화〕와 〔만년설의 용해〕에 관해 제시되었던】 이미지에 근거해서 상상해보세요(여러분이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처럼), 단지 【밀물이 계속 올라가는 것】을 상상해보세요.
====
====
What is going to happen, if the tide keeps rising? Well, you know that many boats are in a marina, where they are tied to some posts that are put into the ground. What will happen if the tide keeps rising? Well, the lines that the boats are tied with, will become taut. That means, now the boat cannot rise anymore. So what will happen? Well, eventually, the tide will rise so high, that it will start to run into the boat, and the boat will sink.
【만약 조수가 계속 올라간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음, 여러분은 【많은 배가 〔그것들이(배) 땅에 놓여 있는 어떤 기둥에 묶여 있는〕 정박지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약 조수가 계속 올라간다면 무엇이 일어날까요? 음, 배가 묶여 있는 줄이 팽팽해질 것입니다. 그것은 【이제 배가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무엇이 일어날까요? 음, 결국, 조수가 【이것이(조수) 배를 들이받기 시작할 정도로】 매우 높이 올라갈 것입니다, 그리고 배가 가라앉을 것입니다.
Now which boats are the ones who are going to sink first in this scenario? Well, of course, the smallest boats, those are the ones, where the water will flow in first. Whereas the big yachts of the elite, it will take longer before they are overflowed. But they will eventually also be filled with water, if the tide keeps rising.
자 어떤 배가 【이 시나리오에서 먼저 가라앉을 배들】일까요? 음, 물론, 가장 작은 배들, 그것들은 【물이 맨 먼저 흘러들 배들】입니다. 반면에 엘리트의 큰 요트, 이것은 【그것들이 넘치기 전에】 더 오래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들도 또한 결국 물로 가득 찰 것입니다, 만약 조수가 계속 올라간다면.
====
====
You see that the lie of this idea is that if you keep creating artificial wealth, it is like allowing the ice caps to melt to the point where the tide rises beyond what has been the natural level and now starts to cause damage that will inundate cities that are on the coast and sink all the boats. So you see, my beloved, it is a flawed idea from the very beginning.
여러분은 『이 개념의 거짓말이 【만약 여러분이 〔인위적인 부〕를 계속 만든다면, 〔조수가 (정상적인 수준이었던 것)을 넘어서고 그리고 이제 (〈해안에 가까이에 있는 도시를 침수시키고〉 그리고 〈모든 배를 가라앉힐〉) 피해를 야기하기 시작하는〕 만년설이 녹도록 허용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라는 것』을 봅니다. 그래서 나의 사랑하는 이여, 여러분은 【이것이 〔바로 그 시작부터〕 결함이 있는 개념이라는 것】을 봅니다.
When you take it to its ultimate extreme, you see how flawed it is—it will not lift all boats because the rising tide will eventually sink all boats, even the boats of the elite will eventually sink.
여러분이 이것을 【its 궁극적인 극단까지】 가져갈 때, 여러분은 【이것이 얼마나 결함이 있는지】 봅니다 - 이것은 【모든 배를 들어 올리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밀물이 결국 【모든 배를 가라앉힐 것입니다】, 엘리트의 배들조차 결국 【가라앉힐 것입니다】.
You need to get back to a point where you say: “There is a natural water level on this planet, there is a natural level of wealth, and if we let it grow gradually we can adjust to it, we can deal with it but if it grows too much, by creating artificial wealth or an artificial melting of the ice caps, then we have a problem. Then it will become a destructive force that will not lift the boats but will have far-reaching destructive consequences.”
여러분은 【여러분이 말하는 지점】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 행성에 【정상적인 수위】가 있습니다, 부의 【정상적인 수준】이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이것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허용한다면, 우리가 【이것에 적응할 수 있고】, 우리가 【이것을 처리할 수 있지만】, 만약 이것이 【〔인위적인 부를 만들고〕 혹은 〔만년설의 인위적인 용해〕에 의해서】 너무 많이 커진다면, 우리는 【문제를 가집니다】. 그런 다음 이것이 【배를 들어 올리지 않고, 〔지대한 영향을 가져올 파괴적인 결과를 가질〕】 파괴적인 힘이 될 것입니다."
====
====
This is what you have seen in previous crisis situations. It is what you will see in the future if neoliberalism is not buried and an anti-elitist and non-elitist economy is created. You have already seen it because as I said, the elite wants to have an economy that goes from crisis, to boom and back to crisis but they want to be in control of it. They think in their greed, that whatever they come up with that increases wealth is good.
이것이 【여러분이 이전 위기 상황에서 보았던 것】입니다. 【만약 〔신자유주의가 단념되지 않고〕 그리고 〔반엘리트와 비엘리트 경제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이것이 여러분이 미래에 볼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이것을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말한 것처럼, 엘리트가 【〔위기에서, 호황으로 그리고 다시 위기로 가는〕 경제】를 갖기를 원하지만, 그들은 【이것을 통제하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부를 증가시키는 그들이 찾아내는 어떤 것이든〕 좋다고】 생각합니다(그들의 탐욕으로).
They are so blind, that they cannot see that it will eventually get out of control. You may have many of these boom and bust cycles, where the elite can maintain control but sooner or later, they take it too far and as happened in 1929 and in 2008, suddenly it goes beyond their control and a crisis now runs rampant, becomes unstoppable by them and that is when they suddenly cry out that they are “too big to fail.”
