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https://askrealjesus.com/the-way-of-christ-versus-the-way-of-anti-christ/
Now for another subtle distinction, and let me say the same thing in two different ways:
자 이제 다른 미묘한 차이로 넘어가겠습니다, 그리고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같은 것을 말하겠습니다:
Point 1: The I AM Presence resides in a realm with vibrations that a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four levels of the material universe. The difference is so big that it forms a kind of “observation horizon.” You know, for example, that your eyes can see only certain forms of light. If the frequencies of the light rays are higher or lower than a certain level, your eyes cannot see the light—there is a horizon beyond which your eyes cannot see.
요점 1: 【I AM Presence】는 【〔(물질 우주의 네 가지 수준에 진동보다) 훨씬 더 높은〕 진동을 가진 영역】에 거주합니다. 차이는 【그것이 〔일종의 "관찰 지평선"〕을 형성할 정도로】 매우 큽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은 【〔여러분의 눈〕이 〔특정한 형태의 빛만〕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약 【광선의 주파수】가 【특정한 수준보다】 더 높거나 더 낮다면, 【여러분의 눈】은 빛을 볼 수 없습니다 - 【〔여러분의 눈이 ... 너머를 볼 수 없는〕 지평선】이 있습니다.
When the I AM Presence first sends an extension of itself into the material universe, the “perception” of the Conscious You must be attuned to the vibrations of the realm into which it is sent—otherwise it simply could not focus its self-awareness in that realm. It is comparable in a crude way to a radio that must be attuned to a certain frequency in order to play a certain station.
【I AM Presence】가 (처음) 【자신의 확장을 물질 우주로】 보낼 때, 【Conscious You의 "지각"】은 【〔그것이(Conscious You) 보내진〕 영역의 진동】에 조율되어야 합니다 -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Conscious You) 【그 영역에】 its 자기인식을 집중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특정한 방송을 틀기 위해서) 특정한 주파수에 조율되어야 하는〕 라디오】에 필적합니다.
Point 2: I have said that the Conscious You is pure awareness. So the question now becomes how this pure awareness can enter into and stay in a realm with a particular vibration. What would prevent the pure awareness from simply slipping right out of the material realm; how can it stay focused in a particular location, such as a physical body on earth?
요점 2: 나는 【Conscious You이 〔순수한 인식〕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문제는 이제 【〔이 순수한 인식〕이 어떻게 〔(특정한 진동을 가진 영역에 들어가서) 그리고 (머물 수 있는지)〕】가 됩니다. 【순수한 인식이 물질 영역에서 바로 나가는 것을 막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이 어떻게 【지구에서 물리적인 몸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 계속 집중할 수 있을까요?
In order to make sure the pure awareness of the Conscious You stays in a particular location, the I AM presence projects the Conscious You into a predefined role in a particular environment. For example, Maitreya’s Mystery School had a number of predefined roles. This means the Conscious You did not descend into the Mystery School as pure awareness; it descended into a particular role and thus perceived the Mystery School through that role.
【〔Conscious You인 순수한 인식〕이 특정한 장소에 머무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I AM presence】는 【Conscious You을 특정한 환경에 미리 정의된 역할 안으로】 투사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트레야의 신비 학교】는 【얼마간의 미리 정의된 역할】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Conscious You이 (순수한 인식으로서) 신비 학교로 내려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Conscious You) 『【특정한 역할로 내려가서】 따라서 【〔그 역할을 통해서〕 신비 학교를 인지했습니다】』.
The result of this is that when the Conscious You first descends, it cannot directly perceive the I AM Presence and thus cannot see itself as an extension of the Presence. That is why it needs a teacher who is in the same realm of vibrations (so it can see the teacher), yet has attained the Christ consciousness and has thus learned to accept itself as an extension of the Presence.
This teacher can then guide the Conscious You to raise its self-awareness, until it can now perceive – or tune in to – both the vibrations of this world and the vibrations of its own I AM Presence. We might say it is similar to training your eyes to see both visible light and ultraviolet light.
【이것의 결과】는 『【Conscious You이 처음 내려갈 때】, 【그것이(Conscious You) 〔I AM Presence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없고〕 따라서 〔자신을(itself) 현존의 확장으로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그것이(Conscious You) 『【동일한 진동의 영역 안에 있지만〔그래서 그것이(Conscious You) 교사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의식을 얻었고】 따라서 【〔자신을(itself) 현존의 확장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배운】 교사를 필요로 하는 이유』입니다. (그런 다음) 이 교사는 【Conscious You이 its 자기인식을 올리도록】 이끌 수 있습니다, 그것이(Conscious You) 【〔이 세상의 진동〕과 〔its 자신의 I AM Presence의 진동〕 (둘 다)】를 인지할(조율할) 수 있을 때까지. 우리는 【그것이 〔여러분의 눈이 가시광선과 자외선 (둘 다)를 보도록 훈련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This is the process of putting on your personal Christhood, whereby the Conscious You claim’s its oneness with the “father,” with its I AM Presence. You directly see that you are an extension of the I AM Presence and that you did not originate in the material world. You are 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When you reach this point of spiritual self-sufficiency, you have graduated from Maitreya’s Mystery school, and you therefore no longer need an external teacher. You no longer need an external frame of reference because you have the internal frame of reference of your I AM Presence.
