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문

상호 연결된 전체

의식 성장 2022. 6. 8. 19:45

"자아의 힘" 중에서

 

- 킴 마이클즈 -

 

이것을 염두에 두고, 나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왜 여기에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진정한 잠재력이 무엇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을 기술할 것입니다. 『【우리가 〔분리된, 외떨어진 세계〕에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에 의해서』 시작하겠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상호 연결된 전체인〕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이것을 설명할 가장 쉬운 방법】은 『【〔거시적인 세계〕가 〔물질〕로 만들어져 있지 않고; 그것이(거시적인 세계) 〔에너지〕로 만들어져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에너지】는 【진동의 한 형태】입니다, 그리고 【많은 수준의 진동】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모두】는 【〔우리의 눈〕이 〔특정한 형태의 빛만〕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습니다.

 

【〔이미지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적색 아래 혹은 보라색 위쪽과 같은】 【〔우리의 눈이 감지할 수 없는〕 빛의 형태】가 있습니다:

 

이미지 1 - 빛의 전자기 스펙트럼

 

【〔보이는 보라색 빛〕과 〔볼 수 없는 자외선〕 사이에 차이】가 무엇일까요?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조금 더 높은 진동】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 외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보라색과 자외선을 가르는〕 관통할 수 없는 장벽】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사실은, 【상대성 이론】은 【여러분이 〔(자외선의 진동)을 낮추고〕 그리고 〔(그것)을 (보라색 빛)으로 바꿀 수 있다고〕】 말합니다. 【아인슈타인의 공식】은 (심지어) 『이것이 정확히 【〔물질 우주가 창조되었던〕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우리 모두】는 『여러분이 【수학 공식을 가져다가】 그리고 【〔등호의 양쪽에 동일한 인자를 이용하여〕 나눌 수 있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습니다. 만약 우리가 아인슈타인의 공식에 이것을 한다면, 우리는 다음을 얻습니다:

 

 

우리는 이제 【등호의 오른쪽에 c2 두 번】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들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우리는 결국 최종적인 공식을 얻게 됩니다:

 

【이 새로운 공식】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할까요? 그것은 『【물질세계】가 【〔물질이 아니라, 순수한 에너지의 한 형태인〕 실체】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합니다. 【이 에너지 E】는 『【〔(햇빛 혹은 전기와 같은) 우리가 보통 에너지라고 부르는 것〕을 훨씬 넘어서 있는】 수준』에서 진동합니다. 그것은 여전히 파동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그것들은 『【〔물질세계에 어떠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에서 진동합니다. 따라서, 물질세계를 창조하기 위해서, 【이 양자 에너지】가 【특정한 스펙트럼까지】 진동에서 낮추어져야 했습니다. 그리고 【이 감소 인자】가 【아인슈타인이 말한 것인 빛의 속도 제곱】입니다.

 

여러분이 아마 알고 있는 것처럼, 【빛의 속도】는 【매우 큰 숫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을 제곱할 때, 여러분은 【천문학적인 숫자】를 얻습니다. 그것은 『【원래 에너지 E】가 【물질 에너지가 되기 위해서】 【거대한 인자에 의해서】 낮추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감소가 일어났을 때, 【물질 에너지】가 (이제) 『【그것이 〔단단하고 국부적인 입자처럼 나타나도록〕 만드는】 매트릭스』로 포획될 수 있었습니다. 【이 입자들】이 (그런 다음) 『【〔원자〕, 〔분자〕, 〔행성〕, 〔에스프레소 기계〕, 〔은하계〕 그리고 〔인간 몸〕과 같은】 【국부적인 구조를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지금 보는 것】은 【우리가 〔(진동의 연속체인) 세계〕에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미자 2 - 진동의 연속체

 

전통적으로, 여러분이 (영원히) 【점점 더 높은 진동 쪽으로】 갈 수 있지만, 우리는 (적어도) 『【〔(물질세계에 어떠한 것보다) 천문학적으로 더 높은〕 진동의 형태들】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우리의 감각)과 (대부분의 과학적인 기구)를 이용하여〕 물질세계 너머에 아무것도 감지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물질 스펙트럼 안에 있기 때문에, 【〔우리가 ... 너머를 쉽게 볼 수 없는〕 관찰 지평선】이 있습니다. 하지만 【〔양자 물리학자들〕이 (적어도) 〔물질 스펙트럼 너머를〕 보기 시작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아마) 【마음】도 【개발될 때】 【이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발췌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뱅 후에 우주  (0) 2022.06.08
순수한 에너지가 물질이 되는 방법  (0) 2022.06.08
자아의 힘 돋우는 세계관  (0) 2022.06.08
불확실성 수수께끼  (0) 2022.06.08
어떤 것도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0) 2022.06.08