그들은 【그들이 〔이것이 결국 통제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것〕을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눈이 멀었습니다. 여러분은 【엘리트가 통제를 유지할 수 있는】 【많은 이 호황과 불황 주기들】을 가질지도 모르지만 조만간, 그들이 【이것을 너무 멀리 가져가고】 그리고 【1929년과 2008년에 일어났던 것처럼】, 갑자기 이것이 【그들의 통제를 넘어서고】 그리고 이제 위기가 【마구 퍼지고】, 【〔그들에 의해서〕 막을 수 없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갑자기 〔그들이 "대마불사"라고〕 외치는 때】입니다.
====
====
Well my beloved, in a neoliberalist economy, nobody and nothing is too big to fail. That is just the economy that works itself out, so the market takes care of itself and those who cannot follow the market, they go bust, they are not too big to fail. Nothing is too big to fail if you are neoliberalist.
음 나의 사랑하는 이여, 신자유주의 경제에서, 아무도 그리고 아무것도 대마불사가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스스로 해결하는〕 경제】입니다, 그래서 시장이 스스로를 돌봅니다 그리고 시장을 따를 수 없는 사람들, 그들은 파산합니다, 그들은 대마불사가 아닙니다. 【만약 여러분이 신자유주의자라면】 아무것도 대마불사가 아닙니다.
If you are a human being, then you might say that something is too big to fail, namely, society, the government, the order where people have a decent standard of living—where all people have a decent standard of living—that is too big to fail and therefore we must allow the elite to fail, if they are the ones who are threatening the entire system.
만약 여러분이 인간이라면, 여러분은 【어떤 것이 대마불사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즉 대마불사인 【사회】, 【정부】, 【사람들이 괜찮은 생활수준을 갖는〔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생활수준을 갖는〕 질서】』 따라서 우리는 엘리트가 파산하도록 허용해야 합니다, 만약 그들이 전체 시스템을 위협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
====
My beloved, naturally, much more could be said about these topics, and probably will be in the future but I wanted to give you this,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hat you make these calls in 2021, that women will start to awaken to their rightful role in the economy. Because why has the economy been unbalanced? It is because what we have said before: the unbalanced masculine drive for expansion has not been balanced by the feminine drive for balanced growth.
나의 사랑하는 이여, 물론, 【훨씬 더 많은 것】이 이 주제들에 대해 말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 미래에 말해지겠지만 나는 여러분에게 이것을 주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2021년에 이 요청들을 하고】, 【여성이 경제에서 그들의 정당한 역할을 깨닫기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경제가 불균형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것은 【우리가 이전에 말했던 것】 때문입니다: 【확장의 불균형한 남성적인 충동】이 【〔균형 잡힌 성장의 여성적인 충동〕에 의해서】 균형 잡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Truly men cannot fix the economy. If we do not have a greater influence of women on the economy, then the economy will not be fixed—it will keep going towards the next crisis. Those will be even worse than the previous one until someone wakes up and realizes that we need to shift our awareness about the economy. This is the shift that can start to happen and really escalate in 2021 and this is where your calls and your vision can have a major positive impact.
정말로 남성은 경제를 바로잡을 수 없습니다. 만약 우리가 【〔경제에서〕 여성의 더 큰 영향력】을 갖지 않는다면, 경제는 바로잡아질 수 없을 것입니다 - 이것은 다음 위기를 향해 계속 갈 것입니다. 『누군가가 정신을 차리고 그리고 【우리가 〔경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 깨달을 때까지』 그것들은 이전보다 훨씬 더 나빠질 것입니다. 이것이 【〔일어나기 시작하고〕 그리고 〔정말로 2021년에 확대될 수 있는〕 변화】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의 요청〕과 〔여러분의 비전〕이 중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입니다.
====
====
This is what we wanted to give you in this installment. We are grateful that so many of you have been willing to tune in because as always, your auras, your chakras have been the broadcast stations in your different locations around the world so that we have enough covered a very large band of time zones around the world.
이것이 【우리가 여러분에게 이번 회차에 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매우 많은 여러분이 기꺼이 청취한 것】을 고마워합니다 왜냐하면 늘 그렇듯, 【여러분의 오라, 여러분의 차크라】는 【우리가 세계 도처에 매우 큰 표준 시간대를 충분히 포함시켰을 정도로】 세계 도처에 여러분의 다른 장소에 방송국이었기 때문입니다.
For this, we are grateful. We look forward to what we might do in 2021 with the internet broadcasts that have opened up a new opportunity for so many of you to be connected to the same broadcast, give the same invocations and decrees, which also has had a major impact on this year.
이것에 대해, 우리는 고마워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매우 많은 여러분이 (〈또한 금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던〉 동일한 방송에 연결되고, 동일한 기원문과 디크리를 하는) 새로운 기회를 열었던〕 인터넷 방송으로 2021년에 할 수도 있는 것】을 고대합니다.
====
So with this, I will conclude my remarks and wish you not just a “happy” new year, but a new year that will shift your awareness more than the previous year did so that you will continue with that upward spiral for as long as you are in embodiment.
그래서 이것으로, 나는 나의 발언을 마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행복한" 새해】 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구체화 안에 있는 동안) 여러분이 그 상향 나선을 계속하도록〕 작년에 한 것보다 더 많이 여러분의 인식을 바꿀 새해】가 되기를 기원하겠습니다.
Thus I seal you in the mother flame that I AM.
따라서 나는 나인 어머니 화염에 여러분을 봉인합니다.
Copyright © 2020 Kim Michaels
'상승 마스터 딕테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9. 경쟁의 트레드밀에서 내리기 (0) | 2021.02.06 |
---|---|
178. 자유와 민주주의는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 (0) | 2021.01.27 |
176. 여러분이 집중하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0) | 2021.01.25 |
175. 우리의 영적인 길에서 실수하는 것에 대해 (0) | 2021.01.23 |
174. 더 높은 수준의 그리스도임의 구 모양의 인식을 경험하기 (0)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