이것은 『【Conscious You이 〔("아버지"와), (its I AM Presence와)〕 its 하나됨을 주장하는】 【여러분의 개인의 그리스도임을 입는 과정】』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I AM Presence의 확장〕이고】 그리고 【여러분이 물질세계에서 유래하지 않았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봅니다. 여러분은 세상에 있지만, 세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영적인 자급자족의 이 지점】에 도달할 때, 여러분은 【마이트레야의 신비 학교】에서 졸업합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더 이상 【외부 교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더 이상 【외부 준거 틀】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I AM Presence인 내부 준거 틀】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It is important that you contemplate the difference between an external teacher and the internal connection to your I AM Presence. Let me give you a crude illustration. I have said that when you take on a certain role, the Conscious You is now seeing the world through the filter of that role. This is comparable to you putting on a pair of colored glasses; everything your eyes see is tinted by the glasses. As Paul said, you see through a glass darkly.
【여러분이 〔(외부 교사)와 (여러분의 I AM Presence와 내부 연결) 사이에 차이〕를 심사숙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에게 대강의 실례를 주겠습니다. 나는 『【여러분이 〔특정한 역할〕을 맡을 때】, 【〔Conscious You〕이 이제 〔그 역할의 필터를 통해서〕 세상을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채색된 안경을 끼는 것】과 비슷합니다; 【〔여러분의 눈이 보는〕 모든 것】은 안경에 의해서 채색됩니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여러분은 거울을 통해서 어둡게 봅니다.
So when you are wearing glasses, you can only see the world through the glasses. Everything you see as being outside yourself is tinted by the glasses. This is comparable to you seeing a teacher as a being who is separate from yourself. Everything the teacher tells you is “colored” by your glasses, by the role through which the Conscious You perceives the world.
그래서 여러분이 【안경】을 끼고 있을 때, 여러분은 【안경을 통해서만】 세상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 바깥에 있는 것으로 보는〕 모든 것】은 안경에 의해서 채색됩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교사를 〔여러분 자신과 분리되어 있는 존재〕로 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교사가 여러분에게 말하는〕 모든 것】은 『【여러분의 안경에 의해서】, 【〔Conscious You이 세상을 인지하는〕 역할에 의해서】』 채색됩니다.
Yet let us now imagine that your eyes could “turn around” and look inward. The brain, could, so to speak, turn the eyes around and look at itself. In that case, it would not be possible to put any glasses in front of your eyes, meaning your perception could not be distorted.
하지만 이제 【여러분의 눈이 "방향을 바꾸어" 그리고 안쪽으로 본다고】 상상해보겠습니다. 두뇌는 (말하자면) 【〔눈을 돌려〕 그리고 〔자신을(itself) 볼 수 있습니다〕】. 그 경우에, 【여러분의 눈앞에 어떠한 안경을 놓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지각이 왜곡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Do you begin to sense what I am seeking to explain here? It is an absolutely essential point if you want to go beyond a certain level on the spiritual path. We might say that there are two distinct forms of perception available to the Conscious You. You can look outward at the world in which you are focused, or you can look inward at your I AM Presence. When you look outward at the world, you can ONLY do so through the role that the Conscious You has taken on. Which means that in order to look inward, you MUST look beyond the role.
여러분은 【내가 여기에서 설명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기 시작합니까? 【만약 여러분이 〔영적인 길에서 특정한 수준〕을 넘어서고 싶다면】 그것이 절대적으로 필수 사항입니다. 우리는 【〔(Conscious You이 이용 가능한) 두 가지 뚜렷이 다른 형태의 지각〕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집중하는〕 세상】을 내다볼 수 있습니다, 혹은 여러분은 【여러분의 I AM Presence】를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세상】을 내다볼 때, 여러분은 【〔Conscious You이 맡은〕 역할을 통해서만】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안쪽으로 보기 위해서, 여러분이 역할 너머를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You can line up all the spiritual seekers in the world, and you will see many people who have made sincere efforts on the spiritual path. They have studied spiritual teachings and practiced all kinds of techniques, and most of them would say with absolute certainty that they have followed the true spiritual path. Yet in reality most of them have followed the spiritual path only as they see it through the filter of the role they have taken on.
여러분은 【모든 영적인 구도자】를 일렬로 세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영적인 길에서 진실된 노력을 했던〕 많은 사람들】을 볼 것입니다. 그들은 【〔영적인 가르침을 공부하고〕 그리고 〔모든 종류의 기법을 실천했습니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은 (절대적인 확실성으로) 【그들이 참된 영적인 길을 따랐다고】 말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들 대부분】은 『【그들이 〔(그들이 맡은) 역할의 필터를 통해서〕 그것을 보는 대로만】 【영적인 길】』을 따랐습니다.
Everything they do on their spiritual path will be colored by their perception, meaning that these people will actually become more identified with their current role. The more they do in a spiritual context, the more they imprison themselves in the role that keeps them from oneness with the Presence. In contrast, the real spiritual path is that you dis-identify yourself with the current role, until the Conscious You realizes it is more than the role; it is an extension of the Presence and as such could never be separated from the Presence.
【〔그들이 (그들의 영적인 길에서) 하는〕 모든 것】은 【그들의 지각에 의해서】 채색될 것입니다, 【이 사람들이 (실제로) 〔그들의 현재 역할〕과 더 동일시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그들이 영적인 맥락에서 할수록, 그들은 【〔현존과 하나됨으로부터 그들을 막는〕 역할】에 그들 자신을 더 감금합니다. 그에 반해서, 【진짜 영적인 길】은 『【Conscious You이 〔그것이(Conscious You) 역할보다 더 이상이고; 그것이(Conscious You) 현존의 확장이고 그리고 〈보통〉 결코 현존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때까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을 현재 역할과 동일시하지 않는 것】』입니다.
So the essential question now becomes how you can go beyond seeing the world and the spiritual path through the role that you need to transcend? The ONLY answer is that the Conscious You must realize and acknowledge that it is pure awareness. And as such, it has the ability to project itself outside its current role. In the mystery school, a student accomplished this by projecting itself into oneness with Maitreya. Thus, the student would see its actions as Maitreya saw them, as opposed to seeing its actions through the filter of the role that caused it to take those actions.
그래서 필수적인 질문은 (이제) 【여러분이 어떻게 〔(여러분이 초월해야 하는) 역할을 통해서〕 〔(세상)과 (영적인 길)을 보는 것〕을 넘어설 수 있는지?】가 됩니다. 【유일한 대답】은 【Conscious You은 〔그것이(Conscious You) 순수한 인식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인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통, 그것은(Conscious You) 【자신을(itself) its 현재 역할 밖으로 투사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신비 학교에서, 학생은 【자신을(itself) 마이트레야와 하나됨으로 투사하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성취했습니다. 따라서, 학생은 its 행동을 『【〔(그것이〈학생〉 그 행동들을 취하도록 야기한) 역할의 필터를 통해서〕 its 행동을 보는 것과 대조적으로】 【마이트레야가 그것들을 본 대로】』 볼 것입니다.
Yet as the student grew, Maitreya taught it to also look inward and come to see its actions as the I AM Presence saw them. Do you see the difference? You are an individualized being, and so is Maitreya. Maitreya looks at the world from a particular viewpoint. It can be valuable for you to experience Maitreya’s viewpoint because it gives you a frame of reference from outside your own role, your mental box. Yet in the end, this is not the ultimate perspective. You are not an extension of Maitreya; you are an extension of your I AM Presence. So what you really need is to see the world and your 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your Presence. This is how you and your Presence will grow.
하지만 학생이 성장하면서, 마이트레야는 그것에게(학생) 【또한 〔내부를 보고〕 그리고 〔(I AM Presence가 그것들을 보는 것처럼) its 행동을 보게 되는〕 것】을 가르쳤습니다. 여러분은 【개별화된 존재】입니다, 그리고 마이트레야도 그렇습니다. 마이트레야는 【특정한 관점에서】 세상을 봅니다. 【여러분이 마이트레야의 관점을 경험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에게 【〔(여러분 자신의 역할), (여러분의 정신적인 상자) 바깥에서〕 준거 틀】을 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국, 이것은 【궁극적인 관점】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마이트레야의 확장】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I AM Presence의 확장】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정말로) 필요로 하는 것】은 【〔여러분의 현존의 관점에서〕 세상과 여러분의 행동을 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여러분과 여러분의 현존이 성장하는 방법】입니다.
Yet this is also subtle. Your I AM Presence is NOT an external being; it is not separate from the Conscious You. In fact, many students have set back their progress by seeing their I AM Presence much like the theistic God, namely as a perfect being up there in heaven. In reality, you will never reach your I AM Presence as long as you see it as outside of or separate from yourself. Your Presence will not speak to you as a booming voice coming out of a burning bush. Your Presence will not even speak to you in words, and this is another important point.
하지만 이것은 또한 미묘합니다. 【여러분의 I AM Presence】는 【외부 존재】가 아닙니다; 그것은(I AM Presence) 【Conscious You】과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실은, 【많은 학생들】은 【〔그들의 I AM Presence〕를 〔일신교의 하나님(즉 저기 위 하늘나라에 완벽한 존재로)과 매우 비슷하게〕 보는 것에 의해서】 그들의 진전을 지연시켰습니다. 사실은, 【여러분이 〔그것을(I AM Presence)〕 〔(여러분 자신 바깥에 있는 것으로) 혹은 (여러분 자신과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는 한】 여러분은 결코 【여러분의 I AM Presence】에 도달하지 못할 것입니다. 【여러분의 현존】은 【불꽃이 이는데도 타지 않는 가시덤불에서 나오는 울리는 음성으로】 여러분에게 이야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현존】은 말(words)로 여러분에게 이야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다른 중요한 점입니다.
Words are of this world, and thus they are linked to and limited by the level of vibration in this world. There are many concepts that simply cannot be communicated through words. It is, however, possible that you can have an impulse that is sent to you from your Presence, and it comes through to your conscious mind as a message given in words. This is comparable to how I am giving this discourse through this messenger. Ye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ANY message given to you through words will be somewhat distorted by your role. Thus, again, what you really need is to learn to project yourself into oneness with your I AM Presence, so that you see the world as your Presence sees it. Words are needed only when there is distance, whereas the experience of oneness is beyond distance.
말(words)은 【이 세상】에 속합니다, 따라서 그것들은 【이 세상에 진동 수준】과 연관되고 그리고 제한됩니다. 【〔단지 말을 통해서 소통될 수 없는〕 많은 개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존으로부터 여러분에게 주어지는) 자극〕을 가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말로 주어진 메시지로 여러분의 의식적인 마음까지】 도착합니다. 이것은 【내가 〔이 메신저를 통해서〕 이 담론을 주고 있는 방법】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말을 통해서 여러분에게 주어지는 어떠한 메시지〕도 어느 정도 〔여러분의 역할에 의해서〕 왜곡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극히 중요합니다. 따라서, 다시, 【여러분이 정말로 필요로 하는 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존이 그것을(세상) 보는 대로〕 세상을 보도록】 【〔여러분 자신을 (여러분의 I AM Presence와 하나됨으로) 투사하는 것〕을 배우는 것】』입니다. 말은 【거리가 있을 때만】 필요합니다, 반면에 【하나됨의 경험】은 거리를 넘어서 있습니다.
We might say that there is a phase or level of the spiritual path where you need to see your Presence as outside yourself and you need to seek to make contact with it as you perceive it. Yet in order to rise beyond that level, you need to go beyond even the desire to have external communication, especially about personal decisions you make. You need to be willing to make your decisions and then project yourself into oneness with the Presence to get the ultimate feed-back.
우리는 『【여러분이 〔여러분의 현존〕을 〔여러분 자신 바깥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리고 【여러분이 〔여러분이 그것을(현존) 인지하는 대로〕 그것(현존)과 접촉하려고 추구해야 하는】 영적인 길의 단계 혹은 수준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수준을 넘어서기 위해서, 여러분은 【외부 소통을 하는 욕구도】 넘어서야 합니다, 특히 여러분이 하는 개인적인 결정에 대해. 여러분은 기꺼이 『【여러분의 결정을 하고】 그리고 【〔궁극적인 피드백을 얻기 위해〕 여러분 자신을 현존과 하나됨 안으로 투사해야 합니다】』.
In other words, as long as you approach the spiritual path through the outward perception, you will never go beyond a certain level. Only when you learn to use the inward perception will you rise to the level of beginning the real path to personal Christhood. Yet in order to step on to the path of Christhood, you need to begin to understand anti-christ.
다시 말해서, 여러분이 【밖으로 향하는 지각을 통해서】 영적인 길에 접근하는 한, 여러분은 결코 【특정한 수준】을 넘어서지 못할 것입니다. 【여러분이 〔안쪽을 향하는 지각을 사용하는 것〕을 배울 때만】 여러분은 【〔개인의 그리스도임에 이르는 진짜 길〕을 시작하는 수준으로】 올라갈 것입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임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 여러분은 【반그리스도를 이해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발췌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 마음에 선하거나 사악한 아무것도 없는 이유 (0) | 2021.06.13 |
---|---|
그리스도와 반그리스도 사이에 차이 (0) | 2021.06.13 |
구체화하기 그리고 구체화로 떨어지기 (0) | 2021.06.13 |
금지된 과일을 이해하기 (0) | 2021.06.13 |
역할을 맡기 그리고 역할을 정의하기 (0) | 202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